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ites of Memory and Diaspora Memory Constructed in (Jung Da-woon, 2019)

<이타미 준의 바다>에 구성된 기억의 터와 디아스포라 기억

  • Received : 2022.07.22
  • Accepted : 2022.10.12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sites of memory and diaspora memory of the life of Jun Itami(Yoo Dong-ryong), a Korean architect in Japan who is interpellated as Zainichi Koreana adopting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iscussions on memory, sites of memory, diaspora, and identity. To this end, the documentary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which consists of a total of 48 scene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ea and Japan and Korea between the sea are the space of memory, and emphasizes that Itami Jun, who had to live as a borderliner and a stranger is disengaged from the borders of nationalities, territories, and countries. In particular, the story of Jun Itami set the sea as a diachronic space(sites of memory) that penetrates the past and present and explores his diaspora identity. The sites of memory of Jun Itami reconstructed in can be said to be a memory space that makes Yoo Dong-ryong more firmly aware of his diaspora identity as a Korean.

본고는 기억, 기억의 터, 디아스포라, 정체성과 관련된 이론적·방법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재일 교포 또는 재일 동포로 호명되는 재일 한국인 건축가 이타미 준의 삶에 미친 기억의 터와 디아스포라 기억의 함의를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타미 준(한국명 유동룡)의 생애를 다룬 다큐멘터리 <이타미 준의 바다>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체 48개의 신으로 이야기가 구성된 <이타미 준의 바다>는 바다와 바다 사이의 이편(일본)과 저편(한국)을 기억의 터로 가정해 경계인이자 이방인으로 살아야 했던 이타미 준이 국적, 국경, 영토, 국가의 경계로부터 탈각해 있음을 강조한다. 특히 한국인 유동룡으로도 살아야 했던 이타미 준의 이야기는 바다를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며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탐색하는 통시적 공간(기억의 터)으로 설정했다. <이타미 준의 바다>에 구성된 이타미 준의 기억의 터는 그로 하여금 한국인으로서의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더욱 확고하게 자각하게 하는 기억 공간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윤정, "디아스포라 여성의 타자적 정체성 연구: 「리나」와 「찔레꽃」을 중심으로," 세계한국어문학, 제3권, p.139, 2010.
  2. G. Deleuze, P. F. Guattari, 김재인 옮김, 천 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 새물결, p.30, 2001.
  3. P. Ricoeur, 김한식, 이경래 옮김, 시간과 이야기 1: 줄거리와 역사 이야기, 문학과 지성사, p.8, 1999.
  4. 김윤정, "디아스포라 여성의 타자적 정체성 연구: 「리나」와 「찔레꽃」을 중심으로," 세계한국어문학, 제3권, p.141, 2010.
  5. 황인성, 강승묵, "영화 <꽃잎>과 <화려한 휴가>의 영상 재현과 대중의 기억(Popular Memory)이 구성하는 영화와 역사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제35권, p.48, 2008.
  6. L. L. Langer, Holocaust Testimonies: The Ruins of Memor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157, 1991.
  7. I. Chambers, David Clarke ed, The Cinematic City, London: Routledge, p.234, 1997.
  8. 강승묵, "세월호 침몰 사고를 다룬 <빅 피쉬>와 <블라인드 필름>의 기억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15권, 제4호, p.50, 2019.
  9. P. Nora, "Between Memory and History: Les Lieux de Memoire," Representations, Vol.26, pp.8-9, 1989. https://doi.org/10.2307/2928520
  10. P. Nora, "Between Memory and History: Les Lieux de Memoire," Representations, Vol.26, p.12, 1989. https://doi.org/10.2307/2928520
  11.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이론과 실천을 위한 기억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p.57, 2005.
  12. 강승묵, "세월호 침몰 사고를 다룬 <빅 피쉬>와 <블라인드 필름>의 기억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15권, 제4호, p.51, 2019.
  13. E. Casey, Remembering: A Phenomenological Study,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pp.186-187, 1987.
  14. K. Tololian, "Nation State and its Others: In Lieu of a Preface," Diaspora, Vol.1, No.1, pp.3-7, 1991. https://doi.org/10.1353/dsp.1991.0008
  15. W. Safran, "Diasporas in Modern Societies: Myths of Homeland and Return," Diaspora, Vol.1, No.1, pp.83-99, 1991. https://doi.org/10.1353/dsp.1991.0004
  16. 김춘식, "소수집단 문학의 정체성: 기억, 이산, 장소," 비평문학, 제34권, p.113, 2009.
  17. 김춘식, "소수집단 문학의 정체성: 기억, 이산, 장소," 비평문학, 제34권, p.129, 2009.
  18. H. K. Bhabha, "Culture's In-Between," in S. Hall, P. du Gay ed,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LA, California: Sage, p.54, 1996.
  19. S. Hall, "Cultural Identity and Diaspora," in J. Rutherford ed, Identity: Community, Culture, Difference, London: Lawrence and Wishart, p.225, 1990.
  20. N. G. Schiller and G. E. Fourn, "Terrains of Blood and Nation: Haitian Transnational Social Fields," Ethnic and Racial Studies, Vol.22, No.2, p.344, 2011.
  21. 김윤정, "디아스포라 여성의 타자적 정체성 연구: 「리나」와 「찔레꽃」을 중심으로," 세계한국어문학, 제3 권, p.143, 2010.
  22. 김윤정, "디아스포라 여성의 타자적 정체성 연구: 「리나」와 「찔레꽃」을 중심으로," 세계한국어문학, 제3 권, p.148, 2010.
  23. 유선영, "식민지민 디아스포라의 불가능한 장소성: 이동성의 한 유형으로서 부동성의 존재양식," 사회와 역사, 제98권, p.199, 2013.
  24. 유선영, "식민지민 디아스포라의 불가능한 장소성: 이동성의 한 유형으로서 부동성의 존재양식," 사회와 역사, 제98권, p.200, 2013.
  25. 강승묵, "재미(在美) 한인 영상전문가들의 디아스포라 기억에 관한 연구: 미국 시카고 일원 거주 재미 한인 영상전문가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65권, p.13, 2015.
  26. R. King, D. Massey, P. Jess ed, A Place in the World? Places, Cultures and Globaliz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2, 1995.
  27. 조민정, 이용신, "이타미 준의 전시공간에 나타난 비판적 지역주의에 관한 연구: 케네스 프램톤의 비판적 지역주의를 중심으로," 전시디자인연구, 제33권, p.97, 2020.
  28. 강승묵, "재미(在美) 한인 영상전문가들의 디아스포라 기억에 관한 연구: 미국 시카고 일원 거주 재미 한인 영상전문가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영화 연구, 제65권, p.29,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