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cession Promotio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생태적 특성에 따른 산림녹지의 관리방안 -부천시의 사례- (Managemtn Devices of Urban Forest in Accordance with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Buncheon City)

  • 한봉호;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1-6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cological management based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 in Bucheon city. The actual vegetation area in the survey sites(7,426,587$m^2$) consisted of Robinuia pseudoacacia forest(61.6%; 5,574,168 $m^2$), Pinus rigida forest(6.1%), Quercus mongolica community(3.2%), Q.spp.community(2.9%), etc. According to the importance value of artificial planting forest, 58(/300$m^2$) survey plo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1) R. pseudoacacia forest, 2) R. pseudoacacia-Q.serrata community, 3) R. pseudoacacia-Q.mongolica community, 4) P.rigide forest, 5) P.rigida-Q.serrata community, 6) P.rigida-Q. mongolica community. As the result, the artificial planting forest was expected to the proceeded to Q. serrata community and Q.mongolica community. The ecological succesion stage in the survey sites (7,426,587$m^2$) was divided into 5 states based on actual vegetation, succession trend of artificial planting forest in Bucheon; 1) Stage of impossible succession(4.7%, 2)Stage of inducible succession(78.7%), 3) Stage of progressive succession(2.7%), 4)Sage of last succession(1.4%), 5)Stage of native plant forest(12.5%). The ecological management of urban forest was suggested as the management method for succession promotion, according to density controlling and native species planting in Bucheon. Individual numbers of R. pseudoacacia might be reduced to 6~8 individuals/300$m^2$ at canopy, 9~21 individuals/300$m^2$ at under-story by selective cutting in order to keep 63~70% of total basal area at R. pseudoacacia forest. Individual numbers of P.rigida might be reduced to 8~9 individuals/300$m^2$ at canopy, 27~30individuals/300$m^2$ at under-story by selective cutting in order to keep 68~75% of total basal area at P. rigida forest. 24 species that were selective by constancy analysis were chosen as the ecological appropriate species. Since, this studyis discussing the ares of urban forest and botanical ecology, it is suggested that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il, climate, and vegetation will be performed in the future.

  • PDF

동아시아 무술의 국제화 추진 전략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Strategy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East Asian Martial Arts)

  • 조문정;장윤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269-274
    • /
    • 2022
  • 오늘날 모든 국가는 체육강국이라는 전략적 목표를 제기하면서 스포츠는 국가 발전을 위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그중 동아시아의 무술 중 중국을 주무대로 활동하고 있는 무술은 그 역사가 길고, 의미가 깊으며 무술의 국제화 추진 역시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의 무술 국제화 추진 과정에서 직면한 주요 문제점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현재 무술의 이론체계가 일관되지 않고 미흡하며, 지역마다 문화적 배경에 큰 차이가 존재하며 국제화 보급 인재가 부족하며, 혁신적 추진방식이 아직 성숙하지 않다. 각 무술의 국제화 보급에서 직면한 주요 문제점을 기반으로 국제화 추진 전략의 분석을 진행 하는 동시에 무술 국제화 이론 체계 구축과 무술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수용, 국제화 인재 공급 메커니즘을 보완하여, 과학적 혁신과 발맞춘 무술 국제화 추진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세계적 무대에서 중국 무술의 향후 계승과 발전, 그리고 중국무술의 가치에 대한 국제화 추진은 중요한 이론적 가치와 실천적 의의가 있다.

A Investigation on the Actual Condition of PV Maintenance on Residental Buildings

  • Lee, Eung-Jik
    • KIEAE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53-58
    • /
    • 2014
  • Residental photovoltaic power system achieved remarkable results in distribution and activation through 'One Million Green Homes Program' led by the government. However, system maintenance and management after installation are relative unsatisfactory. Thus, problems, such as malfunctioning, decrease in efficiency, breakage, etc, are occurring in succession which means that expensive facilities are not used effectively.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more preferred alternative to the photovoltaic power system currently applied and installed to the housing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said system, identifying management practices, and deriving problems. For this study, 48 houses equipped with photovoltaic systems in J City were chosen and they were analyzed after preliminary research and field investig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of the surveyed systems in J City are still in fairly good conditions. But the instruction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appropriate operational management of those surveyed systems have not been delivered to the owner. Therefore, promotion education and related manual deployment should be done by the contractor. In terms of installation, inadequate system location and some warranty services are required to be improved, which are usually caused by a lack of careful planning and construction. In addition, the follow-up management needs to be provided about five years later after installation considering system deterioration.

