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ong Edge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32초

화학물질 누출에 의한 대량재해 - Methyl Isocyanate 누출을 중심으로 - (Chemical Disaster of Methyl Isocyanate Leakage)

  • 양혁준;최중명;유동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9
    • /
    • 1999
  • Background : We are in the edge of some human made disasters such as hazardous materials and air pollution, for example, the world news reported that the city of Bhopal, India had serious victims related with a leaking out of the chemical materials, Methyl Isocyanate and many people in India were killed by. These situations many people who live in this world are world are worrying about are not others, but just ours and people consider about that kind of the disasters are the possible situation to happen to all the people. Therefore, we performed this basic study to recognize the risk of Methyl Isocyanate leak accident and to prepare local disaster plan with EMS system. Method : Trace 8.0, a simulation software made by the U.S. company Safer System was used as a tool to estimate the diffusion distance, area and its victims at the concentrations of 0.02ppm, 0.2ppm 5ppm respectively for an assumed B-city of 2 hundred thousands population count in which was presumed 500kg Methyl Isocyanate gas to leak out. Results : 1. During 1 hour, maximum diffusion distances of 0.02ppm 0.2ppm and 5ppm were 5.41km, 1.61km and 0.29km respectively on the plume impact. 2. Maximum population counts influenced by Methyl Isocyanate gas at the concentrations of 0.02ppm 0.2ppm and 5ppm were 40838, 4346 and 222 on the plume impact, while those were 138238, 17261 and 1588 on the vulnerability impact, respectively. 3. Therefore, 17261 persons must put on respiratory device and 138283 persons must be evacuated to safety place within 1 hour. Conclusions : Only small amount leak of Methyl Isocyanate may cause tremendous chemical disaster in urban area, so its disaster plan must be prepared with an accident simulation program and Material Safety Data Sheets(MSDS). Especially, nearby emergency center of an industrial complex must have a strong position about preparation of chemical disaster plan and perform a disaster dill of hazardous material accident annually.

  • PDF

Defect-related yellowish emission of un doped ZnO/p-GaN:Mg heterojunction light emitting diode

  • Han, W.S.;Kim, Y.Y.;Ahn, C.H.;Cho, H.K.;Kim, H.S.;Lee, J.H.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7-327
    • /
    • 2009
  • ZnO with a large band gap (~3.37 eV) and exciton binding energy (~60 meV), is suitable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such as ultraviolet (UV) light emitting diodes (LEDs) and detectors. However, the ZnO-based p-n homojunction is not readily available because it is difficult to fabricate reproducible p-type ZnO with high hall concentration and mobil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ve been numerous attempts to develop p-n heterojunction LEDs with ZnO as the n-type layer. The n-ZnO/p-GaN heterostructure is a good candidate for ZnO-based heterojunction LEDs because of their similar physical properties and the reproducible availability of p-type GaN. Especially, the reduced lattice mismatch (~1.8 %) and similar crystal structure result in the advantage of acquiring high performance LED devices. In particular, a number of ZnO films show UV band-edge emission with visible deep-level emission, which is originated from point defects such as oxygen vacancy, oxygen interstitial, zinc interstitial[1]. Thus, defect-related peak positions can be controlled by variation of growth or annealing conditions. In this work, the undoped ZnO film was grown on the p-GaN:Mg film using RF magnetron sputtering method. The undoped ZnO/p-GaN:Mg heterojunctions were annealed in a horizontal tube furnace. The annealing process was performed at $800^{\circ}C$ during 30 to 90 min in air ambient to observe the variation of the defect states in the ZnO film. Photoluminescenc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order to confirm the deep-level position of the ZnO film. As a result, the deep-level emission showed orange-red color in the as-deposited film, while the defect-related peak positions of annealed films were shifted to greenish side as increasing annealing time. Furthermore,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ZnO film was decreased after annealing process. The I-V characteristic of the LEDs showed nonlinear and rectifying behavior. The room-temperature electroluminescence (EL) was observed under forward bias. The EL showed a weak white and strong yellowish emission colors (~575 nm) in the undoped ZnO/p-GaN:Mg heterojunctions before and after annealing process, respectively.

