• 제목/요약/키워드: Suicide attempter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7초

일 종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Department)

  • 이윤정;문성미;남경아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department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at local city. Method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the medical records of 201 suicide attempters were reviewed with a structured analytic sheet.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 test, two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Among total of 201 suicide attempters, 114 (56.7%) lived in rural areas. 114 (56.7%) were men and most of them (71, 35.3%) lived in rural areas. 155 (77.5%) was the first trier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was taking pesticides. There were gender and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uicide-related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 empirical evidences to design and implement strategies at both macro and micro levels to prevent suicide.

응급실을 내원한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임상적 특징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Room)

  • 신현우;이강준;김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2호
    • /
    • pp.100-106
    • /
    • 2015
  • 연구목적 한국에서 자살률의 높은 상승은 주로 남성과 노인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의 자살률은 OECD 가입 국가들 중 가장 높았다. 이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징과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 법 2013년 6월과 2015년 7월까지 인제의대 일산백병원의 응급실을 방문한 총 336명의 20세 이상 성인과 노인 자살시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자살시도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노인과 성인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연구기간 동안 71명의 노인, 265명의 성인 자살시도자들이 응급실을 내원하였다.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자살방법은 약물중독, 몸맴, 자상, 투신 순이었으며 성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치명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과거 정신과 장애는 노인 자살시도자들보다 성인 자살시도자들에서 더 흔하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는 응급실을 내원한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인 자살시도자들이 높은 치명도를 보이는 자살시도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효과적인 노인 자살방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자살시도 청소년과 자살 비시도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비교분석 -짐이 되는 느낌과 좌절된 소속감의 직접효과와 매개효과- (Path Analysis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 Comparison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ers and Non-attempters-)

  • 홍나미;정영순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40호
    • /
    • pp.255-283
    • /
    • 2012
  • 본 연구는 자살시도 청소년과 자살 비시도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비교분석하였다. 복수모집단 동시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두 집단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었으나 경로계수는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부모학대와 또래 괴롭힘은 자살 비시도 청소년의 자살생각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짐이 되는 느낌과 절망감의 직접적 영향력은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하였으나 좌절된 소속감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보면, 두 집단 모두 또래 괴롭힘이 짐이 되는 느낌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간접적인 영향을 상당히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자살 비시도 집단의 자살생각에만, 부모학대는 짐이 되는 느낌을 매개로, 짐이 되는 느낌과 좌절된 소속감은 절망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살시도 청소년과 비시도 청소년의 자살생각 예방 및 완화를 위해서는 집단 별로 차별화된 대책이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자살시도자와 자살 사망자의 자살 방법, 스트레스 요인 및 정신과적 진단 (Suicide Method, the Recent Stressors, Psychiatric Diagnosis of Suicide Attempters and Suicide Completers)

  • 오시현;안지혜;서지효;구혜린;김민정;장혜연;김석주
    • 수면정신생리
    • /
    • 제29권1호
    • /
    • pp.15-20
    • /
    • 2022
  • 배 경: 본 연구는 자살시도자와 자살사망자 간 자살방법, 스트레스 요인, 정신과적 진단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두 가지 후향적인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살시도자의 경우 삼성서울병원의 의무기록을 확인하여 680명의 의무기록을 수집하였고 한국생명존중재단의 심리부검과정을 통해 11,722명의 자살사망자 데이터를 제공받았다. 두 가지 자료의 자살방법, 스트레스 요인, 정신과적 진단에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 과: 자살사망자는 자살시도자에 비해 남성이 많았고 연령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방법 중 목 매달기나 농약 음독과 같은 방법이 자살사망자와 관련이 있었다. 자살시도자의 경우 둔기를 이용해 손목을 긋거나 약물을 음독하는 경우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종류의 스트레스 요인이 자살사망자에게서 높았으며, 특히 경제적인 문제와 신체적인 문제가 자살사망자에게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진단의 경우 연령과 성별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자 자살시도자와 자살사망자 간 차이를 규명할 수 없었다. 결 론: 자살시도자와 자살사망자 사이에 자살 방법, 스트레스 요인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경제적인 문제와 신체적인 문제가 동반된 경우 자살 사망의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의 정신과 진료 연계 관련 특성 (The Psychiatric Treatment Link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Room)

