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yela clava tunic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1초

수산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미더덕껍질 용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Styela clava Tunic for Fishery Waste Recycling)

  • 이상미;강은진;고태훈;정성윤;박근태;이희섭;황대연;정영진;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9-96
    • /
    • 2014
  • Styela clava tunic is generated in large amounts as a waste from S. clava processing plants and causes environmental problem. Although biological activities of S. clava were reported by many investigators, study on S. clava tunic was little. In this study, therefore, tyrosinase inhib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 clava tunic using different solvent were investigated for recycling of the fishery waste. Among extraction methods tested, autoclaved extraction (25.7%) and hot water extraction (18.2%) appeared to be effective for extraction.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 was 46.6 mg/g in autoclaved extract while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 was 23.0 mg/g in chloroform extract. All extracts possesse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the inhibition activity was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concentration ($IC_{50}$) against tyrosinase activity was $0.36{\times}10^4$ mg/ml in ethanol extract, $0.11{\times}10^3$ mg/ml in acetone extract and 0.27 mg/ml in n-butanol extract. Among extracts tested, hot water and autoclaved extracts displayed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organic solvent extracts. Therefore, our data suggest that extract from S. clava tunic may potential candidate for cosmetic product with whitening effect and medicine for diseases caused by various oxidative stresses.

미더덕 껍질 분말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및 품질 분석 (Preparation and Quality Analysis of Fish Paste Containing Styela clava Tunic)

  • 최소연;최은영;이경은;송애선;박소현;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91-1595
    • /
    • 2012
  •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미더덕 껍질을 활용한 고품질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미더덕 껍질을 분말로 만들어서 이를 각각 0, 1, 2, 5%씩 첨가한 튀김어묵을 제조하였다. 미더덕 껍질 분말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 내부의 색도의 L값과 b값은 감소하는 경향,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어묵 표면의 L값, a값,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성검사 결과에서는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강도와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 검사에서는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첨가 군에서 AA가 나와 유연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결과로는 미더덕 껍질 분말을 1% 첨가한 어묵의 경우에서 냄새, 색깔, 맛, 전반적인 수용도면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분말 함유량이 그 이상으로 증가할수록 관능수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더덕 껍질 분말을 1%정도 어묵에 첨가하면 영양적, 물성적, 관능적으로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얻을 수 있는 고품질의 어묵이 제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미더덕 껍질 추출물을 함유한 곤약의 제조 및 품질 분석 (Qualities of Konjac Containing Tunic Extract from Styela clava)

  • 김시경;김승완;노수진;김연주;강지희;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10-414
    • /
    • 2013
  • 수산물 가공 부산물로 여겨지는 미더덕 껍질을 소재로 한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건조한 미더덕 껍질에 물을 가하여 끓인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이용하여 미더덕 껍질 추출물 함유 곤약을 제조하였다. 미더덕 껍질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항산화능을 보유하고 있었다. 미더덕 껍질 추출물 함유 곤약의 색도는 미더덕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지만 a값과 b값은 증가하였고, 갈색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미더덕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곤약의 강도와 경도가 증가하였으며, 절곡검사 결과 모든 곤약에서 유연성과 탄력성이 우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맛과 향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미더덕 특유의 맛과 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질감과 촉촉한 정도는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곤약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고, 전체적인 선호도는 25% 농도의 미더덕 껍질 추출물을 함유한 곤약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적절한 농도의 미더덕 껍질 추출물을 이용하면 기존의 곤약과 비교하여 영양적, 물성적, 관능적으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는 제품이 제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easonal Variation in the Nutritional Content of Mideodeok Styela clava

  • Nacional Loda M.;Lee Jong-Soo;Kang Seok-Joong;Choi Byeong-Da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49-56
    • /
    • 2006
  • We evaluated changes i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Mideodeok Styela clava harvested during the months of January, March, and May 2005.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leucine, and lysine were the most dominant amino acids present. Ratios of essential amino acids to nonessential amino acid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many fish species, with values ranging from 0.55 to 0.61 and 0.66 to 0.67 for muscle of Mideodeok from Geoje and Tongyeong, respectively. Mideodeok seems to be a suitable source of important fatty acids as it contains high level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Eicosapentanoic acid EPA; 20:5n-3 and docosahexanoic acid DHA; 22:6n-3 were the most dominant fatty acids, ranging from 20.0 to 22.3% and 16.5 to 17.9% in muscle, and 20.3 to 23.2% and 15.2 to 18.8% in tunic, respectively. The total mineral fraction of Mideodeok was 22.2-27.3% of dry matter. Sodium, calcium, magnesium, and potassium were the most dominant minerals in both muscle and tunic.

