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matter

검색결과 669건 처리시간 0.027초

과학과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관련 쟁점 분석 (An Analysis of Content-related Issues of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 이재봉;김용진;백성혜;이기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1호
    • /
    • pp.140-154
    • /
    • 2010
  • 교과 교육의 핵심은 교과의 교육 목표에 맞게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비하여 과학교육 내용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방안을 찾고자 했다. 우선 과학교육 내용 개선에 관하여 그동안의 선행 연구 분석과 앞서의 교육 내용 변화 분석을 통해 나타난 교육 내용과 관련된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다. 교과 교육 내용의 본질, 배경, 선정, 구조화 측면에 입각하여 과학교육에서 내용의 본질, 교육과정 변화의 사회문화적 배경, 교육과정 내용 선정 절차의 합리성, 교과별 핵심 내용의 선정, 학년 간 개념의 수준과 위계성, 교육 내용의 국제 비교, 교육 내용의 현대화, 내용의 재구조화 방안을 교육 내용 개선을 쟁점으로 보았다. 추출된 쟁점의 의미를 보다 구체화하여 각 쟁점별로 구체적인 문제점이 무엇이고 어떠한 개선 방안이 있는지 찾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분석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전공과 학교급을 고려하여 19명을 선정하였으며, 각 쟁점별 동의 정도와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은 과학교육 내용의 본질의 대한 의견을 수렴 및 합의, 영역별 핵심내용을 선정, 교육 내용 간 통합과 연계 구조도를 개발, 과학 탐구의 목표를 학년별로 명시적 제시, 통합 교과를 지향 및 교과서 구성의 다양화 등이다.

  • PDF

소설 주제 접근체계의 확장 연구 - 상징과 모티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nhancing Subject Access to Fiction Focused on Symbol and Motif)

  • 김나름;김태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9-87
    • /
    • 2006
  • 소설을 비롯한 문학작품에 대한 접근은 기술요소 중심이었고, 주제접근 역시 작품 속에 등장하는 소재, 인물명, 지명 등 형식 요소에 국한되어 왔다. 이러한 관행은 소설 주제의 본질을 놓친 것이며 미학적 경험을 추구하는 이용자의 주제요구를 반영하지 못한다 이 연구에서는 소설 주제접근체계의 확장을 위해 상징 및 모티프의 개념과 주제접근 점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해당 용어사전을 정보원으로 활용하여 상징과 모티프 체계를 구성하고, 20세기 한국소설에 적용해 이용성과 한계점을 논하였다.

놀이노래 가사의 실태와 가사의 전통성 조사 (Survey Analysis of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lay-Songs)

  • 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8-77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ords of the songs in children's games in order to determine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ir rhythm and subject matter and to investigate age and sex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he songs. 71 play songs were used for content analysis. After this, 840 subjects in 15 grades (preschool, first to 12th grades, and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the songs.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one-way ANOVA and Scheffe. The songs exhibited traditional rhythms (3.3 or 4.4) and subject matter (nature, everyday life, and family). Some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Korean war, and current phenomena such as TV, were also included. Sex but not age differences were found in recognition of the songs.

  • PDF

$(-8)^{\frac{1}{3}}$에 내재된 수 체계 확장의 의미와 오류 해석 (The Meaning of the Extensions of Number Systems in School Mathematics and the Error Analysis Involved in the Interpretations of $(-8)^{\frac{1}{3}}$)

  • 최영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9권2호
    • /
    • pp.145-150
    • /
    • 2000
  • In this paper, we study the subject-matter knowledge related to the problem about rational exponent with negative bases. From the school mathematics point of view, we first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extensions of the number systems. We analyze the intrinsic meaning involved in the (-8)$^{1}$ 3) through the natural interpretation of rational exponent with negative bases by the complex number. we explain why it is important for a teacher to have the subject-matter knowledge in order to detect and correct student\`s mistake and misunderstanding.