  • 박한나;전성숙;변은경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0권2호
    • /
    • pp.93-102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ttempting suicide and to analyze treatment determination factors for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who go to an emergency center for treatment. Methods: Data collected from 117 suicide attempters who visited Busa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chi}^2$-test with SPSS/WIN 15.0. Results: Only 31 cases consulted with the psychiatric department; the other attempters' refused to consult (26.5%). Among the 31 attempters who consulted, 23 cases (74.2%) were suffering from depression. The most common reason (38.6%) suicidal attempters gave to refuse psychiatric treatment was "I'm not mad. I don't need the psychiatric treatment". Treatment determination factors for mental illness were religion (p<.001), past history (p=.017), financial satisfaction (p=.048), previous history of suicidal attempts (p=.006), sleep disturbance (p<.001), expression of suicide (p=.010), and type of leaving the emergency room (p=.020, p<.001).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people frequently misunderstand psychiatric treatment which leads to their refusal to accept psychiatric treatment. Therefore hospitals need to develop standard guidelines and procedures for suicidal attempters with the collaboration of emergency and psychiatry departments. In addition, medical teams need to provide attempters appropriate information and encourage them to actively seek psychiatric treatment.

자살시도자들에서 충동성과 자살시도의 의학적 치명도와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Impulsivity and Medical Lethality of Suicide Attempts among Suicide Attempters)

  • 박지원;서경훈;손경훈;한재현;전영주;정유진;이원준;성수정;한창환;조규종;황재연
    • 생물정신의학
    • /
    • 제25권4호
    • /
    • pp.118-124
    • /
    • 2018
  • Objectives Although impulsivity has long been thought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suicidal behaviors, it is unknown whether impulsivity increases the risk of dying from suicidal behaviors and what specific component among constructs of impulsivity contributes to the risk of dying among suicide attempters. Methods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between impulsivity and medical lethality of suicide attempt among suicide attempters, we consecutively recruited 46 suicide attempters who visited an emergency room of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a metropolitan area, Seoul, Republic of Korea, due to suicide attempts and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n we assessed medical lethality with the Beck Lethality Scale (LS) and impulsivity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11-Revised (BIS). Demographic variables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and structured social work reports for suicide attempters. Results Although total scores of the BIS did not correlate with LS scores, only the scores of self-control, that is one of the Barrett's six theoretical constructs of impulsivity in which the higher score indicates less self-control and more impuls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cores of LS (p = 0.003). The association remained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variables known to affect suicide lethality such as job status, recent alcohol consumption, diagnosis of depressive disorders, and having a plan for suicide (${\beta}=0.429$, p = 0.009). Conclusions Not impulsivity in general, but poor self-control, in particular, predicts lethal suicidal behaviors among suicide attempters. The degree of self-control should be evaluated when assessing patients with elevated suicide risk, and proper measures should be installed to prevent possible future lethal suicide attempts.

  • PDF

우울증 자살시도자들에서 표준우울평가척도들의 요인분석 : CRESCEND 연구 (Factor Analysis of Standardized Depression Scales in Suicidal Attempters among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 CRESCEND Study)

  • 홍민아;김민경;김정범;전태연;임현우;이민수;김재민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1
    • /
    • 2015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associations between specific symptoms and suicidal behavior by using global severity on depression scales. Methods : Data were obtained from 1,183 patients of CRESCEND study. Factor analysis of the 17-item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was used to compare symptom clusters between the past suicide attempters and the non-suicide attempters, among the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Results : Factor analyses of HAM-D and BDI-II extracted three factors. Suicide attempt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core factor of HAM-D, including depressed mood, feeling of guilt, suicide, work, and activities. The higher scores on all factors of BDI-II or scores correlated with a total of 7 suicide attempts and with known risk factors for suicidal behavior.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uicide attempters complained of more cognitive, affective, somatic symptoms on BDI-II, but the core factor on HAM-D was the only differentiated factor between the two groups. Clinician-rated scales as well as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valid in measuring suicidal attempts, and the clinical profile may help in guiding the studies of biological correlates and the treatments to reduce suicide risk.