  • PDF

1990년대 유압굴삭기 조형 분석에 관한 연구 (Design Analysis of Hydraulic Excavator since 1990)

  • 윤진필;문무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233-242
    • /
    • 2000
  • 1990년대는 유압굴삭기의 전통적 조형이 새롭게 모색 및 재해석되는 시기로 판단되었으며, 이는 2가지 방향으로 정리될 수 있다. 하나는 유압굴삭기의 전통적 이미지에 관한 부정적 해석에서 기인한 '탈(post-heavy equipment)중기적' 경향이며, 다른 하나는 고유성 유지와 개선이라는 긍정적 해석에서 기인한 '후기(late-)중기적' 경향이다. 이는 동일한 현상을 다양하게 바라볼 수 있는 패러다임과 관련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 시기에 개발 및 시판된 8개 연구대상 모델 중 유압굴삭기의 조형 경향은, 일본 색채디자인연구소에서 개발한 이미지스케일 3상한에서 2상한으로 변화였으며, 예외적으로 코벨코는 1상한까지 이동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탈중기적 이미지를 디자인 전략으로 채택하고 있는 코벨코만의 경우였다. 아울러, 인적(入的)공간으로서의 캐빈의 변화는 장비 전체의 변화에서보다 좀더 1상한으로 이동하고 있는데, 이는 물적(物的)공간과 시각적 차별화를 위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초임계 CO2 - 시멘트 반응 전후의 투수율 및 강도 변화 (Permeability and Strength of Cements Exposed to Supercritical CO2 for Varying Periods)

  • 이희권;김기덕;김태희;김교원
    • 지질공학
    • /
    • 제26권1호
    • /
    • pp.117-128
    • /
    • 2016
  • 시멘트(KS-1 보통 포틀랜드와, Class G)을 이용하여, 시멘트-초임계CO2 반응실험과 반응 전/후 시료의 절대투수율 및 강도를 측정하였다. 시멘트 시료는 W/S (Water/Solid)와 fly ash 첨가량을 조절하여 제작하였다. 반응 전 시료의 투수율은 0.009~0.025 mD, 초임계CO2와 100일간 반응 한 시료의 투수율은 0.11~0.29 mD의 범위로 각각 측정되었다. 반응 후 시료의 투수율이 높게 측정된 이유는, 반응 시료들이 겪은 응력해방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측정된 투수율은 대부분의 시료에서 API가 추천하는 최대허용 투수율(=0.2 mD)보다 낮다. 초임CO2에 의한 시멘트 변질은 시료 전체가 아닌 시료의 가장자리에서 일정 두께로 시료의 내부로 발생하였다. 반응영역의 비커스 경도 값이 비반응영역의 것보다 훨씬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시료에서 반응영역 내에서 경도값이 증가한 후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 되었다. 경도값의 증가는 탄산화로 인한 밀도증가, 공극률 감소, 그리고 경도값 감소는 낮은 강도를 갖는 비정질 규산염수화물의 생성이 원인이다.

Alternaria alternata에 의한 들깨 잎마름병 (Leaf Blight of Perilla Caused by Alternaria alternata)

  • 차외진;김철승;송주희;김현주;이영병;문병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08-714
    • /
    • 2002
  • 최근 들깨잎 주산지인 부산시 강동지역과 경남 밀양지역 하우스내의 들깨잎에 가장자리가 검게 변하고 마르는 증상을 띄는 병해가 발생되고, 심하면 잎 전체가 고사하는 병이 발생되었다. 이런 병반으로부터 병원성이 강하고 분생포자 형성이 많은 SD1 균주를 분리하여 병원균의 형태 및 배양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DA 평판배지에서 $25^{\circ}C$, 암조건으로 배양할 경우 균사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분생포자 형성량은 V8A 평판배지에서 가장 많았다. 또한 SD1 균주의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 분생포자 형성 적온은 3$0^{\circ}C$였으며, 분생포자 현탁액에 첨가한 영양원에 따른 분생포자 발아율과 발아관의 신장은 10% 토마토쥬스에서 가장 양호하였는데 24시간 후 발아율은 거의 100%였으며, 36시간 후 발아관 길이는 535.2$\mu\textrm{m}$로 PDB보다 1.4배정도 길었다. 또한 SD1 균주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10% 토마토쥬스를 첨가한 분생포자 현탁액으로 접종할 경우 자연 발병된 병징과 동일하였으며 발병율도 100%로서 PDB 분생포자 현탁액에서는 60%, 살균수에서는 전혀 발병되지 않았다. 본 균주는 균총 형태와 색깔,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형태적 특성과 몇 가지 배지 등을 이용한 배양적 특성 및 병원성 검정 결과에 따라 Alternaria alternata로 동정되었으며, 들깨 잎마름병으로 명명하였다.