  • PDF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에 대한 지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in the Case of Division of Fractions)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3호
    • /
    • pp.291-310
    • /
    • 2008
  • This article is based on 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tudy that aimed to investigate mathematical prepara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in several selected education systems in East Asia. This article reports the Korean portion of the study. A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to explore not only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ir beliefs in their preparation and mathematics instruction but also their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 topic of fraction division. A total of 291 seniors in 3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reveal these prospective teachers' strengths and weaknesses with regard to their knowledge of fraction division, and suggest that content-specific pedagogical knowledge needs to be emphasized in th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 PDF

수학교사의 지식과 수업 실제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Teaching Practice)

  • 신현용;이종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3호
    • /
    • pp.257-273
    • /
    • 2004
  • In this paper, we analyze what the components of mathematics teacher` knowledge are, and find that mathematics teacher need knowledge of three areas: subject matter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tudies of practicing teachers suggest that When teachers lack understanding in their respective disciplines, it inhibits them from providing students the best learning opportunities, but that a teacher possess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rovides learners with multiple approaches into learning. Some teachers having sound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students were able to respond appropriately to students' questions, design appropriate learning activities involving a variety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and orchestrate mathematical discourse in the classroom. Thus, it appears that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positively affect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 PDF

교과지식으로서의 유클리드 기하와 벡터기하의 연결성 (Mathematical Connections Between Classical Euclidean Geometry and Vector Geometry from the Viewpoint of Teacher's Subject-Matter Knowledge)

  • 이지현;홍갑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4호
    • /
    • pp.573-581
    • /
    • 2008
  • 학교기하에서는 논증기하, 해석기하, 벡터기하 등의 다양한 접근을 다루고 있는데, 특히 이러한 유클리드 기하에 대한 다양한 접근 사이의 연결성은 기하학적 방법과 대수적 방법의 연 결성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교과지식의 측면에서, 논증기하증명에서 벡터와 내적의 대수적 성질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서 학교 수학에서 기하학적 증명과 벡터와 내적을 이용한 대수적 증명의 연결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Elementary Mathematics Prospective Teachers' Intended Contingent Teaching in Small Groups

  • Pak, Byunge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203-222
    • /
    • 2019
  • Despite its importance when it is employed in classrooms, scaffolding is limited in the classrooms.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contingent teaching, which is the first component of scaffolding. Given a lack of research on contingent teaching with prospective teachers (PSTs), this paper explores how PSTs intend to do contingent teaching in small groups when they engage in mathematics teaching. Building on research on contingent teaching, I analyzed 26 PSTs' written responses to scenarios in an online open-ended survey. The focus of the analysis was on how the PSTs would do contingent teaching that might support students to learn the subject matter. I present findings in relation to what the PSTs' responses showed in relation to contingent teaching with the subject matter. The findings will be discussed along with implications.

교과교육의 측면에서 본 정보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Identity of Information Subject from a Perspective of Subject matter Education)

  • 김자미;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19-227
    • /
    • 2010
  • 교과의 정체성은 해당 교과에 내포된 교육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정당화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보교과는 기초학문으로서 필요의 극대화에도 불구하고 교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면이 적지 않다. 특히 개정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학교 교육에서는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교과의 교과교육으로서 가치를 컴퓨터과학교육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컴퓨터과학교육의 특성을 토대로 교과로써 가치와 목적에 대한 교육적 성찰을 제공하였다.

  • PDF

초등학교 ICT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 Hierarchy of ICT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 김홍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29-141
    • /
    • 2006
  • 초등학교 ICT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ICT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교육과정 내용의 체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교과 교육의 정당화를 바탕으로 교과 내용의 선정 기준과 조직 원리를 탐구하였으며 개정된 ICT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이를 적용 분석하였다. 이를 학습자의 인지 발달에 따른 사고활동 과정과 결합하여 학년 간에는 교육 내용을 계열성 및 계속성의 원리에 따라 논리적으로 조직하고, 동 학년은 학습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학습 과제를 확대하는 심리적 조직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컴퓨터 교과의 목적과 개정방향에 비추어 내용의 양과 범위를 제안하였다. 이것은 초등학교 ICT교육과정 운영 및 교재 개발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