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of Practical Art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6초

실과와 가정교과서 식생활 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The Analysis on Relatedness of contents about ′Nutrition and Foods′ which are dealt in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Subjects)

  • 양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41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실과와 기술 가정교과서 내용 중 식생활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학년간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대상은 1종 교과서인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실과교과서와 중, 고등학교의기술ㆍ가정교과서이다. 기술ㆍ가정교과서는 중학교 1, 3학년과 고등학교까지 출판된 교과서 중 5종을 추출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먼저 학년별로 목표와 내용체계를 정리하였고, 연계성 분석을 위한 준거기준을 정리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분야는 영양학, 식품학, 급식경영학의 체계로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제시되는 목표와 교육내용체계는 출판사별로 일치하고 있으나 교과서 서술방식에 있어서 합의가 요구된다. 셋째,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내용과 중,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내용 간에는 내용의 발전적 연계가 이루어졌으나 중학교 학년별 내용은 반복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교육내용은 일부분 격차를 보이거나 연계성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지만, 발전된 내용과 반복된 내용이 많으므로 학년간 연계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 PDF

실과 및 가정과 교육의 철학적, 사회적 배경 고찰과 미래 방향 탐색 (Philosophic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Inquiry into New Direc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 박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5-13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실과 및 가정과교육의 철학적 이론과 사회적 배경을 고찰하고 본 교과교육의 미래 방향을 탐색하였다. 우리나라의 실과교육의 근거가 되는 교육론(교육사상)과 철학으로는 노작교육론, 실학사상 및 실용주의(pragmatism)를 들 수 있고, 가정과교육에 영향을 미쳤던 우리나라 사상으로는 유교사상, 철학으로는 Pragmatism과 비판이론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 학교교육법 이전의 가정생활에 관한 교육은 주로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아 여자가 교육받는 것을 꺼려하였고, 과거 학교교육에서도 가정과는 여자만의 교과라는 사회적 통념을 형성해왔다. 그러나 교육과정 성립 이후는 점차 미국 가정학의 영향을 받아 이론도 미국의 가정학에 기초하여 발전해왔다. 그러나 가정과의 모체가 되는 우리나라의 가정학은 미국과 다르게 Pragmatism과 비판이론과 같은 철학의 기반이 없는 상태에서 발전해왔기 때문에, 과학의 인식과 가치의 인식이 유리되어 학문으로서는 체재를 정비하여 발전해왔으나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해서 생활의 가치를 지킨다는 사회적인 사명에 답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최근 이 문제를 가정교육학에서는 비판이론을 적용하여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부분 개정된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경험과 실제생활에의 적용을 중시함으로써 구성주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실과 및 가정과의 성격과도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미래 방향에 관한 탐색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분석, 일과 실천의 개념 변화, 기본생활교육 및 기초생활기술의 정착을 위한 실과 및 가정과교육의 필요성, 가정의 기능 강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음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 학교교육에서 가정생활과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유일한 교과인 가정과의 역할은, 미래 저출산, 고령사회에는 더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 PDF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전자' 단원의 개발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Textbook of 'Real Life's Electricity and Electronics' uni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 박형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1-180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을 개발하였고 2007 개정 교육과정에 터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 전자' 단원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은 연구개발형 교과서로 기획준비 단계, 연구 개발 단계, 집필 편찬 단계, 심의 평가 단계로 구성되었다. 둘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의 집필 편찬 단계의 타당성이 4.21로 가장 높았고, 연구 개발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4.14로 그 다음이며, 교과서 개발 단계 중에서는 심의 평가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3.50으로 가장 낮았다. 교과서 개발 모형의 준비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있어 요구 분석과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둘째, 연구 개발 단계는 외국의 실과 교육을 분석하고 학교 현장의 실태를 분석하여 교과서 집필 지침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셋째, 집필 편찬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 집필세목을 확정하고 단원별 실과 교과서를 집필하는 단계이다. 단원별 원고를 집필하며 삽화 및 사진을 구성하고 집필진 협의회를 통하여 원고본을 반복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하는 단계이다. 넷째, 심의 평가 단계에서는 현장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 전자' 단원을 개발하였다.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수업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Subject's Lesson Plan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 박종선;최지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65-18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해 실과 수업 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을 기초로 하여 창의 인성교육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준비, 개발, 개선의 3단계를 거쳐 수업 과정안을 개발,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평가 후에 수정 보완하여 최종 수업 과정안을 완성하였다. 준비 단계에서는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하고 실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창의 인성과 관련된 활동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선정된 활동 주제를 중심으로 실과 교육내용과 연계한 소주제 및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수업목표를 진술하고, 수업 과정안을 설계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개발된 수업 과정안에 대하여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검증 후 수정 보완하여 개발을 완료하였다. 개발된 수업 과정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수업 과정안은 실과 교육내용을 기반으로 하며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창의 인성이 함양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개발된 수업 과정안은 프로젝트법을 적용하여 수업 설계를 하였으며 활동중심 수업이 되도록 하였다. 셋째, 수업 활동 내용은 '요리하는 사람 알아보기', '건강도시락 만들기', '퓨전음식 만들기', '채소 심고 가꾸기', '직접 키운 채소로 음식 만들기', '요리활동 전시회 열기'의 6가지 활동이며 12차시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개발된 수업 과정안은 초등학교 정규 실과 교과 시간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과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다.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에 근거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평가기준 방향 탐색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based on Perspectiv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 권유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1-7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평가기준에 반영된 교과 관점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현재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과 교과서 평가기준과의 관련성과 더불어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을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실과(기술 가정) 교과서 평가기준을 분석하고, 교과서 평가기준에서의 교과 관점의 의미를 탐색하며, 2007 개정 교육과정 및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지속적으로 제시된 교과 관점을 도출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평가기준에서 강조하고 있는 관점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교과서 평가기준은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교과관점을 제공하고, 교과의 주요 개념과 가치를 전달하며,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과 관점들은 관리역량, 생활역량, 실천적 경험, 개인과 가족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역량, 생활문제해결, 그리고 진로 및 생애설계이다. 향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과 관점들에 터하여 교과서 평가기준의 항목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 자료 평가기준뿐만 아니라, 교수 학습 방법, 교사 활동 평가 등 다양한 평가 틀에 교과 관점들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alysis of K-Pop Dance as an Academic Subject

