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ptococcus sobrinu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2초

섬오가피로부터 분리된 acanthoic acid의 항치아우식효과 (Anticariogenic activity of acanthoic acid isolated from Acanthopanax koreanum $N_{AKAI}$ against oral pathogens)

  • 김홍준;정승일;이화정;주영승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69-75
    • /
    • 2006
  • 치면세균막내의 미생물 중 Streptococcus mutans $N_{AKAI}$는 치면세균막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Streptococcus mutans $N_{AKAI}$는 치아우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Streptococcus mutans $N_{AKAI}$균에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 acanthoic acid (AA, $C_{20}H_{30}O_2$)을 Acanthopanax koreanum $N_{AKAI}$의 클로로포롬 추출물에서 각종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추출분리하여 ms, 1H-NMR 그리고 13C-NMR 등을 이용하여 구조를 동정하였다. AA의 Streptococcus mutans $N_{AKAI}$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와 최소살균농도(MBC)를 조사하였으며, 이 때 각각 2와 $4\:{\mu}g/mL$을 나타냈었다. 또한 다른 천연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인 tanshinone IIA는 8/16\;${\mu}g/mL$, 녹차의 추출물과 eucalyptoi은 $250/500\;{\mu}g/mL$이었다. 그리고 또 다른 치주질환의 원균인 Streptococcus sobrinus $N_{AKAI}$, Streptococcus sanguis $N_{AKAI}$ 및 Streptococcus gordonii $N_{AKAI}$의 최소억제 농도의 범위는 $4{\sim}32\;{\mu}g/mL$이었다. 우리의 연구결과에서 Acanthopanax koreanum $N_{AKAI}$에서 분리한 acanthoic acid 치주질환 원인균들을 억제하는 항균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항우식작용을 갖는 여러 항균물질의 조합에 따른 분할 저해 농도(FIC ;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지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FIC) INDEX OF COMBINATIONS OF ANTICARIOGENIC AGENTS)

  • 김영재;김종철;김각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25-631
    • /
    • 2002
  •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8종의 항우식 작용을 갖는 항균물질의 조합이 대표적 우식유발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 Ingbritt와 Streptococcus sobrinus 6715-7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세균별로 28개 조합의 각 항균물질에서 최소 저해 농도와 분할 저해 농도 지수를 구하여 여러 기준에 따라 상승작용, 길항작용, 무관함, 부분적 상호작용 등을 각각 평가하였다. 미국 미생물 학회의 지침에 따라 분류하면 약 34%의 조합에서 상승작용이 관찰되었고 Berenbaum의 분류에 따르면 약 82%에서 상승작용을 갖는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Isenberg가 정의한 부분적 상승작용은 총 조합수의 절반에서 관찰되었다. 분류기준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두 가지 항균물질의 조합이 우식유발 세균을 억제하는데 상승작용을 나타내는 경향이 존재함을 관찰할 수 있었고 따라서 우식유발세균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항균물질의 단독 사용보다 세균의 생태와 대사의 여러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항균물질의 조합은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Bactericidal Effect of the Aos Denti Germ for Denture Cleansing Effervescent Tablet against Oral Microorganisms

  • Park, Min Ah;Jung, So Young;Heo, Seong Eun;Bae, Il Kow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1권2호
    • /
    • pp.75-81
    • /
    • 2016
  • Human mouth environment is known to include a variety bacteria, including Streptococcus spp., Staphylococcus spp., Actinomyces spp., Lactobacillus spp., Candida spp., Enterobacteriaceae, et al. Human oral microorganisms can cause dental caries, gingivitis, periodontitis,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us, right denture cleaning is essential to oral and general human heal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actericidal effect of a sodium dichloroisocyanurate-based effervescent tablet (Aos Denti Germ, Aos Company, Chungbuk, Korea) against oral microorganisms. A total of 5 species Streptococcus spp. (Streptococcus anginosus, Streptococcus mitis,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oralis, and Streptococcus sobrinus), Actinomyces oris, Candida albicans, and Escherichia coli were used in this study. All strains were exposed to the distilled water prepared with effervescent tablet. After the exposure, the mixture of strains and effervescent tablet was inoculated onto blood agar or MacConkey agar plate and cultured at $36^{\circ}C$. All strains were killed immediately on exposure to effervescent tablet. The results suggested that effervescent tablet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denture cleanser for dental hygiene.

