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reet Landscape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3초

가로경관 형성요소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단지 외부도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Preferences of Street View - With external road at apartment house complex -)

  • 김무오;박향룡;이봉수;조용준;이청웅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3-238
    • /
    • 2004
  • This study extracted and analyzed physical components of street view with external streets at large-scaled apartment house complex of Sangmu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 in Gwangju, examined factors affecting the image of street view and visual perceptional characteristics by image,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street view and visual preferences of image and aim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needed for making external street view at apartment house complex of high Qualify.

  • PDF

부산 상해거리 상점 전면부 경관요소의 유형적 분석과 중국 전통 경관이미지의 재현 수법에 관한 연구 (A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lements and the Reappearance Technique of Landscape Image in the Chinatown of Shanghai Street in Busan)

  • 박향화;강영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0-141
    • /
    • 2012
  • 본 연구는 부산 상해거리의 상점 전면부 경관 요소의 유형과 중국 전통 경관이미지의 재현 수법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범위는 상해거리의 화교소유 건물을 대상으로 한 건물전면부의 경관적 특징과 상호명, 그리고 가로환경 조형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 전면부의 경관적 특징을 유형적으로 고찰한 결과를 보면, 건물의 파사드 디자인 형태는 한자간판 강조형, 걸게간판 부가형, 전통문양 부착형, 전통건축이미지 차용형, 현대건축 양식형 등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간판 디자인에 있어서는 색의 경우 글자색은 황색계열, 백색계열배경색은 적색계열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글자체는 모두 번체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명은 크게 작명 방법과 상호명의 의미로 살펴보았다. 작명 방법은 의미와 장소의 결합, 계절과 분위기의 결합, 명소 명물 세 가지로 구분되었다. 의미와 장소의 결합 명명법은 차이나타운 형성 초기부터 사용한 수법이고, 계절과 분위기의 결합 명명법은 1970년대부터 사용하였으며, 명소 명물 명명법은 상해거리 조성 이후부터 사용한 수법으로 나타났다. 상호명 의미로 살펴 볼 때 가게 번영 염원형, 풍류형, 현지 지명 지물 차용형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상해거리에 도입된 가로환경조형물의 이미지는 중국의 남방문화 양식에 한정하지 않고 중국의 북방문화양식과 한국적 양식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상해 거리에 나타난 중국 전통 경관 이미지 재현 수법은 부가, 치환, 병치로 분류하였다. 부가라는 경관이미지 재현 수법은 기존의 형태에 다른 형태가 평면적으로 확장되어서 더해지거나 포함되어 전과는 다른 형태를 만드는 것을 가리키며, 면 대 면의 확장과 면 대 면의 중첩이 관찰되었다. 어떤 유형의 형상을 다른 형상으로 바꾸는 것을 치환이라고 하였고, 치환에는 국부적인 것과 일차적인 것, 일련의 순차에 따라 행하는 순차적 치환이 있다. 병치는 공간적으로나 형태적으로 이전과는 다른 형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가리킨다. 병치에는 동종병치, 이종병치, 이위병치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차이나타운의 경관디자인 수법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부산의 상해거리에 한정하여 분석한 한계를 지닌다. 향후 다른 인천, 전주 등 다른 도시에 형성되어 있는 차이나타운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지자체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차이나타운 특구 개발 사업에 있어서 경관계획 부문의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3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가로수종별 이미지 및 선호도 분석 - 대구광역시 동대구로를 대상으로 - (Sensibility Image and Preference Analysis of Street Tree Species using 3D Simulation - Focused on Tongdaeguro in Daegu Metropolitan City -)

  • 정성관;신재윤;김경태;최철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7-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도로경관에서 중요한 요소인 가로수에 대한 감성적 이미지를 평가해보기 위하여 3차원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수종 계절별 경관이미지를 제작하였다. 대상지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한 동대구로로 설정하였으며, 평가 수종은 개잎갈나무, 메타세콰이어, 튜울립나무, 느티나무로 선정하였다. 제작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여름경관에서는 느티나무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을 및 겨울경관에서는 메타세콰이어의 선호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감성적 평가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미적 요인, 인지적 요인, 개성적 요인, 자연적 요인, 공간적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든 계절에서 공통적으로 심미적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세콰이어의 경우 겨울경관에서 다른 수종에 비해 선호도 및 긍정적 의미의 감성이미지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심미적 요인의 감소가 다른 수종에 비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수종의 종류 및 계절변화에 따른 감성이미지의 정량적 평가를 통해 쾌적한 도로경관 조성을 위한 객관적 자료 제시 및 경관계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스토리텔링 테마골목 이미지 및 만족도에 관한 이용 후 평가 -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을 대상으로 -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Image and Satisfaction for Storytelling Theme on the Kim Gwang-Seok Street)

