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y participant motivatio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생 여가스포츠의 참여동기, 신체적자기개념, 대학생활만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Participant Motivation, Physical Self-concept,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f the Leisure Sport on the University Students)

  • 이건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57-366
    • /
    • 2019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여가스포츠 참여동기와 신체적 자아개념 및 대학생활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여 대학생들에게 여가시간을 통하여 스포츠참여에 대한 기회의 확대와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J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여가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 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19명을 최종분석 하였다. SPS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참여동기와 신체적 자아개념 및 대학생활만족에 대한 상호관련성의 결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나고 있다. 둘째, 참여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포츠유능감은 건강체력, 사교에서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은 즐거움, 건강체력, 컨디션에서 미치는 영향, 자기존중감, 근력은 즐거움, 건강체력, 컨디션, 사교에서 미치는 영향, 유연성은 즐거움, 건강체력, 사교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동기가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만족은 즐거움, 건강체력, 컨디션, 외적과시, 사교에서 미치는 영향, 교우만족은 즐거움, 컨디션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집단 토의·토론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수업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ker Class Emphasizing Small Group Discussion and Debat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 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4-63
    • /
    • 2019
  • 본 연구는 P광역시 소재 M초등학교 5학년 48명을 대상으로 소집단 토의 토론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5학년 한 개 반 24명을 연구 집단으로, 또 다른 한 개 반 24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 집단에게는 10차시의 소집단 토의 토론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교육과정에 의한 일반 과학 수업 10차시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첫째, 소집단 토의 토론 기반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수업 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집단 토의 토론을 강조한 메이커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집단 토의 토론 기반 메이커 수업에 대한 참여 학생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수업에 대한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에 있어서 대부분의 학생들로부터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소집단 토의 토론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 동기 및 과학적 태도를 함양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린캠프 청소년 참가자의 숲체험 참여동기에 따른 정서적 변화 (The Emotional Changes of the Green Camp Adolescent Participants According to Participative Motivation of Forest Activities)

  • 장진;이연희;하시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2호
    • /
    • pp.230-239
    • /
    • 2017
  • 본 연구는 숲체험 캠프인 '그린캠프'에 참가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프로그램 참가 전 후 창의적 인성 변화 등을 분석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청소년들이 그린캠프에 참가한 동기는 '모험 흥미', '숲체험', '신체건강증진', '휴식', '주변 권유' 등 총 5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각 요인별 만족도 평균을 비교한 결과 '모험 흥미' 요인의 평균이 4.303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숲체험' 요인 4.287, '휴식' 요인 3.97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만족도는 '캠프에 사용된 교재 또는 교구'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4.53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캠프 내용(4.410)', '진행자(4.229)', '진행방법(4.036)', '진행장소(3.952)', '진행시간(3.84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기요인별 만족도 중 '숲체험' 요인은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프로그램 참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캠프 참가자의 창의적 인성 변화는 프로그램 참가 전 평균 3.687에서 참가 후 평균 3.77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2.218, p=0.029). 본 연구는 청소년 숲체험 교육의 참여동기에 따른 만족도 분석을 통해 개선점을 도출하고, 창의적 인성 변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숲체험을 중심으로 하는 산림교육 활성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Evaluation of Beneficial Walking Elements to Identify Motivations for Walking Habit Formation

  • Max Hanssen;Muneo Kitajima;SeungHee Lee
    • 감성과학
    • /
    • 제26권2호
    • /
    • pp.117-12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build on past findings about differences in personal walking experiences by demonstrating what elements were beneficial to participants with different walking habits. Accordingly, this study establish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lued walking elements and people's motivation to walk, by dividing participants into three groups: Group W for people with a walking habit, Group HW for people who walk occasionally but not regularly, and Group NW for people who do not walk habitually. Participants walked a familiar and an unfamiliar route with a wearable device that recorded their heart-rate variability and electrodermal activity. Changes in the biometric data helped to identify the defining moments in each participant's walk. Participants discussed these moments in one-on-one interviews with a researcher to pinpoint their valued walking elements. As a result, this study classified walking elements into six themes: "Surroundings," "Social," "Exploration," "Route Plan," "Physical Exercise," and "Mental Thinking." A walking habit development model was made to show how "Route Plan" and "Exploration" were beneficial to Group NW, "Social" and "Surroundings" were beneficial to Group HW, and "Route Plan," "Mental Thinking," and "Physical Exercise" were beneficial to Group W.

전문간호사 교육과정생의 실습소속감 경험: 학습연계과정 (Experience of Belongingness at Apprentice Course for Advanced Practice Nurse: Learning-connected Process)

  • 김미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5-407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belongingness experienced during the apprentice course for advanced practice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5 people, who attended the apprentice course for advanced practice nurse, from three schools in Seoul from Jan. 19 until Feb. 25, 2010.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as adapt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core category of this study was the 'learning-connected process' and this process was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These stages were: going along with the atmosphere, exchanging, and integrating. During the course, the 'uncomfortable participation' as the central idea meant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a tension about practice learning of the participant and was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interaction and the distinct instruction of learning contents. Belongingness was characterized by the Joyful and happy participation which linked to the motivation of new learning opportunitie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process to belongingness an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belongingness and learning. Further studies would suggest exploring the components of belongingness, a concept analysis and incorporating the belongingness scale with other qualitative research on this topic.