교정용 메탈 브라켓에서 자가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한 치아우식증 원인균의 탈출 (Direct detection of cariogenic streptococci in metal brackets in vivo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 안석준;이신재;백승학;김태후;장영일;남동석;임범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2-319
    • /
    • 2005
  •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는 교정장치 주위의 법랑질 탈회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균들이다. 본 연구는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생체 브라켓에 존재하는 이들 균주의 이환율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상악과 하악치열의 절치 브라켓 각각 4개를 교정치료 종료 시점에서 채취하였다. 브라켓에 부착된 세균들의 DNA를 추출하고 각각의 세균에 해당하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덱스트란 분해효소를 증폭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S. mutans와 S. sobrinus가 하악절치 브라켓에 비해 상악절치 브라켓에 더 많이 존재함을 보여주었으며, 이들 브라켓에 존재하는 세균의 빈도는 이전의 연구에서 구강내에 존재하는 빈도에 비해 더 적음을 보여주었다. S. mutans의 상악절치 브라켓 이환율은 $50.0\%$, 하악절치 브라켓 이환율은 $33.8\%$였고, S. sobrinus는 각각 $17.5,\;15.0\%$였다. 상악절치 브라켓에 두 종류의 세균이 모두 이환된 환자는 7명 $(8.8\%)$였으며, 하악절치 브라켓에 두 종류의 세균이 모두 이환된 환자는 5명 $(6.3\%)$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법랑질 탈회를 유발하는 치아우식증 원인균이 절치 브라켓에 부착하는 상주균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 및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ral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Leaves)

  • 박경란;강성태;김민주;오희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265-12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고 구강질환 세균에 대한 죽엽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토하였다. 죽엽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76.26%, 조회분 10.61%, 조단백질 5.10%, 수분 6.30%, 조지방 1.73%였고, 비타민 A 및 E의 함량에 비하여 비타민 C 함량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중 citric acid 함량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form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1.66 mg/g, 42.78 mg/g으로 나타났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죽엽 추출물 0.04% 이상에서, Streptococcus sobrinus에 대해서는 0.16% 이상에서,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해서는 0.02% 이상에서 강한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S. mutans, S. sobrinus, P. gingivalis, P. intermedia는 죽엽추출물 0.32% 농도에서 각각 60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죽엽 에탄올 추출물이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죽엽이 구강질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다엽의 5가지 페놀성분과 R-(-)-carvone의 치아우식균 Mutans Streptococci에 대한 항균력 상승효과 (Antimicrobial synergism of Camellia sinensis-isolated five phenol compounds and R-(-)-carvone against mutans streptococci)

  • 송옥희;강옥화;문수현;김민철;한영선;최성훈;이영섭;권동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13
    • /
    • 2016
  • Objectives : Camellia sinensis (Theaceae) possesses a various beneficial effects such as free radical-scavenging, inactivation of urokinase in cancer cell proliferation, antibacterial, and hypotensive. Dental caries is one of the most common oral infectious disease in a human. Oral microorganism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etiology of dental caries. An aberration to this ecology due to dietary habits, improper oral hygiene or systemic factors lead to an increase in cariogenic microorganisms. Cariogenic microorganisms like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encourage the accumulation and adherence of plaque biofilm by metabolizing sucrose into gluc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of Camellia sinensis and R-carvone, monoterpenes, is can be found naturally in numerous essential oils, on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Methods :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se compounds was determined by the broth microdilution method and checkerboard dilution assay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synergistic effects of each five compounds of Camellia sinensis (C. sinensis) and R-carvone.Results : C. sinensis-isolated compounds and R-carvone were determined with MIC of more than 1,000 ㎍/mL. However, the combination test showed significant synergism against S. mutans and S. sobrinus, implicated in the lowered MICs.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binatory application of phenolic five compounds (theophyllin, l-theanine, epicatechin, epicatechin gallate, and caffeine) from C. sinensis and R-carvone has a potential synergistic effect and thus may be useful as a mouthrinse in helping control cariogenic microorganism.

Potential Suppression of Dental Caries by Maltosyl-Mannitol Produced by Bacillus stearothermophilus Maltogenic Amylase

  • Cho Kil-Soon;Shin Sang-Ick;Cheong Jong-Joo;Park Kwan-Hwa;Moon Tae-Wh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84-486
    • /
    • 2006
  • Maltosyl (G2)-mannitol, produced by the transglycosylation of mannitol with maltotriose by Bacillus stearothermophilus maltogenic amylase, was not found to support lactic acid production by Streptococcus sobrinus NRRL 14555. Furthermore, the synthesis of water-insoluble glucans from maltosyl-mannitol by S. sobrinus NRRL 14555 was much lower than that from xylitol or mannitol. Conseque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ltosyl-mannitol could be used as a noncariogenic sugar substitute in food products.

