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 in Clinical Practice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2초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 감정노동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otional Labor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 염은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20-33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 감정노동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충청도, 경상도 소재의 대학 3곳에 재학 중인 3, 4학년 간호대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19일부터 10월 10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감정노동(${\beta}=0.356$, p<.001)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변수였으며, 간호전문직관(${\beta}=-0.376$, p<.001), 의사소통능력(${\beta}=0.170$, p=.017) 순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전체 변수는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대해 약 25.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23.34, p<.001). 그러므로 감정노동 감소, 간호전문직관 및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여성간호학 시뮬레이션실습의 융합적 효과: 남자 간호대학생을 중심으로 (Convergence Effect of Simulation on Women's Nursing Practice in Male Nursing Students)

  • 박금옥;이윤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17-423
    • /
    • 2020
  • 본 연구는 남자 간호 대학생의 여성간호학 실습에 대한 시뮬레이션실습과 임상실습의 실습만족도, 실습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을 비교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간호과에 재학중인 2, 3학년 남학생이며, 여성간호학 실습을 시뮬레이션으로 실습한 군 34명과 임상실습한 군 29명, 총 63명이었다. 시뮬레이션실습은 5개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6주간 주당 5시간씩 이루어졌으며, 임상실습은 10일간 9시간씩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실습군은 임상실습군에 비해 실습만족도(p<.001)와 임상수행능력(p=.030)이 높게 나타났으나, 실습스트레스 또한 높게 나타났다(p=.048). 이를 통해 여성간호학 실습의 시뮬레이션실습은 임상실습의 효율적인 교육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시뮬레이션실습에서의 실습스트레스를 관리할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 간의 관계 (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inical stres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 곽혜원;이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47-15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 지역 3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4학년생 261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7일~18까지 설문조사하였고,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는 평균 $3.74{\pm}0.39$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21{\pm}0.54$점, 임상실습 만족도는 $3.44{\pm}0.45$점이었다. 대인관계는 연령(F=3.12, p=.046), 간호학 전공만족도(F=15.84, p<.001), 대인관계 중요성(F=4.76, p=.001), 학업성적(F=3.80, p=.01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연령(F=8.05, p<.001), 간호학 지원동기(F=4.55, p=.001), 간호학 전공만족도(F=2.69, p=.04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 만족도는 간호학 전공만족도(F=3.24, p=.022), 대인관계 중요성(F=3.01, p=.019), 학업성적(F=5.24,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와 임상실습 만족도(r=.24, p<.001)는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대인관계(${\beta}=.21$, p<.001), 학업성적(${\beta}=.12$, p=.045)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방안이 필요하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stress of Clinical Dental Practice for Dental Hygiene Students)

  • 임순연;양정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91-200
    • /
    • 2021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측정도구와 관련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의 체계적 문헌고찰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수행되었으며 최종분석에 사용된 문헌은 24편이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측정도구는 4개였다. 문헌 분석결과 만족도가 낮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 역할 및 활동, 이상과 가치의 요인이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다양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에 국한되어 분석하였기에 향후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치위생(학)과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하여 다면적인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길 기대한다.

Th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tress

  • Mi-Sook Park;Mi-Jin Yo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105-11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부적응적 완벽주의,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C지역에 소재한 4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간호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 3일부터 30일까지 완벽주의 척도(APS-R), 셀프리더십 척도(SLQ-R), 사회적 지지 척도(SSS), 임상실습 스트레스 척도(CPSS-R)를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부적응적 완벽주의(r=.51, p<.001)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셀프리더십(r=-.11, p<.001)과 사회적 지지(r=-.44, p<.001)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부적응적 완벽주의(β=.45, p<.001), 사회적 지지(β= -.27, p<.001), 전공만족도(β=-.21, p=.002), 타 지역 임상실습 횟수(β=-.19, p=.003)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43%였다(F=28.63, p<.001). 이상의 연구결과는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시 이러한 심리적 특성 요인들에 대한 적극적 고려가 중요하다고 본다.

