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 amino acid

검색결과 772건 처리시간 0.025초

민자주방망이버섯(L. nuda)의 영양성분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of Lepista nuda)

  • 이양숙;김종봉;신승렬;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75-381
    • /
    • 2006
  • 민자주방망이버섯의 식품 영양학적 기능적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영양 성분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90.90{\pm}0.09%$, 탄수화물 $4.38{\pm}0.07%$, 조단백질 $3.70{\pm}0.03%$, 조회분 $0.55{\pm}0.04%$ 그리고 조지방이 $0.47{\pm}0.01%$로 분석되었다. 환원당의 함량은 636.17 mg이었고 유리당은 galactose(51.98 mg), trehalose(22.48 mg), maltose(8.48 mg), mannose(7.96 mg), 그리고 arabinose(6.52 mg) 등의 순으로 모두 97.42mg이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질은 K와 Mg가 각각 103.10 mg과 56.01 mg으로 다른 것에 비하여 함유량이 높았다. 민자주방망이버섯의 구성아미노산은 총 310.39 mg이었고, 이 중 필수아미노산이 111.50 mg이었으며, valine(25.40 mg), leucine(22.52 mg), lysine(21.34 mg) 등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비필수아미노산은 총 198.89 mg이었으며, glutamic acid(60.72 mg), aspartic acid(30.17 mg), alanine(29.72 mg) 등의 함량이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총 220.86 mg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이 36.21 mg으로 isoleucine(21.57 mg), threonine(11.20 mg)의 함량이 높았으며, 비필수아미노산은 184.65 mg으로 glutamic acid(42.78 mg)와 aspartic acid(32.44 mg) 등의 함량이 높았다. 아미노산 유도체의 함량은 총 187.85 mg으로서 hydroxyproline이 121.50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 citrulline(15.58 mg), ornithine(15.41 mg), $\alpha$-aminoisobutyric acid(11.23 mg) 등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미성 Natto 제조과정중 당류 및 아미노산 함량 변화 (Changes of Saccharides and Amino Acids in Natto Added with Spice during Fermentation)

  • 김복란;박창희;윤복만;정민철;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4-120
    • /
    • 1995
  • Natto is a Japanese traditional food made from whole soybenas by fermentation of Bacillus natto.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mprove the taste of Natto. Natto was compared with the changes in the various chemical properties after it had been produced by the addition of garlic and red pepper oleoresin. the remained content of total sugar fo Natto added with red pepper oleoresin decreased than other groups during 24hours fermentation. The remained content of reduced sugar of Natto added with garlic, red pepper oleoresin increased than other groups. The amount of total free sugar showed almost no differences in the case of garlic and red pepper oleoresin added. Amino type nitrogen content increased gradually after 24 hour fermentation in all samples. Free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in conventinal Natto.

  • PDF

Determination of Mono- and Oligosaccharides Derivatized with p-Aminobenzoic Ethyl Ester by Reverse Phase HPLC

  • Kwon, Hyokjoon;Kim, Joon
    • 분석과학
    • /
    • 제8권4호
    • /
    • pp.859-864
    • /
    • 1995
  • Mono- and oligosaccharides are derivatized with p-aminobenzoic ethyl ester (ABEE), strongly absorbs UV light at 254 nm, in the presence of sodium cyanoborohydride. C18-bonded silica column is used for the separation of sugar-ABEE derivatives in an isocratic mode. RP-HPLC conditions are optimized by using ternary mixture as mobile phase and $45^{\circ}C$ as a column temperature. Sugar-ABEE derivatives are separated well within a short run time (ca. 25 min) by reverse-phase partition chromatographic mode. The ($1{\rightarrow}6$) linkage type of dihexose-ABEE derivatives has shorter retention time than ($1{\rightarrow}4$)-linkage type. After acid hydrolysis of glycoproteins with 2M trifluoroacetic acid, monosaccharide composition and contents are determined. This procedure is very useful for the simultaneous analysis of neutral and amino sugars in a single chromatographic step using RP-HPLC without reacetylation of deacetylated amino sugars, which are produced by acid hydrolysis.