Anonymous and Non-anonymous User Behavior on Social Media: A Case Study of Jodel and Instagram

  • Kasakowskij, Regina;Friedrich, Natalie;Fietkiewicz, Kaja J.;Stock, Wolfgang 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6권3호
    • /
    • pp.25-36
    • /
    • 2018
  • Anonymity plays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on social media. This is reflected by more and more applications enabling anonymous interactions. However, do social media users behave different when they are anonymous? In our research, we investigated social media services meant for solely anonymous use (Jodel) and for widely spread non-anonymous sharing of pictures and videos (Instagram).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nonymity on the behavior of users on Jodel compared to their non-anonymous use of Instagram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ser types: producer, consumer, and participant. Our approach is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U>) by E. Katz, specifically on the sought gratifications (motivations) of self-presentation, information, socialization, and entertainment. Since Jodel is mostly used in Germany, we developed an online survey in German. The questions addressed the three different user types and we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four motivation categories of the U>. In total 664 test person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 that anonymity indeed influences users' usage behavior depending on user types and different U> categories.

활동중심 수업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effect of activity oriented class about the character of the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y of the mathematics)

  • 김응환;최성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209-227
    • /
    • 2006
  • 보통 학습에서의 실패는 누적된 학습 결손과 함께 학습동기와, 자신감, 태도, 습관 등의 정의적인 영역에서도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는 다음 학습에 더 큰 실패를 초래하고 계속되는 학습결손과 좌절감, 의욕 및 흥미상실을 가져오는 악순환을 이루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부진아를 구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결손을 보충하기 위한 활동중심수업을 시도하여, 이 활동중심 수업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서 학습 부진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조사하였다. 활동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수학시간이 많이 기다려지고 수학 공부하는 것을 즐겁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기에서는 타인에게 수학을 잘한다는 인정을 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감에서는 학생 스스로 수학공부를 쉽게 생각하고 잘할 수 있을 꺼라 생각하며 수학시간에 배운 내용을 스스로 응용해 보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로 학습 부진아의 지도는 획일적인 수업이 아니라 다양하고 풍부한 수업환경을 제공하는 교실 내 수업변화가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임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학습결손의 보충의 의미만 있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학습하는 방법 및 태도를 평소에 습득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 PDF

인터넷을 통한 패션상품 구매행동의 탐색적 연구 (Consumers’Purchasing Process of Fashion Products on the Internet: A Qualitative Approach)

  • 김현정;이은영;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07-917
    • /
    • 2000
  • Although interest in the potential and actual usage of the Internet as a transaction medium is increasing, the market for fashion merchandise on the Internet in Korea has yet to take off. As the Internet environment is expected to bring about a transformation of conventional consumer buying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buying behavior of fashion products on the Internet to identify relevant concepts and generate hypotheses for further empirical research. The research methods selected for the study were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Twelve subject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on the Internet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Those who could not participate in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because of the geographic locations were interviewed on-li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bjects went through the stages of shopping motivation stage, site choice behavior stage, in-site behavior stage, and postpurchase behavior stage. Second, a model was extracted for each shopping stage, and a final model was completed based on comparisons with the participants processes. The information content of each phase was discussed. Finally, each participant was classified using their purchasing process, revealing six possible mixed usage patterns of the Internet marketing system and the traditional marketing system.

  • PDF

수학교사 연수에서 협력적 멘토링의 실제 -'함께 만들어가는 수학교사 연수'의 사례를 중심으로- (Collaborative mentoring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mathematics teachers: A case of "PD program of multi-tiered teacher community")

  • 조형미;권오남;이지연;윤정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3호
    • /
    • pp.283-298
    • /
    • 2015
  • This research is the case study of collaborative mentoring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lti-tiered mathematics teacher community. We observed the procedures of mentoring, and contents of mentoring in PD program. For this purpose, we implemented PD program with participant unit composed of 3 or 4 teachers in the same school and total 25 teachers from 4 elementary schools and 4 high schools. Also there were 1 mentor and 1 sub-mentor to support each school. Observed mentoring processes were all recorded and the participants not only were interviewed several times but also wrote reflection notes after meetings. While mentoring PD program was implemented, mentor and mentee had joint responsibility about lessons implemented by mentee. Furthermore It showed possibility of change of teacher learning culture, learning culture of community. It means that teacher would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more effectively within teacher community instead of individual. 4 reflection contents was founded in collaborative mentring; 1)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2)motivation and connection between previous lecture and present lecture 3)lack of mathematical contents in lesson 4)discours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초등과학교사연구회 활동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 on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by Participating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Study Group)

  • 장지은;성승민;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585-59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교사연구회 활동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회의 운영 및 활동내용, 참여 동기는 무엇인지와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N 초등과학교사연구회와 소속된 교사이다. 자료는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종류는 참여관찰록, 연구회 활동사진, 문서자료, 면담자료 등이었다. 참여관찰을 하면서 본 연구회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의 인식을 면밀하게 살펴보기 위해서 연구회 참여 경력을 기준으로 5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연구회 참여 동기, 개인적인 만족도, 전문성 신장에 대한 교사의 인식 등에 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N 초등과학교사연구회는 운영 방식과 활동 내용에 관하여 회원들 간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운영 체제를 확립해가고 있으며, 초등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과학 수업을 위해 고민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교사가 과학 및 과학 교수법에 대한 관심과 열의로 연구회에 참여하게 되었으나, 연구회에 대한 만족도는 개인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들 모두 연구회가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더 발전적인 초등과학교사연구회가 운영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