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Employment

검색결과 736건 처리시간 0.011초

Job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 Expansion of Core Competence Theory

  • Park, Cheol Kyu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4권1호
    • /
    • pp.55-7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competence determines the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K-CESA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of a Korean university during 2009-2014. This test comprises of 6 categories of competence: self-management, global readi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ource/information/technology handling, communication and comprehensive reasoning. In addition to these competences, we add the comprehensive variable, grade point average. In order to identify the qualities of employment, employment was classified into 3 types: all employment, employment in decent jobs and employment in the top 500 companies. Results are as follows: For all employment and decent jobs, GPA and comprehensive reasoning were the meaningful variables. However in case of the top 500 compani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added.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fundamental concepts of college students' job competence: job specific competence, job basic competence, and basic competence.

전공 선택동기, COVID-19 불안,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COVID-19 Anxiety, and Work Value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ocused on Health College Students)

  • 김은정;박사라;임성범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9-56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COVID-19 anxiety, and work values on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health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evidence for developing programs for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the future. Methods : Employing a random sampling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2 to June 3, 2022, using an electronically-disseminated questionnaire with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edical technician, health administration, and nursing from D and K colleges located in Daegu. A total of 402 students who fully understood and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participated.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which were verified us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major selection motivation, COVID-19 anxiety, and work values. Second,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motivation behind choosing a major, work values, and COVID-19 anxiety, in that order. The higher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work values, and COVID-19 anxiety were, the better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was. Conclusion : The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it would be meaningful to provide health college students who were highly motivated to select their major and who possess sound work values with well-prepared job training programs. Various activities organized by the school for improving the students' self-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hich can strengthen their long-term work values, could also be provided. In addition, due to the continuing COVID-19 pandemic, college students may feel anxious about new infectious diseases that might occur in the future. Therefore,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situation, a helpful educational program will be invaluable to fit the pupils for life's battle after they finish their education.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중학생의 영양지식과 식행동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Mother's Employment Status)

  • 김성희;김명희;최미경;김미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6-24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mother's employment status. Of all 453 subjects, 52.1% were boys, and 67.5% of the mothers were employed. The total score of nutritional knowledge was 8.0 out of 10 for students with a non-working mom and 7.7 for those with a working mom,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20 nutritional knowledge questions, correct answer rates for "lots of fruits may be eaten because of not gaining weight" (72.6% vs. 81.6%, p<0.05) and "eating raw carrots is better than eating fried ones with oil" (34.6% vs. 44.9%,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tudents with a working mom. The regularity of mea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ther's employment, indicating that responses of "very regular" (62.4% vs. 72.1%) were high among students with a non-working mom and responses of "skipping breakfast" (31.4% vs. 19.7%) were higher in students with a working mom (p<0.05). The number of snacks a day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ther's employment, showing that 12.8% of the students with a working mom and only 3.4% of them with a non-working mom did not eat snacks at all (p<0.05). These results reveal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nutritional knowledge according to their mother's employment status; however, the students whose mother had a job were more likely to have more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such as irregular meals and snacking.

문헌정보학과 학생의 취업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Cognitive Survey about Student Employment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s)

  • 노영희;심효정;곽우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9-1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이 생각하는 문헌정보학의 취업전망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여 현재의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취업준비도, 취업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들의 취업희망분야는 도서관이 가장 높고 그 중에서 공공도서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취업희망지역은 출신대학의 소재와 관계없이 서울 경기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며, 현장기반 취업프로그램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준비에 대한 애로사항은 취업정보에 대한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장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건은 근무조건, 정년보장, 복리후생, 보수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취업률 제고를 위해서는 취업정보시스템의 구축, 현장기반 교육과정의 강화, 그리고 지방의 취업여건 및 환경개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만학도 간호대학생의 취업지원 경험 (Employment Support Experience of Mature Nursing Students)

  • 이민희;김나은;최재은;양진향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5-4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만학도 간호대학생의 취업지원 경험의 의미와 구조가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D시와 K시 대학에 재학 중인 만학도 간호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으며, Colaizzi가 제안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주제, 8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나이 등의 취업의 한계상황에 직면하면서도 취업조건의 부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며 취업을 준비하고 있었다. 또한 만학도로서 가진 장점을 찾으며 취업의 의지를 다져나갔으며, 전문직 간호사가 되기 위한 토대를 구축하는 등의 취업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만학도 간호대학생의 취업지원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충북지역 대학의 취업지원 활동에 대한 대학 취업담당자와 대학생들 간의 인식의 차이 (A Study on the Perception Level Differences Between Staffs and Students on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ing Activities in Choong-buk Province, Korea)