택지개발지구내 양서류 서식처로서 묵논습지의 특성과 기능평가 (Assessment of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as Habitats for the Amphibia within Land Development Districts)

  • 이은엽;문석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5-42
    • /
    • 2011
  • The current study analyzed appropriateness of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as habitats for the Amphibia by assessing functions and value of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within land development districts as a habitat for living creatures and researching into the Amphibia living in the subject distric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designated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within Hwaseong A District and Pangyo B District under land development as subject lands. Those wetlands went through succession after abandonment of farming. Detail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rom classification of wetland types and an analysis of their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herbaceous plants such as smartweed communities, horsetail communities and reed communities, and woody plants such as pussy willow communities appeared in both districts. These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shows typical characteristics of palustrine wetlands. As a result of a vegetation structure research, it was observed that succession has been progressed for at least over 2~3 years. In assessment of wetland functions by item, it was found that they are developing into fine wetlands in terms of functions because they are ranked over Moderate Class except separate distance from streams. Also from a research into animals living in the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it was found that main inhabitants are Rana nigromaculata,Rana dybowskii, Hyla japonica, Bufo bufo gargarizans, etc.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are providing appropriate conditions as habitats to the Amphibia in a view that those species have life cycles of inhabitation (shores and wetlands) - egg-laying (rice paddy, puddles and swampy places) - hibernation (rice field banks and swampy places). From this point of view, it was found that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that developed because of abandonment of farming can be used as means to improve structure and functions of habitats.

청대만몽동맹관계(淸代滿懜同盟關係)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chu-Mongol Alliance during the Qing Dynasty Era)

  • 임종화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1호
    • /
    • pp.165-170
    • /
    • 2020
  • 본 논문의 국어제목은 "청대만몽동맹관계(淸代滿懜同盟關係)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17세기 초반 동아시아 명청전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청나라를 건국한 만주족이 어떻게 국력의 열세를 극복하였는지에 관해 서술하였다. 청나라는 총 12명의 황제를 배출하였다. 그 시호들을 살펴보면 한족의 이름, 몽골족의 이름, 만주족의 이름이 각각 독립된 개체로써 기록된다. 본론에서는 만주족들이 몽골과의 동맹에 대해 서술될 것이다. 연구결과, 만주족의 건주여진들은 명나라와의 전쟁을 진행하기 위해 몽골귀족들과 혼인을 통해 전략적인 동맹을 맺었다. 또한 팔기제도라는 것을 통해 사회구성원들을 전투에 최적화된 집단으로 재편하는데 성공했다. 이 팔기군 안에는 동맹을 맺은 몽골족과 전투중인 명나라의 귀순병들까지 포함시켜 명나라와 대적할 만한 전투 집단을 만들었다. 만주족들은 이 팔기제도와 몽골과의 혼인동맹을 통해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도 열세였던 명나라를 제압하고 결국에는 중국 전체를 통일하는 저력을 발휘했다.

근대 이후 상례(喪禮)의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Funeral Rituals Since the Modern Period)

  • 이철영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163-174
    • /
    • 2024
  • 본 연구는 사회변화와 의례 변화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그 연관성에 의해 유교상례와 현대의례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시대별 의례의 변화과정을 제도의 변화와 연결하여 살펴보았다. 상례의 시대구분을 전근대기 '유교상례'와 일제강점기를 통한 '근대 상례기' 그리고 1999년 건전가정의례준칙의 시행과 함께 의례 자본에 의한 '현대 상례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의례의 이해는 시대구분을 통해 전통의 계승이라는 논리적 모순에서 벗어나 전근대에서 근대상례, 현대상례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의례의 변화와 지속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시대상을 반영하여 지속되고 있음을 고찰하는 데 의의가 있다.

도서관의 문화적 가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Indicator Development of Cultural Value of Library)

  • 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77-20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문화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도서관의 가치에 대해 연구한 국내외 논문들을 총체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예비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예비 평가지표는 10명의 전문가를 선정하여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종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최종 평가지표는 지역문화발전, 문화유산 계승 및 홍보, 지역주민의 문화향유에 기여, 지역공동체문화형성 등의 4가지 평가영역, 10개 평가항목, 50개의 세부평가지표로 구성된다.

직무발명에 대한 교수의 자기 공개와 비밀유지 의무에 관한 연구 (Self-Disclosure and Confidential Responsibility of Professor Regarding Employee Invention)

  • 나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52-758
    • /
    • 2020
  • 교수는 대학의 구성원으로 종업원이다. 교수의 연구활동을 통해 창출된 발명은 원칙적으로 직무발명에 해당되고, 소속 대학의 산학협력단으로 승계되어 특허출원 된다. 한편, 교수는 자신의 발명이 대학의 산학협력단으로 이전되어 특허출원 되기에 앞서, 발명의 내용을 논문이나 학술대회에서 자기 공개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들의 자기 공개된 특허출원 건수와, 비밀유지 의무와 관련하여 제기된 특허무효심판의 건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판례를 통해서 자기 공개 시기를 대학의 승계결정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서 비밀유지 의무의 위반 여부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독점 배타적인 특허권의 확보 측면에서 교수의 자기 공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정적 효과들도 조사하였다. 교수가 자기 공개하는 경우에, 대학 소유의 발명은 권리화에 실패하거나 권리를 확보하더라도 포괄적인 권리의 확보가 어렵게 된다. 권리 확보에 성공하더라도 권리가 무효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교수는 발명진흥법에서 정의한 종업원의 비밀유지 의무를 위반하게 될 수 있고, 직무발명의 승계가 확정된 이후라면 부정경쟁방지법에서 정의한 비밀유지 의무도 위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은 교수의 직무발명에 대한 자기 공개를 보다 적극적으로 관리 할 필요가 있다.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 유존군락의 분포유형과 생태적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Distribution Types of the Relict Conifer Community and the Approach for the Ecological Management in Ulleung-Island)

