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matter of curriculum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7초

교과교육의 측면에서 본 정보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Identity of Information Subject from a Perspective of Subject matter Education)

  • 김자미;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19-227
    • /
    • 2010
  • 교과의 정체성은 해당 교과에 내포된 교육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정당화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보교과는 기초학문으로서 필요의 극대화에도 불구하고 교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면이 적지 않다. 특히 개정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학교 교육에서는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교과의 교과교육으로서 가치를 컴퓨터과학교육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컴퓨터과학교육의 특성을 토대로 교과로써 가치와 목적에 대한 교육적 성찰을 제공하였다.

  • PDF

물질의 성질 및 물질의 변화 영역에서 중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chievement About 'properties of matter' and 'change of matter':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백종호;최원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6호
    • /
    • pp.493-508
    • /
    • 2022
  • 화학은 물질의 성질, 변화, 구조에 대해 다루는 교과로, 관찰 가능한 성질과 변화를 미시적인 수준으로 설명하고, 이를 이론과 법칙 등으로 설명하는 체계를 갖는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는 물질의 성질과 변화에 대해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다루면서, 학생들이 물질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즉, 물질의 성질과 변화에 대한 이해는 화학의 관점에서 우리 주변을 설명하기 위한 기반이 되며, 이 둘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화학 교과의 영역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를 분석하여 중학생들의 물질의 성질과 물질의 변화 영역에 대한 이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서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출제된 물질의 성질에 대한 12개 문항, 물질의 변화에 대한 19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핵심 개념에 따라 문항들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두 영역에 대한 이해는 보통학력과 기초학력에 해당하는 학생들에게서 큰 폭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입자의 관점을 사용하고 과학 개념과 모형을 연관시켜 현상을 설명하거나, 이 두 영역에서 다루는 탐구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성취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물질의 성질과 물질의 변화 영역에 대해 교수학습 과정에서 개선이 필요한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수학 수업 사례 고찰 - 한국내 프랑스 외국인학교를 중심으로 - (A Case of the competencies-based mathematics lessons of one French foreign school)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81-108
    • /
    • 2012
  • 최근 들어 OECD가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을 제시한 이래, 핵심역량은 학교 교육과정의 새로운 비전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도 2007년 이래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미래 한국인들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선정하여 이를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시키는 방안을 연구하여 왔으며, 2011년에는 기존 연구를 계승하여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및 평가방안, 그리고 교사교육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을 구체화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의 교과 교육과정을 선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위하여 뉴질랜드 중학교 네 곳, 한국 내 프랑스 및 영국 외국인학교 각각 한 곳, 한국의 국제중학교 한 곳을 선정하여 수학 교사 및 학교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수업 관찰 및 면담을 실시하였는데, 본고에서는 지면 관계상, 프랑스만을 대상으로 하여, 프랑스에 관한 학습자의 핵심역량 강조에 따른 프랑스 교육 동향을 소개하고 한국 내 프랑스 외국인중학교 수학교사의 수업 사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 PDF

학습자의 핵심역량에 기초한 수학교육 실태 탐색 - 뉴질랜드와 프랑스를 중심으로 - (Investigation on the reality of school mathematics based on the learner's competencies)

  • 최승현;황혜정;남금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15-238
    • /
    • 2012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OECD가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현대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을 제시한 일을 계기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미래 한국인들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선정하여 이를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시키는 방안을 연구하여 왔다. 특히, 2011년에는 기존 연구를 계승하여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및 평가 방안, 그리고 교사교육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을 구체화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의 교과 교육과정을 선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위하여 뉴질랜드 중학교 네 곳, 한국내 프랑스 및 영국 외국인학교 각각 한 곳, 한국의 국제중학교 한 곳을 선정하여 수학 교사 및 학교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수업 관찰 및 면담을 실시하였는데, 본고에서는 뉴질랜드 소재 중학교 4곳과 한국내 프랑스외국인학교를 대상으로 핵심역량기반의 수학교육의 실태를 살펴보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 PDF

The Mathema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Comparative Perspective

  • Wong, Ngai-Ying;Rowland, Tim;Chan, Wing-Sum;Cheung, Ka-Luen;Han, Ngai-Sz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173-194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mathematics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mong England, the Chinese mainland and Hong Kong. Data were collected from a ten-item test in the SKIMA subject matter audit instrument [Rowland, T.; Martyn, S.; Barber, P. & Heal, C. (2000). Primary teacher trainees'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and classroom performance. In: T. Rowland & C. Morgan (ed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Volume 2 (pp.3-18). ME 2000e.03066] from over 500 participants.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from England performed consistently better, with those from Hong Kong being next and then followed by those from the Chinese mainland. The qualitative data revealed that participants from Hong Kong and the Chinese mainland were fluent in applying routines to solve problems, but had some difficulties in offering explanations or justifications.