Acrylic Resin에 혼합된 Polyphosphate가 미생물의 부착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PHOSPHATE MIXED IN ACRYLIC RESIN ON THE ATTACHMENT AND GROWTH OF ORAL BACTERIA)

  • 홍선희;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9-79
    • /
    • 2003
  • 자가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에 polyp를 혼합하지 않은 대조군, 그리고 레진 분말에 대한 polyP(사슬길이 13과 18의 혼합물인 Calgon)의 무게비를 1%로 혼합한 polyP 1%군, 2% 혼합한 polyP 2%군 및 3% 혼합한 polyP 3%군으로 분류하여 경화시킨 후, 경화된 각각의 레진과 실험균주 S. mutans GS5, S. sobrinus 6715, S. gordonii G9B및 Challis, 그리고 P. gingivalis 2561과 Candida albicans ATCC90027을 대상으로 레진표면에 대한 미생물들의 부착의 정도, 성장 억제효과 및 접촉각의 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로 미루어 아크릴릭 레진에 포함된 polyP는 구강 미생물에 대해 직접적으로 강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나 미생물의 부착 특히 우식원인균인 mutans streptococci의 부착을 방해하는 것으로 가늠되며, 이는 polyP의 첨가에 의한 아크릴릭 레진 표면에서 일어난 소수성의 변화가 일부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PolyP가 혼합된 아크릴릭 레진의 장착은 일반적인 아크릴릭 레진으로 제작된 가철성 장치를 장착한 후 나타날 수 있는 우식 이환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여겨진다.

  • PDF

구강세균에 대한 구름버섯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of Coriolus versicolor against oral bacteria)

  • 김별이;임근옥;한소라;김기화;오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122
    • /
    • 2017
  • Objectives: Coriolus versicolor is an edible mushroom with physiological activities that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obtained from Coriolus versicolor against oral pathogens. Method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of Coriolus versicolor were examined by disc diffusion assay,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se extracts were also was determined by broth dilution method.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of extracts was measured at 600 nm for 12 hrs against Streptococcus ratti, Streptococcus criceti,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ctinomyces viscosus, and Actinomyces israelii. Results: Coriolus versicolor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all nine oral pathogens through disc diffusion assay. The 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extract differ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acetone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ratti, Streptococcus criceti, Actinomyces viscosus, Actinomyces israelii and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p<0.05). These extracts exhibited MIC ranges of 2.63 to >10.50 mg/ml against the tested bacteria. The ethanol extract from Coriolus versicolor showed lower MIC values of 2.63 to 5.25 mg/ml. According to the obtained growth curve, the extracts of Coriolus versicolor were more effective against Actinomyces viscosus. Conclusions: The acetone, ethanol, and ethyl acetate extracts from Coriolus versicolor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sanguinis, Streptococcus sobrinus, Streptococcus ratti, Streptococcus criceti,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ctinomyces viscosus, and Actinomyces israeli.i Therefore, they could be considered as natural oral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oral pathogens.

충치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다시마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Sea-mustard, Laminaria japonica Extracts on the Cari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 김지회;이두석;임치원;박희연;박정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91-195
    • /
    • 2002
  • 우리 나라 연안에서 채취한 해조류 27종의 $80\%$ ethanol 추출물이 Streptococcus mutans KCTC 3300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고, 다시마의 추출용매별 항균성과, $80\%$ ethanol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였을 때 획분별 MIC를 측정하였다. S. mutans KCTC 3300에 대한 해조류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다시마가 가장 강하였고, 갈파래, 청각, 감태, 곰피 및 미역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홍조류보다 갈조류와 녹조류에 속하는 종이 대체적으로 강하였다 다시마의 항균활성은 추출용매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용매별 가용성 획분의 량과 항균성간에는 뚜렷한 관련이 나타나지 않았다. 5. mutans KCTC 3300과 S. sobrinus KCTC 3307에 대한 해조류의 $80\%$ ethanol 추출물의 MIC는 해조류의 종뿐만 아니라 동일한 해조류 추출물의 경우에도 균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시마의 $80\%$ ethanol 추출물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순차 분획하였을 때 항균활성 물질의 대부분은 ether 획 분에 이행하여 이 획분의 MIC는 105$\mu$g/mL이었고, 수용성 획분은 약 5,500$\mu$g/mL의 농도에서도 균의 증식을 저지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