  • 조현제;이중효;추연식;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95-104
    • /
    • 2011
  • ZM방식을 응용하여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향나무, 섬잣나무, 솔송나무, 회솔나무) 유존군락의 분포유형을 구분한 다음, 이들 분포유형별 구성종의 중요치와 개체목들의 생장특성을 토대로 생태적 관리방안을 검토하였다. 1.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의 분포유형은 해안식생(SV)과 산지식생(MV)으로 대별할 수 있었으며 해안식생은 해안절벽지 분포형(J-SC)과 해안절벽지 능선부 분포(J-SR)형으로 구분되었다. 산지식생은 회솔나무림과 섬잣나무 솔송나무림으로 구분되었으며, 회솔나무림은 암석지 분포형(Ta-R)과 사면부 분포형(Ta-MS)으로 구분되었다. 섬잣나무 솔송나무림은 암석지 분포형(P T-R), 사면상부 능선부 분포형(P T-UR) 및 사면부 분포형(P T-MS)으로 구분 되었고, 사면상부 능선부 분포형은 제1아유형(1sub-type)인 솔송나무 우점임분, 제2아유형(2sub-type)인 회솔나무 우점임분, 제3아유형(3sub-type)인 섬잣나무 회솔나무 활엽수류 혼효임분으로 구분되었다. 2. 해안식생인 향나무림 중 제1분포형인 해안절벽지 분포형(J-SC), 산지식생인 회솔나무림중 제1분포형인 암석지 분포형(Ta-R), 섬잣나무 솔송나무림 중 제1분포형인 암석지 분포형(P T-R)은 지형적 극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해안식생인 향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해안 절벽지 능선부 분포형(J-SR), 산지식생인 회솔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사면부 분포형(Ta-MS)과 섬잣나무 솔송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사면상부 능선부 분포형(P T-UR) 및 제3분포형인 사면지 분포형(P T-MS)은 천이도중상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3. 지형적극상을 이루고 있는 향나무림, 회솔나무림, 섬잣나무림, 솔송나무림은 천이에 맡겨두고 천이도중상의 분포형에 대해서는 치수의 생장과 치묘 출현을 촉진시킬 수 있는 숲가꾸기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솔송나무림을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중용수이며 종자의 순량율이 1~2%인 점을 감안하여 숲틈(gap)의 형성외에 인공조림을 실행하여야 할것으로 사료되었다. 4. 곰솔림의 경우 강한 간벌과 가지치기를 이용하여 틈을 조성한 후 섬잣나무, 솔송나무, 회솔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우산고로쇠 등으로 군상혼효림을 조성하는 것이 울릉도 자연식생을 회복시킬 수 있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Initial Responses of Quercus serrata Seedlings and Forest Understory to Experimental Gap Treatments

  • Cho, Yong-Chan;Kim, Jun-Soo;Lee, Chang-Seok;Cho, Hyun-Je;Bae, Kwa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2호
    • /
    • pp.87-96
    • /
    • 2009
  • Pinus thunbergii plantations in Pohang-si, Gyeongsangbuk-do, Korea, are of low ecological quality, with arrested succession and a high proportion of ruderal spe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habitat, we created canopy gaps ($\sim42\;m^2$) and monitored changes in abiotic (light availability, canopy openness) and biotic (survival and growth of seedlings and understory communities) variables in 2007 and 2008 in plots that had received one of five types of treatment: cutting of canopy trees and removal of the understory (CU), cutting of canopy trees only (C), girdling of canopy trees and removal of the understory (GU), girdling of canopy trees (G) or control. Each treatment was applied to three replicate plots. Abiotic variabl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reatments. Survival rates of target species were slightly lower in the CU, G and control conditions. Based 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nly significant growth factor affecting survival was height growth. Positive effects of seedling height and leaf area growth on survival were also detected, bu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reatment G, gradual improvement of overstory conditions and mitigation of competition by limitation of disturbance to the understory community were likely to have promoted seedling growth.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gap treatments on changes in species abundance (cover and richness) and composition of understory between the study year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small gaps created in our study may be below the threshold size to affect understory growth.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ased on a short-term investigation of only two years. Long-term research is strongly recommended to clarify the effects of gap treatment on plant communities in afforested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