  • PDF

영지버섯에서 분리한 항암성 다당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Ganoderma Incidum)

  • 김성환;김을상;김영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47-153
    • /
    • 1995
  • The cultured mycelial cells of Ganoderma lucidum was extracted by alkali, and then neutralized by acid. The extract was passed through the column of DEAE cellulose for more purification. The neutral fraction was concentrated and precipitated with 95% ethanol. The precipitate was lyophilized and then PSG(polysaccharides) was obtained. PSG was composed of 82.2% polysaccharide, 0.7% protein and 17.1% uronic acid. Sugar conjugates of its hydrolysates were produced using with fluorescent compound(7-amino-1,3-naphthalene disulfonic aicd : 7-AGA), and then fluorescent labeled sugar conjugates were separated by reverse phase high perfomance liquid chromatography. Hydrolysates of PSG were composed of sixteen amino acids and 95.7% glucose, 2.7% xylose, 1.6% fucose and tract amount of galactose and mannose.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PSG on macrophage were perfomed using murine macrophage cell line ATCC TIB 71 cells. PSG augumented the phagocytic activity of TIB 71 cells against fluorescent latex beads.

  • PDF

자소자 첨가 동치미의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비휘발성 유기산 및 휘발성 향기성분 (Free Sugar, Free Amino Acid, Non-Volatile Organic Acid and Volatile Compounds of Dongchimi added with Jasoja(Perillae semen))

  • 황재희;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0
    • /
    • 2003
  • 자소자를 무 무게에 대해 0, 0.25, 0.5, 0.75, 1.0%의 비율로 첨가하여 담근 동치미 중 자소자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전보에서 가장 기호도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고 이화학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낸 0.5% 첨가한 동치미의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휘발성 유기산 및 향기성분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다. 1. Glucose와 fructose의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는 반면 glycerol의 경우에는 동치미 담금직후 및 적숙기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서서히 증가하여 발효 말기인 45일에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유리당 함량은 자소자를 0.5% 첨가한 경우가 자소자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약간 많았다. 2. 유리아미노산은 대조구의 경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0.5%의 자소자를 첨가하여 담근 동치미의 유리아미노산은 맛이 좋아지는 시기인 발효 11일까지는 다량의 아미노산을 함유하였으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3. 확인된 비휘발성 유기산은 latic acid, fumar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였는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lactic acid와 succinic acid만이 점차로 증가하였고, 나머지는 감소하였다. 4. 동치미의 향기성분은 담금 즉시에는 0%와 0.5%를 비교한 결과 두 처리구 모두 함황 화합물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동치미의 주 향기성분이었는데, 발효가 진행되면서 함황 화합물의 수나 %area가 약간 감소하였고, 산류나 알코올류 등이 증가하였다 이에 반해 자소자 처리구의 경우는 산류의 큰 증가를 보이지 않았고, 또한 함황 화합물의 변화가 두드러지지 않았고, 거의 유지하는 수준이었다. 본 실험의 결과 자소자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0.5% 처리구가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비휘발성 유기산의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나 전보에서 가장 기호도가 높게 평가된 자소자 0.5% 첨가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청피와 모려를 이용한 음료 제조

  • 차월석;김종균;김종수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75-881
    • /
    • 2001
  • 청피와 모려에 다른 부재료를 사용하여 최적의 혼합비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모려에 대해 원소 분석한 결과 무기물 공급원으로 Ca가 18.8 ppm, Na가 23.8ppm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청피에 대해 아미노산 분석한 결과 aspartic acid가 14290.431 pmol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필수 아마노산이 모두 함유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의해 음료를 제조한 결과 Citrus 1g, Amomum O.25g, Pueraria 0.5g, Ostrea 12g, citric acid 1g, sodium benzoate O.5g, aspartic acid 0.5g, raw sugar 90g 비율로 제조한 것이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향기, 맛, 색 등 전반적으로 기호도 및 호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분석한 결과 3종류간에 차이는 없었다.

  • PDF

헛개나무잎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ocochemical Properties of Hovenia dulcis Thunb. Leaf Tea)