  • Eunjoo, Oh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68-276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K-pop dance is qualified as an academic subject and how university students perceive K-pop dance as a liberal art subject.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38 students. Among the total of 138, 40 participants were male, and 53 participants were female. Fourteen(14) participants had experience with K-pop classes, and 124 participants did not have any experience with K-pop dance classes. According to the study, K-pop is a form of Korean culture that adds unique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to Koreans. It is in the cultural and art education category. In addition, K-pop dance is a socio-cultural phenomenon characterized by dance. However, K-pop dance is not qualified as an academic subject because it lacks theoretical foundations. The survey result also revealed that the students did not perceive that K-pop dance had personal, aesthetic, social, or educational value. They did not want to take a class if K-pop dance is offered as an academic subject in liberal art class. When analyzing the data by gender and experiences with dance classes, there was a difference based on gender in the two questions. In the case of females, they responded to having fun and joy from K-pop dance, while male respondents did not. Regarding the learners' interest in Kpop dance class, female respondents were more optimistic about the learner interest than male respondents. In conclusion, K-pop dance is a sociocultural phenomenon, and many informal online courses are created daily, spreading everywhere. However, the status of K-pop dance as an academic area is not set up yet.

캐나다 Ontario주와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전기, 자기 관련 교육 과정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iculum on Electricity and Magnetism between in Korean and in)