고강도강재 단주의 압축강도 및 잔류응력 평가 (Compressive Strength and Residual Stress Evaluation of Stub Columns Fabricated of High Strength Steel)

  • 이철호;김대경;한규홍;김진호;이승은;하태휴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23-3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인장강도 800MPa급 고강도강재(HSA800)의 단주 중심압축실험과 편심압축실험을 통해 균등압축과 휨-압축 부재의 강도를 평가하여 현행 강구조기준(KBC2009, AISC2005)의 적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또한 잔류응력의 계측을 통하여 강재 항복강도와 잔류응력과의 상관성 여부도 검토하였다. 고강도강재와 일반강재의 국부좌굴 거동 차이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심압축실험에 SM490 강재로 제작된 비교실험체도 포함시켰다. 강도로 무차원화한 판폭두께비와 판 단부의 지지조건을 주요변수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편심압축실험은 HSA800 강재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휨-압축의 조합력을 받는 부재의 P-M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가력 편심거리를 조정하여 다양한 P-M 조합에 대해 강도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잔류응력은 중심압축실험에 사용된 H형단면 실험체를 대상으로 비파괴실험법인 압입법에 의해 가력 이전에 그 크기와 분포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중심압축을 받는 모든 HSA800 단주는 판 단부의 지지조건 및 판폭두께비 조건에 따른 현행 강구조기준의 설계강도를 충분히 발휘하였다. 편심압축을 받는 실험체 역시 현행 설계기준의 P-M 상관관계를 충분히 안전측으로 충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잔류응력의 크기는 강재의 항복강도와 무관하다는 선행연구결과와 합치하는 잔류응력 측정값이 얻어졌다.

중세유럽의 생활미술과 복식문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living Art and Costumes Culture of the Middle-Age Europe)

  • 이순홍
    • 복식
    • /
    • 제35권
    • /
    • pp.17-44
    • /
    • 1997
  • Medieval European practical art and style of costume is studied through referring to the literatures. The type of clothing that was seen on tapestries arts and crafts paintings and wall paintings and appeared in the architecture such as church. There were symbolic aspects of color motifs at this period and some restraints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social class, It was a period that draped garments due to the War of Crusades is appeared. Be-cause the medieval taste and decorative character is not only 'formative art' but also the taste beyoud 'mode' and atomsphere of that times it could be seen the strong reflec-tion of customs in the clothing of that times which is shown in works of art. 1) The purpose of Christian art which was found in mosaics stained glasses wall pain-tings and statues of architecture was not just the revival of natural phenomena but visuali-zation of sacred and invisible things. It was valuable to understandin of the spiritual through the sense organ It was a monumental art that was combined with decorative func-tion and role of the Bible. It revealed what was about the religious spiritual miracle, 2) In the medieval European painting characteristic and beautiful creativity was the basis of an argument. Both "Worship of East-ern" that is painted ion a parchment and "Cor-onation of Charles VI" were described decor-ation motifs on the edge of buildings geo-metric patterns and others with outstanding skill. there were precise technologic skill of architect and glassmen and lots of patience of craftsmen. " The Labour of the Months" and the scene of"A Trial at the Court" is also de-scribed elaborately. 3) Tapestry was developed in France Ger-many Swiss at the 14th century. Religionary and historical themes unicorn lady bird flowering plants and others were major motifs. It was very important as decorative wall coverings and as practical door arch and bed hangings. It was made through patient hard work with simple technique and it was con-sidered as an art for practical use. Tapestry was what everyone wish to have. It is reckoned for the item of the best gift. The royalty and nobility ordered and used custom-made tapestries. Sometimes the subject of motifs consisted of series which were deeply related to living 4) Decorative arts and crafts was the art that used materials such as precious metals jewels and others and that accorded with the luxurious and gorgeous taste of the royalty and nobility. Christian considered splendid and beautiful color of light as a symbol of glory. They used also for church appliances, There were metal crafts wood crafts textile crafts and others, As was stated above the costume appeared on the arts and crafts for living revealed the process of changes saw how the politic econ-omic and social organizations were developed.and social organizations were developed.

