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 in Clinical Practice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대학생의 월경통증,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nstrual Pai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 문덕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53-61
    • /
    • 2021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처음 시작하는 간호대학 3학년생을 대상으로 월경통증,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수행능력 정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설문조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월경통증은 5.01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2.82점, 임상수행능력은 3.4점 이었다. 월경통증은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를(r=.319, p=.000), 임상수행능력과 음의 상관관계를(r=-.279, p=.000) 보였으며,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은 음의 상관관계를(r=-.333, p=.005) 보였다. 임상수행능력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준 요인은 월경통증이고 설명력은 25.0%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월경통증 완화를 위한 중재 교육이 필요하다.

The Effect of Stress and Sleep Quality on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 Kwon, Mi-H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69-177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일 지역 C 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생 중 임상실습을 한 학기 이상 경험한 3, 4학년이었으며, 총 107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 대부분이 임상실습 중 중정도 이상의 스트레스, 경도우울 이상의 우울을 경험하였으며, 수면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는 수면의 질(r=.393, p<.001)과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울은 스트레스(r=.588, p<.001), 수면의 질(r=.591, p<.001)과 강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실습 중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이었으며, 이 변인들에 의한 설명력은 49.9%였다. 따라서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관리방법 및 우울을 예방할 수 있는 적극적인 간호전략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웃음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Laughter Program on the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 정경화;박상연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3-172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ughter program on the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The research design is one group pretest-posttest survey. Thirty-eight nursing college students took part in the study. Laughter program was carried out for 1hour 6weeks. Laughter program showed significant change on the state anxiety, mood-emotion, laughter index, subjective stress and self esteem. The acquir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5.0 using descriptive methods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earch producted following results: Laughter program can be effective to decrease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anxiety, mood-emotion and subjective stress index. Laughter program can be effective to increase laughter index and self 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repeat studies and considering to develop proper method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recommends that laughter program coupled with cognitive approaches could affect way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coping with stress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from increasing their satisfaction.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교수효율성, 가족지지가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구조방정식 모형구축 (The Effect of Ego-resilience, Stress Coping Styles, Teaching, Effectiveness, and Family Support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by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

  • 박완주;한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65-375
    • /
    • 2011
  • Purpose: This study aimedto develop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 relationship among ego-resilience, and teaching effectiveness on clinical education, stress coping style,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subjects were 399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7 universities and participating in 10 clinical practice setting areas in 5 cities in South Ko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December 5th, 2009 to February 20th, 2010.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perform the analysis with the statistics program of SPSS win 17.0 and AMOS 5.0. Results: Teaching effectiveness and family support showed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while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showed an indirect effect. The biggest total effect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was teaching effectiveness followed by family support,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respectively, which accounted for 50.9%. Conclusion: Based on outcomes of this study, the proposed model allows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This result implies that strategies or intervention programs enhancing extrinsic protection factors, motivation factors, and intrinsic protection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a structural support system for increas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중 언어폭력경험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Verbal Abus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during Clinical Practicum of Nursing Students)

  • 양승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1-40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중 경험하는 언어폭력, 감정반응,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4년제 간호대학 4학년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 106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언어폭력, 감정반응,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언어폭력, 감정반응,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스트레스 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언어폭력, 감정반응,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상실습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언어폭력, 감정반응과 유의한 정적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683, r=.573).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언어폭력(𝛽=.487), 감정반응(𝛽=.240)순으로 임상실습스트레스의 49%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이 임상실습중 언어폭력에 대처하고 임상실습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전략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치위생(학)과 학생이 임상실습 중 경험하는 무례함과 스트레스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civility and Stress Experienced by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upon Professional Identity)

  • 심현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82-1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이 임상실습 중 경험하는 무례함과 스트레스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총 297명이며, 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 중 지원동기, 학과 만족도, 실습기관 만족도에서 전문직 정체성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무례함과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전문직 정체성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정체성 영향 요인으로는 학과 만족도와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환자와의 갈등이었으며, 설명력은 17.9%였다. 이에 전문직 정체성 향상을 위한 임상실습 스트레스 감소 및 대처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학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e &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 이외선;구미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749-2759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기위해 시도되었다. 간호대학 2학년에 재학중인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1월 5일부터 2012년 2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18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이 높고 임상실습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임상실습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감성지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을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Empath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

  • 정혜선;이기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044-6052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 및 공감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3년 9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252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249명의 자료를 서술적 분석,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수준은 하위영역별로 관점 취하기 3.57점, 상상하기 3.59점, 공감적 관심 3.72점, 개인적 고통 3.15점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이었고,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03점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이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공감능력의 하위영역 중 개인적 고통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개선시키기 위해 개인적 고통 수준이 높은 간호대학생의 경우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준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우울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Skill, Depression,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 박정숙;이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54-26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우울과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련요인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간호 대학생 208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2017년 9월 3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se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 대학생이 경험하는 의사소통능력은 5점 만점의 평균평점 3.74점이며, 우울은 4점 만점의 평균평점이 2.36점이며,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5점 만점의 평균평점 2.88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는 성별 (p=.002), 나이 (p=.048), 학년 (p=.001), 대학만족도 (p<.001), 전공만족도 (p=.002), 희망진로(p=.002), 실습만족도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역 상관관계를 보였고 (r=-.17, p=.016), 우울과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r=.37, p<.001),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우울, 실습 만족도, 학년, 성별이었고, 전체 26.9%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간호 대학생의 임상 실습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울을 예방하고 완화하며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환경에 관한 인식과 관련 변수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regarding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Related Variables)

  • 최귀윤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9-139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nursing student on th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related variabl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nursing students from a college participated in clinical practice at four regional hospitals. Data was collected with the questionnaire tool for the perceptions of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Results: The students highly satisfied in the major had significantly high perception in innovation, personalization, student involvement,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he students with a low level of stress and a clearly named guidance nurse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perceptions of task orientation, innovation, personalization, student involvement, and practice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task orientation, innovation, individualization, personalization, student involvement, and practic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student characteristics, the main variables directly influencing the perceptions of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were religion, the level of stress, and the method of guidance. Conclusion: Understanding the students' perspective would be valuable for promoting a positiv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Developing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college and educational hospitals is necessary for effectiv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