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Memory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5초

ON UNIFORM DECAY OF WAVE EQUATION OF CARRIER MODEL SUBJECT TO MEMORY CONDITION AT THE BOUNDARY

  • Bae, Jeong-Ja;Yoon, Suk-Bong
    • 대한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013-1024
    • /
    • 2007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uniform decay for the wave equation of Carrier model subject to memory condition at the boundary. We prove that if the kernel of the memory decays exponentially or polynomially, then the solutions for the problems have same decay rates.

기억력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연구 분석: 국내 단일대상연구 중심으로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Research for Improving Memory: Focus on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in Korean Academic Journals)

  • 정유진;최유임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4호
    • /
    • pp.39-52
    • /
    • 2021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억력 장애를 가진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기억력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를 수행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확인하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기억력 향상 작업치료 중재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적용한 총 6편의 논문을 분석한 문헌연구로, 연구내용에 대한 일반적 특성 및 연구방법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대상의 질적 수준은 66.7%(4편)가 중간 수준이었고 33.3%(2편)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낮은 수준의 연구는 없었다. 단일대상연구 설계 유형은 모두 반전설계로 ABA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는 뇌졸중, 치매, 경도인지장애 환자였으며, 대상자 수는 1~3명이었다. 독립변수는 오차배제훈련, 어플리케이션 활용 중재, 전산화인지훈련, 시간차회상훈련이었다. 종속변수는 공통변수인 기억력과 함께 집중력, 뇌파변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및 우울이었다. 중재시간은 30~40분, 중재회기는 6~15회기였으며, 총 연구기간은 3~8주로 다양하였다. 중재 결과 모든 연구에서 중재 후 종속변수가 향상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결론 : 기억력훈련에 대한 단일대상연구 적용 작업치료 중재 연구들은 모두 중간 이상의 질적 수준을 보여 임상에서 적용 시 근거기반자료로 의의가 있으며, 기억력 향상에 효과적인 연구들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정방문 인지자극 활동이 치매특별등급(5등급) 노인의 인지기능 및 기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개별대상연구 (Effects of Home-Visit Program with Cognitive-Stimulating Activities on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Self-efficacy of an Elderly with Dementia Special Rating : Single Subject)

  • 손보영;방요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47-262
    • /
    • 2019
  • 본 연구는 가정방문 인지자극 활동이 치매특별등급(5등급) 노인의 인지기능 및 기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기간 및 대상은 2019년 2월 11일부터 4월 26일까지 G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여성 1명으로, 개별대상연구의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초기 진단을 받은 치매특별등급(5등급)의 경증치매 노인에게 비교적 접근성이 쉽고, 스스로 생각하고 풀어갈 수 있는 수준의 신체·인지자극 활동을 병행함으로써 지적능력을 반복적으로 자극하여 저하된 인지기능을 완화시켰고,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글자, 숫자, 신체 움직임 등을 이용한 단기기억 및 회상 활동을 지속적으로 훈련함으로써 저하된 기억력과 집중력의 인지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인지자극 활동이 초기 경증치매 노인들에게 센터, 복지관 등의 특정장소를 벗어나 가정에서 손쉽게 접근 가능한 치매예방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인지자극 활동은 치매특별등급(5등급) 노인의 인지기능 및 두드러지는 기억저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효과적 중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기에, 적극적인 실용 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아동의 축어 기억과 요점 기억의 발달과 과제의 영향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Verbatim and Gist Memory: Task Effects)

  • 송하나;최경숙
    • 아동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83-297
    • /
    • 1997
  •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verbatim and gist memory, and the effects of the relevance and inferential direction of the task on the development of the verbatim and gist memory. The subjects were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Each age group consisted of forty children. Eight sets of inference tasks were administered to each subject. In the task, the relevent and the extraneous sentences were mixed for inferential direction. The sentences that described 'which term is more' were inserted in half of the task and the sentences that indicated the direct numbers were included in the other half of the task. The task was presented by the audio tape in which instruction was recorded by one speaker. Results showed that (1) age differences in verbatim memory were significant but age differences in gist memory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cesses of verbatim and gist memory are separate and independent. (2) The relevance and inferential direction of the task affect gist memory but no verbatim memory. This result also supported independence between verbatim and gist memory. It was suggested that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fuzzy trace theory.

  • PDF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집중력과 기억력 증진: 단일 사례연구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Memory of Stroke Patient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 Single Case Study)

  • 이인선
    • 재활치료과학
    • /
    • 제3권1호
    • /
    • pp.57-65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인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집중력과 기억력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단일사례연구 방법 중 ABA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A 5회, 중재기 B 10회, 기초선 A' 5회기로 총 20회기를 총 4주에 걸쳐 적용하였다. 기초선 A와 기초선 A' 기간에는 별도의 중재를 하지 않았고 중재기 B 기간 동안 '기억의 달인(숫자, 도형, 과일 모드)'과 'Matching cute animals'라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중재하였다. 전 회기에 걸쳐 '기억의 달인(랜덤 모드)'과 'Memory free(그림외우기)'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기억력과 집중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자료는 그래프와 기술통계량으로 제시하였다. 결과 : 회기 별 실시한 기억력과 집중력 평가 결과, 기초선 A와 기초선 A' 기간보다 중재기 B 기간 동안 집중력과 기억력의 향상을 보였고, 중재 전과 후에 실시한 평가에서도 중재 후의 평가에서 집중력과 기억력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중재 효과가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장시간에 걸쳐 시행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3~6세 유아의 기억량의 변화 -수자와 단어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Memory Span in 3-to 6 Year Old Children)

