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 Bolt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4초

CFT기둥과 H-형강보의 볼트 접합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olted Moment Connection between H-Beam and CFT Column)

  • 박순규;노환근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통권37호
    • /
    • pp.789-799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CFT-기둥과H-형강보의 볼트를 이용한 접합부의 형식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선형, 굽힘형, U자형, 기성제품 고장력 볼트를 이용한 아홉가지 형식의 접합부를 제안하였다. 이 아홉가지의 접합부 형식에 대하여 단순 인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 실험 결과에 의해 성능이 우수한 형태를 선정하여 단순 휨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단순 휨 실험을 통해 보-기둥 접합부의 구조적인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단순 휨 실험의 분석 결과, 휨 접합부의 구조성능은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공시 해결되어야 할 사항들이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슬래브확장을 위한 접합부의 전단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performance of Joints for slab extension)

  • 유한국;박태원;정란;이상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109-110
    • /
    • 2009
  • 본 연구는 리모델링을 통한 슬래브 확장 시, 기존슬래브와 신설슬래브의 접합부에 작용하는 전단성능을 알아보았다. 실험체의 변수는 강관콧타, 전단철근, H형강, 스터드볼트, 원형전단키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실험의 결과, 충분한 전단강도를 보인다면 이를 접합부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 PDF

전단 연결재의 고온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lip Test of Shear Connector in Fire)

  • 한상훈;박원섭;이철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8-51
    • /
    • 2008
  • Shear connector is the element which resist in the horizontal shear force between steel and concrete of composite members and the stud bolt is often used because of its constructional convenience and serviceability. Although the push-out test is the most common method to evaluate shear slip behaviour, it is suitable for only room temperature condi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bout shear forc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slip displacement of shear connector in high temperature through the modified push-out test with electronic furnace invented for steel part heating.

  • PDF

Three-dimensional FE analysis of headed stud anchors exposed to fire

  • Ozbolt, Josko;Koxar, Ivica;Eligehausen, Rolf;Periskic, Goran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2권4호
    • /
    • pp.249-266
    • /
    • 2005
  • In the present paper a transient three-dimensional thermo-mechanical model for concrete is presented. For given boundary conditions, temperature distribution is calculated by employing a three-dimensional transient thermal finite element analysis. Thermal properties of concrete are assumed to be constant and independent of the stress-strain distribution. In the thermo-mechanical model for concrete the total strain tensor is decomposed into pure mechanical strain, free thermal strain and load induced thermal strain. The mechanical strain is calculated by using temperature dependent microplane model for concrete (O$\check{z}$bolt, et al. 2001). The dependency of the macroscopic concrete properties (Young's modulus, tensile and compressive strengths and fracture energy) on temperature is based on the available experimental database. The stress independent free thermal strain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roposal of Nielsen, et al. (2001). The load induced thermal strain is obtained by employing the biparabolic model, which was recently proposed by Nielsen, et al. (2004). It is assumed that the total load induced thermal strain is irrecoverable, i.e., creep component is neglected. The model is implemented into a three-dimensional FE code. The performance of headed stud anchors exposed to fire was studied. Three-dimensional transient thermal FE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ree embedment depths and for four thermal loading histo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resistance of anchor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f they are exposed to fire. The largest reduction of the load capacity was obtained for anchors with relatively small embedment depths. The numerical results agree well with the available experimental evidence.

철근콘크리트 무량판 슬래브의 일체형 SL(Shear Ladder) 전단보강재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SL Shear Reinforcement for Reinforced Concrete Flat Plate Slab)

  • 우종열;홍성욱;박승환;김신;신찬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2부
    • /
    • pp.53-56
    • /
    • 2011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SL shear reinforcement that it can be installed easily in filed as product at the factory and seismic performance can be achieved. The method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researched constructability and economy of existing method. Secondly, we made specimen and were examined structural performance tests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shear reinforcement. Shear strength of HILL01-HILL03 specimen applied to SL shear reinforcement increased about 5-14% when compared with the applied shear stirrup reinforcing existing specimens. Also, the amount of the maximum deflection of the central sub-section of HILL01-HILL03 specimen applied to SL shear reinforcement decreased about 41-42% when compared with the applied shear stirrup reinforcing existing specimens. As a result, developed SL shear reinforcement increased in shear strength and stiffness of reinforcement, structural safety is judged to be increased.

  • PDF

예측디콘볼루션에 의한 볼트 나삿니의 미세 균열 검출 (Small Crack Detection in Bolt Threads by Predictive Deconvolution)

  • 서동만;김환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9
    • /
    • 1997
  • 스터드 볼트에 존재하는 작은 결함은 초기에 발견되지 않으면 작은 결함이라도 결함 크기가 급진전되어 전체적인 파손에 이른다. 그러나 이러한 나삿니의 응력부식결함이나 부식 찌꺼기와 같은 것은 가동중검사에서 일반적인 초음파 검사로써는 검출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탈신호처리에 의한 결함 검출 방법을 보인다. 초음파가 나삿니에 평행하게 입사된다면 연속적인 나삿니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는 거의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속적인 나삿니신호는 예측 간격에 의해 처음 신호를 기초로 다음 신호를 추측할 수 있는 데 여기서 최적 연산자를 사용해 예측되는 연속적인 나삿니신호를 제거하여 결함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 PDF

평판형 전조압연의 성형특성 연구 (A Study on Forming Characteristics in Plate Type Cross Rolling Process)