  • 구민아;엄붕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9-68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도시재생사업으로 재개발, 계획되고 있는 가로 중 스토리텔링에 의한 테마골목인 '김광석다시그리기 길'을 대상으로 이용 후 평가를 이미지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시행하였다. 이는 새로운 장소성을 가진 공간으로 스토리텔링 테마골목 중 낙후된 골목재생을 위해 우리나라 최초로 대중가수의 음악과 예술에 관한 주제로 스토리텔링 장소로써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계획, 관리에 필요한 자료가 되기 위해서이다. 이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문항과 이용행태, 동기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미지선호도와 만족도평가는 신뢰도분석, 평균치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그룹의 이미지와 만족도 차이를 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과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 특성은 20대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이용 동기와 활동유형은 산책과 구경, 사진촬영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미지평가 변수들은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평균치들은 상징적인(5.03), 친근한(4.84), 아름다운(4.71), 밝은(4.63) 등의 순으로 높았다. 요인분석 결과, 거리의 분위기, 디자인성 및 역동성 등의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상징적인(${\beta}=.314$), 안정된(${\beta}=.248$), 친근한(${\beta}=.204$), 시원한 (${\beta}=.142$)과 같은 이미지 변수들에 의해 이미지 선호도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만족도평가 또한 매우 높은 신뢰도를 가지며, 요인분석 결과, 시설관리측면, 체험 요인, 이미지 요인 3가지로 분류되었고, 시설물디자인(3.81), 대표거리(3.78), 거리이미지(3.81), 지속적 이용(3.66), 체험관광(3.53) 순으로 만족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거리이미지(${\beta}=.296$), 관리(${\beta}=.277$), 지속적 이용(${\beta}=.205$), 대표거리(${\beta}=.183$)에 관한 4개 변수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김광석다시그리길 스토리텔링 골목의 재생사업 이후, 골목의 이미지는 상징성과 경관미, 친근감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이미지 개선에 성공한 것으로 보이고,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설물디자인의 개선, 대표거리로서의 상징성과 이미지의 강화, 다양한 체험 등에서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추후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의 계획과 관리에서는 좀 더 스토리텔링을 통한 장소성을 확립하고, 그로 인해 골목의 정체성과 상징성 또한 높아질 수 있도록 해 나가야 함을 말해 주는 결과로 사료된다.

미국 전원도시의 주거지경관에 관한 연구 - 유타 케쉬벨리 로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mmunity Landscape Design Ways of Garden City in America - Focused on City of Logan, Cache Valley in Utah -)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83-90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ways of community landscape design in American garden city, Logan in Northern Utah. I had been surveyed historic homes and single units to take a dig how to keep and develope a good community landscape of the city in both the Historic District and residential area, researching of documents. City of Logan surveyed contains a remarkable landscape views of various historical house styles and contemporary single units based on traditional house styles out of central street. For they have been controled by Center Street National Historic District Design Standards and Logan Land Development Code with Logan General Plan. Logan community shows today a particular identity and harmonious landscape of residential area in a view point of old and new buildings. There are thre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homes in Historic District are focused on Victorian style with Prairie homes which are unique American style, the Craftman that is revised as American home style, and vernacular style. Second, the historical houses have been controled by HPC since 1978 in order to keep the original buildings and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general single units by building code of the city in General Plan. Third, it must be citizen participation design to build up a beautiful landscape that Logan has maintained a safety garden city people hope to live in.