간호대학생의 혐오민감성, 임상실습스트레스, 회복력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Disgust Sensitivity,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in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Nursing Students)

  • 조정희;조옥희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1-30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self-concept.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October 2022, targeting 110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at three univers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ional self-concept according to application motivation (F=5.43, p=.006), school record (F=3.24, p=.043), major satisfaction (t=-6.38, p<.001), desired occupation (F=9.30, p<.001), participant health status (F=4.31, p=.016), character (F=25.29, p<.001),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5.36, p<.001), and change of thinking about career path after clinical practice (t=2.78, p=.006). Professional self-concep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linical practice stress (r=-0.37, p<.001) and resilience (r=0.66, p<.001). The variable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self-concept were resilience (β=.38, p<.001), character (β=.32, p<.001), major satisfaction (β=.28, p<.001),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β=-.18, p=.007); the explanatory power was 65%. Conclusion: A professional self-concept enhancement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a positive professional self-concept in nursing students. As a strategy, it should reflect individual personality tendencies, improve major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nd reduce clinical practice stress.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관련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linical Practice-related Fatigue among Nursing Students)

  • 박수정;최자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456-466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관련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임상실습이 끝난 직후 3학년과 4학년 간호 대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12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질문지법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실습 스트레스, 불안, 분노, 자기효능감, 수면의 질이 피로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관련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면의 질, 불안, 운동빈도, 임상실습 스트레스 이었으며, 이들 변인은 임상실습 관련 피로 총 변량의 33.6%를 설명하였다. 수면의 질이 임상실습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불안이 수면의 질과 관련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피로와 관련된 중재를 계획할 때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규칙적인 운동으로 자신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수면의 질 또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한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관련 불안과 피로 조사 (Anxiety and fatigue related to dental practic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이향님;김은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1-137
    • /
    • 2014
  • Objectives :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nxiety, fatigue and str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and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428 dental hygiene students in 4 universities in Gwagju and Jeonnam. Data were analyzed for anxiety, stress and fatigue, general characteristics using SPSS 18.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correlation. Results : Saliva suction showed the most high score in treatment($mean{\pm}SD=2.92{\pm}1.13$) and was followed by children dental care($2.79{\pm}1.21$), preventive dental care($2.38{\pm}1.04$), maxillofacial radiology($2.35{\pm}1.15$).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students felt uneasy when they stayed in relative home(p<0.05). Poor interpersonal relation(p<0.001), poor health condition(p<0.01), low satisfaction with major(p<0.01), the other cause of major choice(p<0.01) influenced on their stress. Satisfaction with major was closely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nxiety, physical fatigue and mental fatigue. Conclusions : In order to reduce physical, mental, neuro sensory fatigue of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it is recommended to reinforce the patient care etiquettes in curricula.

간호대학생의 대면 및 비대면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Stress Coping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김혜경;박지예;강은지;이성현;민성현;이지윤;정지현;정현서;이소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21-533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면 및 비대면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각 요인 간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임상수행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임상실습교육 전략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소재 간호대학생으로, 2021년 6월 10일부터 7월 10일까지 총 201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여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대면 및 비대면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단계에서 간호대학생의 성적, 전공만족도, 대면실습만족도가 임상수행능력의 19.4%를 설명하였고, 2단계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를 추가하여 19.6%의 설명력이 증가되어 총 39.0%의 변량을 설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대한 원만한 스트레스 대처가 중요하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e in Dental Hygiene Students

  • Lee, Hyun-Ok;Kim, Sun-Mi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1-278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clinical performa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to provide useful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clinical competence. Methods: The effects of variables on clinical competence by quantile level were analyzed using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in 247 dental hygiene students. Quanti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tata 11.0 program to analyze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Results: The clinical competence score of dental hygiene students was 42.69±5.90,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was 49.90±7.44,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50.62±7.37, and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31.68±4.41. Empathy was the highest at 50.87±4.9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chool year, stress from clinical training,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mpathy had significant impact on clinical competence.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s varied depending on the clinical competence level. School year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regardless of the clinical competence level, while empath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t the top 10% (Q90) of the clinical competence level.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ffected clinical competence at Q25, Q50, and Q90. Stress from clinical practice had significant effects at Q25, Q50, and Q90 (p<0.05). Conclus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different factors affected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quantile of clinical competence.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mplications for designing clinical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s and strategies. In addition, objective indicators for considering factors that may affect the clinical competence, such as academic competence and satisfaction of practice hospitals, are expected to require detailed analysis and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