  • 정창호;배영일;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7-123
    • /
    • 2000
  • In order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Hovenia dulcis leaf as food, leaf tea was nanufactured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Aong proximate composiotns of Hovenia dulcis leaf tea were found in both fermented tea and roasted tea the higher contents of total sugar and crude protein. In minerals component of fermented tea and roasted tea, potassium (K) was the most high amounts of 11,560.6 ppm and 11,084.6 ppm, respectively. The highest contents of free sugar in both teas were mainly consisted of sucrose, the amounts of sucrose showed 1.47% and 1.94% . In case of organic acids, oxalic acid and citric acid were revealed 631.26mg% and 660.05mg%, respectively.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amino acid in fermented tea and roasted tea were 812.01mg% and 709.72mg% of glutamic acid. the fatty acids of fermented tea and roasted tea were mainly composed of 40.18% of linolenic acid and 26.92% of palmitic acid, respectively.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of fermented tea and roasted tea were composed of 3, 7, 11, 15-tertramethyl-2-hexadecen-1-ol and methyl palmitate and the amounts of those showed 290.1ppm and 472.97 ppm, respectively. The tannins of fermented tea and roasted tea were 1.02% and 1.26% , as the extraction steps increased the tannin contents decreased. In Hunter's color values of tea extract L and b values decreased , while a value of those increased as the extraction steps were repeated.

  • PDF

헛개나무 잎과 과병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in Leaf and Fruit Stalk of Hovenia dulcis Thunb.)

  • 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69-474
    • /
    • 1999
  •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헛개나무 잎과 과병의 각종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 중 잎의 경우 조단백질, 과병의 경우 총당이 높게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은 잎과 과병에서 K, Ca, Mg, Na 및 Mn 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C 함량은 잎의 경우 4.8 mg%, 과병은 3.8 mg%로 나타났으며, 유리당은 잎에서 fructose가 1.31%, 과병에서는 sucrose가 8.8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은 잎과 과병에서 malic acid가 각각 1,715 mg%와 439.18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성아미노산은 잎에서 glutamic acid가 497.99mg%, 과병에서는 proline이 751.78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은 잎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인 linolenicacid가 43.54%, 과병은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가 23.15%로 높게 나타났으며, 향기성분은 잎에서 trans-geraniol이 124.36 ppm, 과병에서는 isobutyric acid가 292.67 ppm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채취시기 및 품종에 따른 구기순의 지방산과 아미노산조성 (Fatty Acid and Amino Acid Compostions of Gugiseun (Lycuim chinense Miller) Depending on Variety and Harvest Time)

  • 노재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1-217
    • /
    • 1996
  • 구기자 나무재배시 부산물로 발생되는 구기순을 가공식품 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위해 품종과 채취시기에 따른 지방산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기순의 일반성분을 품종과 채취시기에 따라 분석한 결과 조지질, 조단백질, 총당 함량은 청양 재래종이 높게 함유되어 있었고, 조단백질, 총당환원당은 6월20일에 가장 높게 함유되었다. 2. 무기성분 함량은 청양재래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P_2O_5$, $K_2O$, CaO, MgO, Cu, Mn 함량이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채취시기별로는 5월10일 체취한 구기순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3.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총 지방산의 50%정도를 차지하였으며, 품종에 따른 지방산 함량의 차이는 없었고, 시기별로는 5월10일에 채취한 구기순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4. 아미노산은 19종이 분리되었고, 그 중 glutamic acid는 $10.05%\sim10.94%$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 leucine 및 lysine순으로 함유되었다. 그리고 아미노산중에서 serine, arginine, methionine, eystine-2, isoleucine은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glutamic acid, tryptophane은 채취시기가 빠를수록 함량이 높아 건강식품으로의 개발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PDF

경상도 전통 마른 명태 식해의 품질특성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yungsangdo Myungtae (Alaska pollack) sikhae)

  • 구태호;김성;최희진;성태수;최청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7-274
    • /
    • 2002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yungsangdo Myungtae (Alaska pollack) sikhae including optimal composition of the product were investigated.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Myungtae sikhae made from Gampo accepted to be best for traditional Kyungsangdo Myungtae sikhae and it is called standard sikhae. The standard sikhae was prepared as follows: dried-Myungtae 200g, cooked rice 230g, red pepper 92g, garlic 112g, ginger 100g, radish 1.6kg, salt 20g, and malt meal 65g. The Myungtae sikhae made from Gampo showed higher values in total sugar, free reducing sugar, and nitrogen compounds than the Myungtae sikhae made from another locations. The sugar of standard sikhae consisted of four kinds including glucose. And,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glutamic acid, alanine, and methionine. The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 in Myungtae sikhae contained 17 kinds, and the contents was increased in order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proline. The organic acid of standard Myungtae sikhae consisted of 7 kinds including lactic acid during fermentation. The contents of citric acid, succinic acid, and lactic acid gradual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especially, increasing of lactic acid remarkably increased than the different organic ac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