  • 김동환;오상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510-3516
    • /
    • 2011
  • 경체 침체와 고용 없는 성장 산업으로 인해 대학생의 실업 문제가 점차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대학생의 취업률 문제가 대학의 평가로 이어질 정도로 정부가 관심을 갖고 대학생 취업률을 올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의 취업 정책은 졸업자의 취업지원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대학생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의 취업지원 활동의 의도, 추진 성과, 준비성 등과 대학생이 인지하는 만족도, 효용성 등 부문에서 일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활동의 효과에도 문제가 있지만 프로그램 추진의 효율성도 떨어져 예산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학 취업 지원활동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대학의 지원활동에 대한 대학생의 인지도, 활용도, 만족도 등을 분석하여 대학의 취업 지원 프로그램 수정 제안과 함께 관련 주체들의 바람직한 태도와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장벽이 취업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Employment Decisions among Students from Beauty-specialized High Schools)

  • 김아영;전현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34-642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employment decisio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specializing in beauty-related fie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9 students attending beauty-specialized high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buk-do, and a self-written questionnaire was employed for conducting the research.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4 to April 18, 2022. A total of 3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50 responses were collected. Of these, 339 questionnaires were considered for the final analysis, as the remaining 11 had incomplete or in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reer barriers affecting high school students in beauty-specialized schools were categorized into eight factors: lack of interest, economic difficulties, financial support, interpersonal challenges, job information, anxiety about future, conflict with others, and lack of self-clarity. Second, when assessing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n employment decision-making, it was observed that the level of employment decision-making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 effect, and the lack of interest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level of employment decision-making. Next, the significance of the regression model, considering the specific factors of career barriers in relation to employment confidence, was established as p<.001. Variables such as a lack of interest, limited access to job information, and lack of self-clarity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level of employment confidence,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대학 빅데이터 기반 학생 취업 로드맵 추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iversity Big Data-based Student Employment Roadmap Recommendation)

  • 박상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7
    • /
    • 2021
  • The number of new students at many domestic universities is declining. In particular, private universities, which are highly dependent on tuition, are experiencing a crisis of existence. Amid the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universities are striving to fill new students by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increasing the student employment rate. Recently,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of using the accumulated big data of universities to prepare measures to fill new student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is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student employment. Existing employment-influencing factor analysis studies have applied quantitative models such as regression analysis to university big data. However, since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differ by major,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is. In this paper,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by major are analyzed using the data of University C and the decision tree model.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roadmap for student employment by major is recommend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four decision tree models were constructed for each major, and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by major and roadmap were derived.

지적장애학생의 취업 및 고용 유지를 위한 주요기술 관련 특수교사 인식 (The Special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Significant Skills Required b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Gaining and Maintaining Employment)

  • 박영근;조인수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245-265
    • /
    • 2013
  •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취업 및 고용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기술들에 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지적장애아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취업 및 고용유지를 위한 일상생활기술, 개인-사회적기술, 직업기술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지적장애 학생들의 성공적인 취업 및 고용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지적장애 학생들이 직업을 가지는 것이 성공적인 성인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지적장애학생들이 고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적장애학생들의 취업 후 지속적인 고용 유지를 방해하는 많은 요인들이 있기 때문이다. 양적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취업 및 고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기술, 직업기술, 개인-사회적 기술이 모두 중요하지만, 학생들의 개인-사회적기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한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의 결과에서도,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취업을 하고, 고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직업 기술보다는 학생들의 성실성, 착한 인성, 사회성기술, 지시따르기 등의 태도 등이 더욱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이를 교수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진로태도성숙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The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Work Value, Career Attitude Maturity Influence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김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96-105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진로태도성숙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하는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218명의 학생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6월 4일부터 8월 2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25.0 for Windows를 이용하였으며 취업준비행동을 종속변수로 하고, 관련 요인으로서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업가치관, 진로태도성숙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직업가치관 및 진로태도성숙도와 취업준비행동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실시하였고, 취업 준비행동의 영향요인으로 직업가치관과 진로태도성숙도 영향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취업준비행동을 종속변수로 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들을 보정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직업가치관과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았다. 천주교와 개신교를 종교로 갖고 있는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진로태도성숙도,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았다. 그리고 직업가치관과 취업준비행동, 진로태도성숙도와 취업준비행동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 중 직업안정 가치관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낮고, 애국 및 실내활동 가치관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았다.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영역 중에서는 독립성, 준비성, 확신성, 결정성이 높은 경우에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았다. 최종적으로 직업가치관과 진로태도성숙도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 결과, 직업가치관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은 반면에 진로태도성숙도는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