  • 신현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
    • /
    • 1981
  • The phenomena of memory have been shown to come out early in life and to develop drastically for early childho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examine the development of memory of Korean children and also to see the memory span of Korean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0 children (male and female each 40 children) from age 3 to age 6. These subjects were devide into two age groups (3~4 age, 5~6 age). the stimulus materials were the numbers and the words. The numbers in this study were chosen from the number problems of WISC. The 42 words which consisted of two phonemes were selected. The number of items was 3 to 9 on the first through the last trial. altogether 14 trials, 7 trials for numbers and 7 trials for words, were given to each subject. Free recall method was sued.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1. The memory span of Korean early childhood increased as the age of the children increased. 2. The primacy effect was appeared when the age increased. Therefore, rehearsal was appeared as the age of the Korean early childhood increased.

  • PDF

인지적 접근을 이용한 언어중재가 전도성 실어증자의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 연구 (The Effects of Cognitive Language Intervention in a Subject with Conduction Aphasia: Case Study)

  • 이옥분;권영주;정옥란
    • 음성과학
    • /
    • 제8권4호
    • /
    • pp.119-129
    • /
    • 2001
  • Language is one aspect of cognition, along with attention and concentration, learning and memory, visuospatial abilities, and executive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language intervention by cognitive approach on language expressive performance in a patient with conduction aphasia. This study used several tasks such as Attention and concentration task, visual memory tasks, memory tasks, categorization, divergent thinking, self-monitoring and evaluate thinking. The effects of treatment were evaluated by periodic probing of both trained and untrained familiar words in three tasks; picture naming, answering to questions and telling stories. The results showed improvements both in trained and untrained word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expressive language performance of this aphasic patient is amenable to this intervention, and that cognitive therapy approach can be useful.

  • PDF

The Impossible Anamnesis Memory versus History in Hubert Aquin's Blackout

  • Dupuis, Gilles
    • 비교문화연구
    • /
    • 제20권
    • /
    • pp.225-240
    • /
    • 2010
  • Soon after joining the Canadian Confederation in 1867, the province of Quebec adopted the phrase Je me souviens ("As I recall") as its 'national' motto, although many Qu?b?cois do not remember today what they were supposed to memorize, as collective subject, when their government voted this motion. My thesis is that contrary to other countries which have a strong sense of history based on a secular tradition, this process was more complicated in Quebec - as if a collective memory loss lied at the heart of it's history. Through a rereading of Hubert Aquin's cult novel, Trou de m?moire (in its English translation Blackout), first published in 1968, I try to illustrate this paradox and to emphasize the heuristic functions of memory blanks, gaps and lapses in certain postmodern narratives, after the historical breakdown of "the great narratives" (Lyotard). In this perspective, the example of Quebec, through the voice of one of its more gifted yet controversial novelist, can be seen as emblematic of what happens when the mnemonic impossibility of rewriting history opens up new possibilities for writing fiction.

<이타미 준의 바다>에 구성된 기억의 터와 디아스포라 기억 (The Sites of Memory and Diaspora Memory Constructed in (Jung Da-woon, 2019))

  • 강승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54-163
    • /
    • 2022
  • 본고는 기억, 기억의 터, 디아스포라, 정체성과 관련된 이론적·방법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재일 교포 또는 재일 동포로 호명되는 재일 한국인 건축가 이타미 준의 삶에 미친 기억의 터와 디아스포라 기억의 함의를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타미 준(한국명 유동룡)의 생애를 다룬 다큐멘터리 <이타미 준의 바다>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체 48개의 신으로 이야기가 구성된 <이타미 준의 바다>는 바다와 바다 사이의 이편(일본)과 저편(한국)을 기억의 터로 가정해 경계인이자 이방인으로 살아야 했던 이타미 준이 국적, 국경, 영토, 국가의 경계로부터 탈각해 있음을 강조한다. 특히 한국인 유동룡으로도 살아야 했던 이타미 준의 이야기는 바다를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며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탐색하는 통시적 공간(기억의 터)으로 설정했다. <이타미 준의 바다>에 구성된 이타미 준의 기억의 터는 그로 하여금 한국인으로서의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더욱 확고하게 자각하게 하는 기억 공간이다.

경직형과 이완형 마비말장애아동에서 조음속도와 말명료도 및 작업기억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articulation rate, intelligibility and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spastic and flaccid dysarthria)

  • 정필연;심현섭;정숙회;임동선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8권2호
    • /
    • pp.41-4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among articulation rate, speech intelligibility and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dysarthria. Two subject groups of 11 spastic and 11 flaccid dysarthria, respectively, aged between 8 and 17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the following tests: K-WISC III PIQ test, speech intelligibility, working memory and articulation rate. Group differences were compared by an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were computed between all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iculation rate and intelligibility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spastic dysarthria than for the flaccid dysarthria.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rticulation rate and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flaccid dysarthria. La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rticulation rate and working memory in both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articulation rate is not necessarily accompanied by working memory capacity in children with dysarthria,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articulation rate on intelligibility depending on the type of dysarth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