교육과정 개발 체제 및 총론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f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tatements of the Curriculum and Science Curriculum)

  • 이양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68-480
    • /
    • 2004
  • 우리 나라 교육과정은 총론과 각론이 괴리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총론과 각론의 괴리가 나타나는 주요 이유는 총론 연구개발팀이 순수 교육학 전공자 중심으로 구성되어 각론의 특성을 반영한 총론 및 교과 교육과정 개발 지침 개발, 개발된 각론의 검토 및 피드백 제공이 어렵고, 또한 교육과정 개발 기관이 사안 발생 때마다 임시로 지정되기 때문에 교육과정 개발을 대비하여 사전에 기초 연구를 하기 어려우며, 교육과정 개발 기간도 지나치게 짧아 각론팀에서 총론의 취지와 교사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 결과 (1)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내용인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 시기에서 총론과 각론의 불일치 현상이 나타나고, (2) 심화 과정의 성격, 지도 및 평가 등에 대해 명확한 설명이 없어 교과서 집필 및 학습 지도에서 혼선이 유발되고, (3) 교과서 집필자나 교사가 교육 내용의 범위나 수준을 파악하기 어려워 학습량 적정화의 취지가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개발센터'를 지정 운영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상시 연구 체제를 구축하고, 총론연구팀과 각론연구팀의 유기적 협조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과학과 교육과정 연구 개발 기간을 최소한 2년 이상으로 하고,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주요 전공별 과학자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육과정은 교과서 집필자나 교사가 중요한 사항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현행보다 구체화되어야 하며, 교육과정 해설서는 최소한 교과서 개발 시작 이전까지는 집필되어야 한다.

2015 개정 초등수학 교과서 2학년 곱셈 단원 분석 (A Study on the 2nd Grade Multiplication Units in 2015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353-38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plication unit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tudents learn multiplication in $2^{nd}$ grade. The multiplication units is divided into two: multiplication and multiplication facts. In these two units, we mainly analyze situations involving multiplication, models for teaching multiplication, and multiplication strategies for teaching multiplication facts in relation to Subject Matter Knowledge. We called these contents Multiplication Matter Knowledge. We examined the precedent study with regard to multiplication at the elementary mathematics. As results, we prepared an analysis framework for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expecially 'qualitative contents analysis'. The contents here refer to Multiplication Matter Knowledge that can be found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ing books etc. As results of analysis, We can confirm that various multiplication situations and multiplication models are presented in the textbooks. And it has been examined that various multiplication properties are presented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multiplication strategy levels. We insi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se Multiplication Matter Knowledg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basic data in these contexts.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으로서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교과통합적 접근 재조명 (Review on Cross-curricular Approach of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s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 이재근
    • 영어어문교육
    • /
    • 제10권1호
    • /
    • pp.153-178
    • /
    • 200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several types of English teaching/learning models in view of cross-curricular approach in Korean elementary school. Brewster(1992)' model is suitable for younger children as well as the 1st or 2nd graders. For 3rd or 4th graders, Halliwel1(1997)' model seems more proper type in Korean EFL situation. There has been studying for cross-curricular approach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Many studies has recently focus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by cognitive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Among them, Park(1996)'s research talks abou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n(1996)'s research based on the notion of applied to other subjects. Kim(1999)'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inking other subjects. Kim(2003) argued the need of integrating English with other subjects. The elementary education as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NCBC) has the essence of cross-curricular approach, so the English education will be linked with other subject matters more and more, not just as for Communicative function based English education but as both content and function based subject matter.

  • PDF

가정과 수업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을 위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raining Program for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pplied to Home Economics Classes, and the Possibility to Implement the Program)

  • 박인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09-12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troduc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positive parent-adolescent relation into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The research applied the program named "Making the desirable world 2" which was revised by K.E.T.I(Korea Effectiveness Training Institute). This program was given two hours a week during 8 week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4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is research supposed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significantly increase by group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group training program. Second,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group training program.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s a practical subject matter, promoting qualitative maturity of students' family life, this study aimed both at enhancing communication for positive relation of parent-adolescent by group training and implementing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practically.

  • PDF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에 대한 지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in the Case of Division of Fractions)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3호
    • /
    • pp.291-310
    • /
    • 2008
  • This article is based on 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tudy that aimed to investigate mathematical prepara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in several selected education systems in East Asia. This article reports the Korean portion of the study. A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to explore not only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ir beliefs in their preparation and mathematics instruction but also their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 topic of fraction division. A total of 291 seniors in 3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reveal these prospective teachers' strengths and weaknesses with regard to their knowledge of fraction division, and suggest that content-specific pedagogical knowledge needs to be emphasized in th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