Antioxidative Activity of Carotenoids in Mideodeok Styela clava

  • Nacional, Loda M.;Kang, Seok-Joong;Choi, Byeong-Da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243-249
    • /
    • 2011
  • Carotenoids were found in high levels in both muscle and tunic samples, with the highest and lowest values observed in March and January,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s in muscle (GM) and tunic (GT) harvested in Geoje were 49.1 mg/100g and 56.7 mg/100g, respectively, whereas those in muscle (TM) and tunic (TT) harvested in Tongyeong were 42.0 mg/100g and 50.2 mg/100g,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tunic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between sampling area and month.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carotenoids against linoleic acid peroxidati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hydroxyl radicals as well as their reducing powe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7.6-13.5% in GM, which is relatively weak, whereas it was 21.1-29.9% in GT, 9.6-12.4% in TM and 19.3-24.1% in TT. In comparison to ${\alpha}$-tocopherol, the carotenoids were found to have strong inhibitory effects against linoleic acid peroxidation, and exhibited strong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at 120 ${\mu}g/mL$ of each sample.

수산폐기물인 미더덕껍질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고혈압 활성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 from Styela clava Tunic, Fishery Waste)

  • 이상미;이예람;조광식;박수연;장은영;황대연;정영진;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17-925
    • /
    • 2015
  • Styela clava tunic is generated in large amounts as a waste from S. clava processing plants and leads to environmental problems. It destroys the beach scenery and causes a bad smell and pollution by trashing on the seashore.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from S. clava tunic for recycling of fishery waste.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all extracts were concentration-dependent. Of extracts, hot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the lowest effective concentration ($EC_{50}$) value (0.733 mg/ml). Chloroform extract exhibited the highest metal chelation activity with the lowest $EC_{50}$ value (2.696 mg/ml). Autoclaved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the lowest $EC_{50}$ value (0.491 mg/ml) and n-hexane extract showed the highest reducing power ($A_{700}=1.897$ at 100 mg/ml). And n-but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SOD-like activity with the lowest $EC_{50}$ value (19.116 mg/ml) and ACE inhibition activity with the lowest inhibitory concentration($IC_{50}$) value (0.149 m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tracts obtained from S. clava tunic may potential candidate to reduce diseases caused by various oxidative stresses and hypertension.

미더덕 아세톤 추출물이 산화적 DNA 손상억제 및 암세포 독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eton Extract from Styela Clava on Oxidative DNA Damage and Anticancer Activity)

  • 서보영;정은실;김주영;박해룡;이승철;박은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3호
    • /
    • pp.227-232
    • /
    • 2006
  • 미더덕(Styela clava)은 척색동물문 미색동물아문에 속하는 해양생물로서, 독특한 향과 맛으로 인해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더덕의 생리활성물질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미더덕을 전체, 살 및 껍질 부분으로 나누어 아세톤으로 추출한 뒤 산화적 DNA 손상억제 및 항암 활성을 측정하였다. 미더덕 각 부위 추출물을 5, 10, $50\;{\mu}g/ml$의 농도로 백혈구에 처리한 후 200\;{\mu}M의 $H_2O_2$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DNA 손상 억제 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comet assay를 실시하였다. 미더덕 전체 추출물을 5, 10, $50\;{\mu}g/ml$의 농도로 백혈구에 처리했을 때 손상된 DNA tail 부분의 DNA 함량을 측정한 % fluorescence in tail이 26.9, 27.0, 23.8%로 63.9%인 $H_2O_2$ 처리 양성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미더덕살 추출물의 경우, 5, 10, $50\;{\mu}g/ml$ 처리시 농도에 의한 효과 차이는 볼 수 없었지만 양성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DNA 손상정도가 감소하였다. 미더덕 껍질 추출물의 경우 같은 농도로 처리했을 때 각각 농도 의존적이며 유의적으로 DNA 손상정도가 감소하였다. 인간 대장암 유래의 세포주 HT-29의 성장억제 효과에 조사하기 위해 미더덕 부위별 아세톤 추출물을 10, 50, 100, $500\;{\mu}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한 뒤 MTT reduction assay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각 추출물에 대해 전체적으로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가 증가되었다. 전체, 살, 껍질 부위별 추출물을 $100\;{\mu}g/ml$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각각 90.5%, 82.0%, 75.2%로 비교적 낮은 활성을 보였지만, $500\;{\mu}g/ml$로 처리했을 때 각각 26.9%, 30.6%, 12.0%로 급격히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껍질 부분의 아세톤 추출물이 강한 DNA 손상억제 및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미더덕 껍질을 이용한 셀룰로오스 필름의 제조 및 특성 (Properties of Regenerated Cellulose Films Prepared from the Tunicate Styela clava)