우울장애 환자의 자살 시도 여부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 : MMPI-2 프로파일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uicide Attempters and Non-Attempters in Depressed Patients : Using MMPI-2 Profiles)

  • 이슬아;김근향;서신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20권1호
    • /
    • pp.40-49
    • /
    • 2012
  • 연구목적 : 우울장애 환자군 내에서 과거 자살 시도 여부에 따라 정서적 및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보이는 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 중 주요우울장애와 달리 분류되지 않는 우울장애로 진단된 37명을 과거 자살 시도 여부에 따라 자살시도군(N=15 ; 40.54%)과 비시도군(N=22 ; 59.46%)으로 분류하였다. BDI, BAI, HDRS, HARS, MMPI-2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증상 심각도와 심리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결 과 : 자살시도자들은 우울 증상의 임상가 평정치인 HDRS 상에서는 비시도자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DI에서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아울러 MMPI-2 소척도 중 F, Fb, Pa, RC1, DEP, HEA, PK, AAS 상에서 비시도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자살 시도의 과거력이 있는 우울장애 환자들이 현재의 삽화 중에도 객관적인 증상의 심각도와는 별개로 비시도자들에 비해 더 심한 주관적 고통감과 자살 사고를 경험하고 있으며, 타인에 대한 적대감과 불신을 더 많이 호소하고, 신체 증상에 대한 호소와 물질 사용과 관련된 문제도 더 많이 보고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는 우울장애 환자 중 자살 시도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들이 그렇지 않은 환자들과 구분되는 정서적 및 심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MMPI-2는 그러한 특성을 변별하여 자살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유용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응급실에서 자살 시도자의 치료 (The management of patient attempting suicide in the emergency room)

  • 노현정;강영준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6권3호
    • /
    • pp.60-63
    • /
    • 2019
  • The rate of suicide is the 5th leading cause of death in Korea. Moreover, suicide is the 1st cause of death in from 2nd to 4th decade. In order to treat suicide attempters who have visited the emergency room and to prevent retr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suicide and to take the right approach. Suicide is more than doubled in women, and retry rates are high among patients with a history of suicide. Suicidal means are throat, fall, gas poisoning, poisoning and drowning. All suicide attempters should suspect and treat cervical spine injury and airway management, and rapid hyperbaric oxygen therapy is recommended for carbon monoxide addicts. Interviewing a suicide attempter requires a sympathetic attitude and examines the underlying depression or adaptation disorders. Interdisciplinary care with mental health departments is necessary, and interventions in emergency roombased suicide attempt management work can be helpful to connect with the community.

자살기도자의 절망감과 자살치명도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lessness and Suicidal Lethality of Suicide Attempters)

  • 박정래;이상익;김재진;김석중;정인원
    • 정신신체의학
    • /
    • 제4권1호
    • /
    • pp.71-78
    • /
    • 199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hopelessness and suicidal lethality of suicide attempters. The subjects were 72 persons who attempted suicide and came to the emergency room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st, 1995 to March 31st, 1996. The hopelessness of suicide attempter was assessed by Beck Hopelessness Scale(BHS), and the suicidal lethality was assessed by Risk-Rescue score. The Risk-Rescue Score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age, education, religion, marital status, socioeconomic class, occupation) and psychiatric diagnoses. But the Risk-Rescu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igh BHS group(BHS score ${\geq}$ 9) than in low BHS group(BHS score <9)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BHS and the Risk-Rescue score(Rs=0.77 :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vel of hopelessness be a major risk factor for suicidal leth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