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tribution Types of the Relict Conifer Community and the Approach for the Ecological Management in Ulleung-Island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 유존군락의 분포유형과 생태적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0.11.19
  • Accepted : 2011.01.04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Distribution types of native conifers (Juniperus chinensis, Pinus parviflora, Tusga sieboldii and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were studied by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and ZM method in Ulleung Island, South Korea. Two main types were divided maritime vegetation (Juniperus chinensis forest) and mountain vegetation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forest and Pinus parviflora-Tusga sieboldii forest). The former was divided into sea cliff distribution (J-SC) and sea ridge distribution (J-SR) type. The latter was classified 7 distribution types;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forest was rock distribution (Ta-R) and mountain slope distribution (Ta-MS) type, and Pinus parviflora-Tusga sieboldii forest was rock distribution (P T-R), upper and ridge distribution (P T-UR, 3 units sub-types:1sub, 2sub, 3sub), and Mountain slope distribution (P T-MS) type. It was considered that J-SC, Ta- R, and P T-R were maintained by topographic climax, but J-SR, Ta-MS, P T-UR and P T-MS were the process of vegetation succession. Distribution types of topographic climax are entrusted to process of vegetation succession. Types in the process of vegetation succession will be needed tending of forest to promote saplings growth and seedlings germination. Especially in order to restore Tsuga sieboldii forest should be afforest and make forest gap because It is mid shade tolerant tree and purity percentage of its seed is 1~2%.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mposition of group mixture forest constituted Pinus parviflora, Tsuga sieboldii, Taxus cuspidata,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and Acer okamotoanum, etc. will be able to restore native vegetation, after take the form of forest gap by strong thinning and pruning of Pinus thunbergii forest.

ZM방식을 응용하여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향나무, 섬잣나무, 솔송나무, 회솔나무) 유존군락의 분포유형을 구분한 다음, 이들 분포유형별 구성종의 중요치와 개체목들의 생장특성을 토대로 생태적 관리방안을 검토하였다. 1.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의 분포유형은 해안식생(SV)과 산지식생(MV)으로 대별할 수 있었으며 해안식생은 해안절벽지 분포형(J-SC)과 해안절벽지 능선부 분포(J-SR)형으로 구분되었다. 산지식생은 회솔나무림과 섬잣나무 솔송나무림으로 구분되었으며, 회솔나무림은 암석지 분포형(Ta-R)과 사면부 분포형(Ta-MS)으로 구분되었다. 섬잣나무 솔송나무림은 암석지 분포형(P T-R), 사면상부 능선부 분포형(P T-UR) 및 사면부 분포형(P T-MS)으로 구분 되었고, 사면상부 능선부 분포형은 제1아유형(1sub-type)인 솔송나무 우점임분, 제2아유형(2sub-type)인 회솔나무 우점임분, 제3아유형(3sub-type)인 섬잣나무 회솔나무 활엽수류 혼효임분으로 구분되었다. 2. 해안식생인 향나무림 중 제1분포형인 해안절벽지 분포형(J-SC), 산지식생인 회솔나무림중 제1분포형인 암석지 분포형(Ta-R), 섬잣나무 솔송나무림 중 제1분포형인 암석지 분포형(P T-R)은 지형적 극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해안식생인 향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해안 절벽지 능선부 분포형(J-SR), 산지식생인 회솔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사면부 분포형(Ta-MS)과 섬잣나무 솔송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사면상부 능선부 분포형(P T-UR) 및 제3분포형인 사면지 분포형(P T-MS)은 천이도중상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3. 지형적극상을 이루고 있는 향나무림, 회솔나무림, 섬잣나무림, 솔송나무림은 천이에 맡겨두고 천이도중상의 분포형에 대해서는 치수의 생장과 치묘 출현을 촉진시킬 수 있는 숲가꾸기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솔송나무림을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중용수이며 종자의 순량율이 1~2%인 점을 감안하여 숲틈(gap)의 형성외에 인공조림을 실행하여야 할것으로 사료되었다. 4. 곰솔림의 경우 강한 간벌과 가지치기를 이용하여 틈을 조성한 후 섬잣나무, 솔송나무, 회솔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우산고로쇠 등으로 군상혼효림을 조성하는 것이 울릉도 자연식생을 회복시킬 수 있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대구경북연구원

References

  1. 김성덕. 木村 允, 임양재. 1986. 한국 울릉도의 너도밤나무림 및 섬잣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 식물학회지 29(1): 53-65.
  2. 김종원, 송승달, 김성준. 1996. 울릉도.독도 식생에 대한 군락분류학적 연구. 자연실태종합보고서 10: 137-202.
  3. 안건용. 1971. 울릉도 섬잣나무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12: 31-42.
  4. 양인석. 1956. 울릉도의 식생. 경북대 논문집 1: 245-275.
  5. 이미정, 송호경, 이 선. 2000. 울릉도 성인봉과 태하령지역 산림식생의 분류에 관한 연구. TWINSPAN과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12-21
  6. 이중효. 2005. 울릉도 산림식생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군락생태학적 접근. 경북대학교 농학박사학위 논문. pp. 186.
  7. 이중효. 홍성천. 2006. 울릉도 산림식생 유형과 생활형 조성. 한국임학회지 95(3): 282-290.
  8. 조현제, 배관호, 이병천, 홍성천. 1993. 울릉도 성인봉 일대 원시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82(2): 139-151.
  9. 조현제, 배상원, 배관호, 신준환. 1996. 울릉도의 산림식생. 임업연구원 산림과학논문집 53: 78-88.
  10. 홍성천. 1990. 울릉도 성인봉 원시림 및 통구미 향나무 자생지 학술조사 보고서, 경상북도. pp. 178.
  11. 홍성천, 조현제, 배관호, 서승희, 이병천. 1993. 울릉도 성인봉 자연림 및 통구미 향나무 자생지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pp. 42-63.
  12. 홍성천 외. 2002. 울릉군 원색식물도감. 동아문화사. pp. 404.
  13. 홍성천 외. 2004. 성인봉의 원시림과 도동 섬개야광나무.섬댕강나무군락 학술조사. 울릉군. pp. 357.
  14. Ellenberg, H. 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stuttgart. pp.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