  • 정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37-242
    • /
    • 2008
  • The tunic of Styela clava(SCT) consists of a proteoglycan network. Regenerated cellulose films were prepared by solution casting and coagulation of SCT in N-methylmorpholine-N-oxide(NMMO)/$H_2O$(87/13 wt%).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powdered SCT was primarily that of cellulose I.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SCT films exhibited a cellulose II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viscose rayon.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SCT films and fibers revealed an intrinsic viscosity($\eta$) of 6.35 dL/g, average molecular weight($M_w$) of 423,000 g/M, and fiber density of 1.50 $g/cm^3$ with a moisture regain and water absorption of 10.20% and 365%,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f cellulose films regenerated from wood pulp. Films prepared with 6 wt% SCT exhibited strong tensile strength, high water absorption, and a greater degree of elongation.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SEM) of film cross-sections showed a layered, sponge-like structure.

미더덕 껍질로부터 Glycosaminoglycans의 추출 (Extraction of Glycosaminoglycans from Styela clava Tunic)

  • 안삼환;정성훈;강석중;정태성;최병대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180-185
    • /
    • 2003
  • GAGs의 추출 방법 중 효소의 사용으로 추출 효율의 상승과 원료수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효소 사용에 따른 생산단가의 상승과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따른 화장품 규격을 만족시킬 수 없음으로, 1/60 M sodium phosphate buffer로 105$^{\circ}C$로 열수 추출하는 것이 화장품 규격을 만족시키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추출한 GAGs의 SO$_4$ 함량은 31.2%이고 회분의 함량이 22.2%로 GAGs 추출 향상을 위해 사용되어지는 sodium phosphate의 사용으로 회분 함량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고 무기질 분석에서 Na의 함량이 3.0 mg%로 총 무기질의 47.6%를 차지하고 있었다. 시료를 HPLC로 분석하였을 때 chondroitin sulfate A, C와 동일한 분석시간을 나타내어 chondroitin sulfate의 함유 가능성을 나타내고, glucosamine과 galactose가 78.0% 존재하는 것을 당조성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일반 성분, HPLC분석, 당 조성분석과 아미노산 분석결과로 glucosamine과 galacturonic acid가 주가 되어 threonine으로 연결된 구조를 하는 GAGs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장품 원료 기준에 맞추기 위해서는 sulfate 함량이 35.0~45.0%, 단백질 함량은 14.0~22.0%로 유지해야하므로 제단백결과 5.0%, 10.0%, 20.0% TCA (w/v) 처리, 10.0%, 20.0%, 40.0% HCI (v/v) 처리, UF(ultra filtration)를 포함한 10.0% TCA (w/v), 20.0% SSA (w/v), 25.0% HCI (v/v) 처리 결과 5.0% TCA (w/v) 및 10.0% HCI (v/v)이 화장품 기준에 적합하며 경제적이며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채취시기에 따른 미더덕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및 ACE 저해 활성 (Antioxidant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Styela clava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 이동원;유동현;양은경;장인철;배명숙;전유진;김석주;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31-336
    • /
    • 2010
  • 미더덕(Styela clava)을 시기에 따라 2월부터 7월까지 매월 1회 채취하여 육질과 껍질 부분으로 나눈 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활성과 ACE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육질 부위가 껍질 부위보다 높았고, 가장 높은 소거능은 4월에 채취한 미더덕의 육질 부위의 물 추출물에서 53.02%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에는 3월에 채취한 미더덕의 육질 부위의 물 추출물에서 61.1%로 가장 높았다. ACE 저해능은 전반적으로 육질부위가 껍질 부위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고, 대체로 3월에서 5월 사이에 채취한 경우에서 높게 관찰되었다. 가장 높은 ACE 저해능은 3월 미더덕의 육질 부위의 물 추출물에서 65.22%로 측정되었다. 한편, 냉동 미더덕의 ACE 저해능은 육질 및 껍질 부위 모두에서 3월과 5월 사이에 채취한 미더덕의 경우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냉동 미더덕이 3월과 5월 사이에 채취된 것이고 냉동 과정 중에 ACE 저해능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로 미더덕의 채취 시기 및 부위에 따라 항산화 및 ACE 저해능의 차이가 있으며, 3월에서 5월에 채취한 미더덕의 육질 부위가 비교적 높은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