  • PDF

Integrating UAV Remote Sensing with GIS for Predicting Rice Grain Protein

  • Sarkar, Tapash Kumar;Ryu, Chan-Seok;Kang, Ye-Seong;Kim, Seong-Heon;Jeon, Sae-Rom;Jang, Si-Hyeong;Park, Jun-Woo;Kim, Suk-Gu;Kim, Hyun-Ji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3권2호
    • /
    • pp.148-159
    • /
    • 2018
  • Purpose: Unmanned air vehicle (UAV) remote sensing was applied to test various vegetation indices and make prediction models of protein content of rice for monitoring grain quality and proper management practice. Methods: Image acquisi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NIR (Green, Red, NIR), RGB and RE (Blue, Green, Red-edge) camera mounted on UAV. Sampling was done synchronously at the geo-referenced points and GPS locations were recorded. Paddy samples were air-dried to 15% moisture content, and then dehulled and milled to 92% milling yield and measured the protein content by near-infrared spectroscopy. Results: Artificial neural network showed the better performance with $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0.740, NS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coefficient) of 0.733 and RMSE (root mean square error) of 0.187% considering all 54 samples than the models developed by PR (polynomial regression), SLR (simple linear regression), and PLSR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PLSR calibration models showed almost similar result with PR as 0.663 ($R^2$) and 0.169% (RMSE) for cloud-free samples and 0.491 ($R^2$) and 0.217% (RMSE) for cloud-shadowed samples. However, the validation models performed poorly.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a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protein content in rice. For the cloud-free samples, the SLR models showed $R^2=0.553$ and RMSE = 0.210%, and for cloud-shadowed samples showed 0.479 as $R^2$ and 0.225% as RMSE respectively. Conclusion: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pectral bands and grain protein content. Artificial neural networks have the strong advantages to fit the nonlinear problem when a sigmoid activation function is used in the hidden layer. Quantitatively, the neural network model obtained a higher precision result with a mean absolute relative error (MARE) of 2.18%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0.187%.

점토의 중금속 흡착에 대한 통계모델링 (Statistical Modeling on the Sorption of Heavy Metals by Clay Minerals)

  • 정찬호;김수진
    • 지질공학
    • /
    • 제13권3호
    • /
    • pp.369-378
    • /
    • 2003
  • 캐오리나이트, 일라이트, 녹리석의 중금속(Pb, Cu, Zn, Cd) 흡착에 다양한 실험적 변수의 영향을 박스-벤켄(Box-Benken)모델을 이용한 통계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중금속 흡착에 미치는 변수로 pH, 중금속의 초기농도, HCO3 (혹은 K)농도를 변수로 하고, 각 실험변수의 농도를 3차원으로 설정하여 모델에 근거한 벳치실험과 3차원 통계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일라이트에 한하여 pH변화에 따른 중금속의 흡착특성을 알아보았다. 통계적 해를 얻기 위하여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면반응 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중금속의 흡착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변수는 pH이며, 그다음 중금속의 초기 농도와 중탄산(혹은 K성분)의 농도가 실험적 조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영향력을 보인다. 점토광물에 따른 중금속 흡착능력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일라이트의 경우 중금속의 초기농도에 따라서 흡착율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일라이트의 중금속 흡착에 K 성분이 흡착경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간의 흡착경쟁은 Cu>Pb>>Zn>Cd의 순서를 보인다. 중금속 흡착에 점토광물의 광물학적 영향보다는 수용액의 화학적 조건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모델에 근거한 흡착모델링은 흡착결과를 3차원으로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실험적 노력을 경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SPECT 이상조직 검출능 모델에 근거한 다해상도 필터링 기법 연구 (A Study on a Multiresolution Filtering Algorithm based on a Physical Model of SPECT Lesion Detectability)

  • 김정희;김광익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51-562
    • /
    • 1998
  • SPECT 이상조직 검출능에 근거한 투사 영상의 다해상도 필터링 기법이 SPECT 영상 재구성 문제에 대한 한 최적 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주어진 물리적 조건하에서의 SPECT 이상조직 검출능을 m개의 최소 검출가능 이상조직 크기 (MDLS)로 예측하고, 각 MDLS에 의존하는 해상도 $\frac{MDLS}{4\sqrt{2In2}}$를 유지하는 수준에서 잡음 억제 효과를 최대화하도록 설계된 m개의 재구성 필터를 구성시켰다. 제안된 다해상도 필터링 기법은, 주어진 투사 영상으로부터 이들 필터들을 적용하여 얻어진 m개 수준 해상도의 필터 영상에 coarse-to-fine 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필터 영상 각각에 대하여, 각 화소를 중심으로 한 창에서 계산된 지역 분산값과 지역 분산 분포로부터 결정된 최빈값을 비교함으로써 지역 균일도를 결정한다. 지역 균일도에 근거하여, 해상도가 가장 낮은 필터 영상으부터 균일한 영역으로 추정되는 화소들을 찾아 그 화소 값을 취하고, 나머지 화소에 대해서는 점점 해상도가 높은 필터 영상으로부터 균일 영역 화소를 찾는 과정을 반복한다. 균일 영역 화소를 찾는 반복 과정을 마친 후에도 여전히 윤곽선 영역으로 암아 있는 화소들에 대해서는 최고 해상도 필터 영상의 화소 값이 대체된다. 모의 실험 수행 결과, 제안된 다해상도 필터링 기법은 투사 영상의 균일 지역에서는 강한 평활화 효과를 보이는 반면 윤곽선 지역에서는 우수한 해상도 향상 효과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재구성 영상에서의 우수한 적응적 효과를 제공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