  • 윤덕재;이근안;이낙규;최석우;이형욱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9-332
    • /
    • 2005
  • Cross rolling process is one of incremental forming processes to form an axi-symmetric shaped metal component. It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dies, which are a drum type (roll type) and a plate type (straight type). It can also be classified into a wedge type and a ramp type processes according to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a material. The ramp type die is applied to plate type cross rolling process in cold forming process for forming of teeth of gear or bolt, while the wedge type die is generally utilized to drum type and plate type cross rolling processes in hot forming process. A shape of the ramp type die is usually same as final shape of a product at every section of a progressing direction, while the shape of the wedge type die has different shapes in a progressing direction. In this paper, a rolling of neck part in a ball stud component has been carried out using the plate type cross rolling process with a ramp shaped die. Forming characteristics have been performe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in order to obtain a proper preform for the ramp type plate cross rolling process.

  • PDF

Comparison of structural foam sheathing and oriented strand board panels of shear walls under lateral load

  • Shadravan, Shideh;Ramseyer, Chris C.;Floyd, Royce W.
    • Advances in Computational Design
    • /
    • 제4권3호
    • /
    • pp.251-272
    • /
    • 2019
  • This study performed lateral load testing on seventeen wood wall frames in two sections. Section one included eight tests studying structural foam sheathing of shear walls subjected to monotonic loads following the ASTM E564 test method. In this section, the wood frame was sheathed with four different types of structural foam sheathing on one side and gypsum wallboard (GWB)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all frame, with Simpson HDQ8 hold down anchors at the terminal studs. Section two included nine tests studying wall constructed with oriented strand board (OSB) only on one side of the wall frame subjected to gradually applied monotonic loads. Three of the OSB walls were tied to the baseplate with Simpson LSTA 9 tie on each stud. From the test results for Section one; the monotonic tests showed an 11 to 27 percent reduction in capacity from the published design values and for Section two; doubling baseplates, reducing anchor bolt spacing, using bearing plate washers and LSTA 9 ties effectively improved the OSB wall capacity. In comparison of sections one and two, it is expected the walls with structural foam sheathing without hold downs and GWB have a lower wall capacity as hold down and GWB improved the capacity.

절곡 강판(Cap)을 전단연결재로 사용한 강판-콘크리트 합성보의 휨강도 분석 (Analysis about Flexural Strength of Steel Plate-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Folded Steel Plate (Cap) as Shear Connector)

  • 조태구;최병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81-492
    • /
    • 2018
  • 본 강판 콘크리트 합성보는 강판, 콘크리트 및 전단 연결재로 구성되어 2개의 이질 재료를 결합한다. 일반적으로 강판은 기존의 합성보에 용접하여 조립된다. 이 연구에서, SPC 보는 스터드가 없는 강판과 콘크리트로 구성된다. 절곡한 강판은 용접 대신 고강도 볼트로 조립된다. 현장 건설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슬래브와 접합부에 모자 모양의 Cap이 부착되어있다. Cap을 전단연결재로 사용하여 SPC 보의 휨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변위 제어 모드에서 단조 하중 2점가력 실험을 수행 하였다. 전단 연결재 유형, 돌출 길이, 강판의 두께의 변수를 갖는 5개의 시험편을 제작하여 시험 하였다. KBC 2009에서 제시하는 전단강도비와 휨강도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로 전단 강도비를 40% 이상으로 나타냈다. 전단 연결재와 Cap을 부착하였음에도 완전합성보로 가정한 휨강도의 70% 이상의 휨강도를 발휘하였다. 또한 Cap이 스터드 보다는 작은 전단강도를 보였으나, Cap이 전단연결재 역할을 하였다. 강판두께를 변수로 한 경우, 완전합성보 대비 약 70%의 휨강도를 발휘하였으며, 유사한 변형성능을 나타내었다. 불완전합성거동함에 따라 국부좌굴이 발생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두꺼운 강판의 경우 5% 높은 강도에서 국부좌굴이 발생하였다. 또한 좌굴폭이 15% 감소하였다.

초간편 강합성 바닥판 신형식 전단연결재의 전단내력 평가 (An Evaluation on the Shear Strength of New Type Shear Connectors for a Simple Steel-Concrete Composite Deck)

  • 윤기용;김상섭;한득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19-528
    • /
    • 2008
  • 초간편 강합성 바닥판은 H형강을 거더로 활용하면서 교량가설시 H형강의 횡-비틀림 좌굴을 방지하고 공기를 단축시키기 위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초간편 강합성 바닥판과 H형강 거더의 합성거동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단연결재를 초간편 강합성 바닥판의 강판과 H형강 거더의 연결방식에 따라 연결볼트를 길게 뽑아 스터드를 대체하여 전단연결재로 사용하는 방식과 유공I형강을 전단연결재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개발한 신형식 전단연결재에 대한 전단내력 평가를 위하여 Push-Out 실험을 실시하고, 기존 전단연결재의 전단내력 평가식과 비교 분석하였다. Push-Out 실험을 통하여 연결볼트는 스터드와 같은 거동을 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도로교 설계기준의 전단내력 평가식은 지름이 큰 연결볼트의 전단내력을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접량의 변화에 따른 유공I형강의 Push-Out 실험에서는 용접량이 적은 경우에는 용접부의 전단내력이 지배하였으나, 용접량이 일정정도 이상인 경우에는 일정한 전단내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