  • 한무현;김종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5호특별호
    • /
    • pp.620-626
    • /
    • 2005
  •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s on electricity and magnetism between in Korean and in Ontario elementary schools in Canada with respect to connectivity and difference among course materials with grades. We compared textbooks that contain the contents about electricity and magnetism, and connectivity in curriculums that were relevant to the science content system in each country. We report the following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s on electricity and magnetism in each country. First, it turns out that science is taught from the first grade in Ontario, while it is taught from the third grade in Korea. Second, Ontario covers electricity and magnetism only in science curriculum, while Korea covers the same topics both in the science an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ird, while the curriculum in Korea introduces 'a magnet' in the third grade, 'electricity' in the fourth and the fifth grade, and 'an electromagnet' in the sixth grade, while the curriculum in Ontario covers the concept of energy from the first grade. As the grades go up, the contents of electricity and magnetism tend to be more deepen. It also emphasizes enhancing students' ability that they can communicate what they learn about technology with others, and that they can apply their knowledge to other fields as well. Based on this study of the Ontario curriculum,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us to n Science curriculum from the first grade, so that the students can learn science from the early grade, without a need to run another subject, like practical arts. We also found that the Korean curriculum has an interesting structure for the young students to learn to apply their knowledge to the real life immediately, based on an idea that the topic of 'Manipulating the electric appliances'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moves to the Science.

  • PDF

국내 초·중등 공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 이은상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45-56
    • /
    • 2015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journal papers by 'published year',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lated school subject'.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regarding the published year, the studies related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engineering education had been conducted 1 to 3 pieces intermittently from 1995 to 2009. And the number of studies are more than 5 pieces after 2010. Second, regarding the research topic,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investigation for current status', 'tendency analysis',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or model', 'verification of teaching method/models' effect'. Third, regarding the research subject,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student', 'literature', 'professor', 'teacher'. Fourth,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survey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and 'integrated research'. Fifth, regarding the related subject,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science', 'technology', 'mathematics', 'practical a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the needs for further studies to establish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engineering content elemen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analyze on related variables and effects, develop engineering assessment instrument, use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and conduct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engineering in math subject.

교과대체형 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후 학생들의 인식 분석 - 6학년 에너지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Students' Perceptions after Application of a Subject Substitute STEAM Program - Focusing on Energy Unit in 6th Grade Curriculum -)

  • 임성만;채동현;김은정;현동걸;김오범;한제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9-132
    • /
    • 2014
  • In recent years, Korea encourages teachers to do STEAM education(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which includes Arts to STEM education to train creative science technology talent. Related to this, we developed a subject substitute STEAM program for the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applied it in a field. The STEAM program which substitutes contents in curriculum related to Energy unit was developed and it was taught to twenty four sixth grade students during regular classes. During the classes, all activities of students were observed and they were written in recording notes during the observation. After all STEAM program ended, how students recognize the subject substitute STEAM program compared to general class, understand learning contents and think about the program before and after the STEAM classes were analyzed through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me students had difficulty in reconciling different ideas in group, creative thinking and crafts but most students liked the STEAM classes because many activities are fun and it is easy to understand. Second, learners regarded practical use of knowledge, learning different subjects together and interests as the reasons they can understand learning contents easily during STEAM program. Third, learners recognized STEAM classes are good to understand knowledge, think creative ideas and improve social skills after the STEAM classes while they showed anticipation, worry and fear before taking the classes. It is found that a subjective substitute STEAM program is helpful to increase learners' interests in learning, understand learning contents, increase creativity and have a good personality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실과(기술·가정)교육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구 동향 분석: '가정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Focusing on 'Family Life' Area)

  • 이하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81-95
    • /
    • 2019
  • 본 연구는 1989년부터 2018년까지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전문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가정생활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세 개의 학회지의 제목, 초록, 키워드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구성요소와 세부내용을 주제어로 관련 논문을 선별하였으며, 가정교과의 내용학 분야, 연구영역, 연구방법, 연구대상,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구성요소 및 하위내용 등을 살펴보고, 빈도 및 교차 분석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구는 범국가적 관심이 급증한 2000년대 중반 이후에 급증하였으며, 가정교과의 내용학 분야 차원에서는 통합적 접근을 통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영역에서는 교수학습법 및 교재개발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절반 이상의 연구가 실험연구로 진행되었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세 구성요소 중 사회와 관련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고, 환경 영역이 뒤를 따랐다. 가정교과의 내용학과 지속가능발전의 세부내용은 연관성이 있었다. 실과(기술·가정) 교과를 통해 다양한 지속가능 발전교육이 학생들의 실천적문제해결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관련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