가로수 식재 유형에 따른 보도의 시각적 특성평가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Visual Characteristic Assessment of Sidewalk According to Street Planting Types - Focus on Sidewalk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 정대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9-60
    • /
    • 2008
  • In this study, the green zone patterns of sidewalks are classified 'one street-tree row + building,' 'one street-tree row + green zone,' 'two street-tree rows + building,' and 'two street-tree rows + green zone' and assessed their visual characteristic in order to provide desirable measures for scenery desig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isual images of sidewalk, the scenery in which street trees are planted in one row was generally assessed to be negative, while roads where green zones rather than buildings are adjacent were revealed to seem stable and pleasant. The scenery in which street trees are planted in two rows was assessed highly in an image of 'extensionality' indicating street circumstances, and especially the pattern 'two street-tree rows + green zone' was shown to be the most beautiful scene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f sidewalks, three factors were identified : 'extensionality' showing sidewalk circumstances; 'peculiarity' including unique personality, and 'pliability' showing the organic flow of the scener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of the scenery according to green zone patterns showed that the 'two street-tree rows + green zone' was measured to be highest. When buildings are adjacent to a sidewalk, two street-tree rows rather than one street-tree row were assessed to increase preference.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factors and preferenc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l 'extensionality,' 'peculiarity,' and 'pliability' were revealed to show positive correlation for visual preference.

도심 내 가로경관 유형별 시각적 속성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강릉시 중앙로를 대상으로 - (The Influence of Visual Character in Types of Urban Streetscape on Preference - In Case of the Kangnung-si Joongang-ro -)

  • 정연구;조태동;정정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5-323
    • /
    • 2008
  • Based on the result of extraction of common factors executed in order to elucidate the visual attributes of street scenery by types through the rotation of 23 adjective variables by Varimax, the visual attributes express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facilities using street scenery were anylized to be 4 factors including factor 1 through factor 4. Theexplanation of the 4 factor groups to explain the entire distribution was 65.3% and these factor groups are the psychological attributes felt when using facilities are constructed by securing the street spaces in downtowns and the factors were named as naturalness(factor 1), locality(factor 2), identity(factor 3) and clarity(factor 4)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 of one-way layout distribution analysis, the preferences for street scenery by types were found out to show considerable differences at 1 % significance level. Based o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l of the factors explaining preferences including factor 1 through factor 4 were significant at 1 % significance level. In case other conditions are constant, if the values of the adjective variables related to locality(factor 2) increase by 1 unit, the preferences which are the values of dependent variables will increase by 0.709. The variable with the largest relative contribution among the 4 factor groups was the locality(factor 2) factor group and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with least influences was the clarity(factor 4) factor group.

국가상징거리의 구성요소 특징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광화문 광장을 중심으로 (Landscape Elements and User Satisfaction in National Street: Focusing on Gwangwhamun Square)

  • 최현아;조영태;이우균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4호
    • /
    • pp.215-224
    • /
    • 2014
  • 국가상징거리는 도시 및 국가의 환경개선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공공 오픈 스페이스 중의 하나이다. 상징거리는 한나라의 수도 및 도시의 중심부에 있으며, 프랑스, 영국, 미국 등은 복합적 역할을 하는 광장과 연결되어 문화와 역사를 포함한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상징거리의 장소 정체성 도출을 위해 광화문광장을 대상으로 상징거리의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 구성요소 특징과 만족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수집한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하였다. 국가상징거리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i) 교통 접근성 대한 만족도가 다른 요소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i) 공간특성 요소는 구성요소보다 상징거리 이용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주며, iii) 연구대상지가 국가상징거리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인 구성요소 특징과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국가상징거리의 장소 정체성 확보와 주변 상업지구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관리 계획 및 개선방안 제시가 필요하다.

가로녹지 유형이 보행공간의 초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미기후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 (Analysis of the effect of street green structure on PM2.5 in the walk space - Using microclimate simulation -)

  • 김신우;이동근;배채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1-75
    • /
    • 2021
  • Roadside greenery in the city is not only a means of reducing fine dust, but also an indispensable element of the city in various aspects such as improvement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noise reduction, ecosystem connectivity, and aesthetics. However, in studies dealing with the effect of reducing fine dust through trees in existing urban spaces, microscopic aspects such as the adsorption effect of plants were dealt with, structural changes such as the width of urban buildings and street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rees, Impact studies that reflect the actual form of In this study, the effect of greenery composition applicable to urban space on PM2.5 was simulated through the microclimate epidemiologic model ENVI-met, and fiel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parallel to verify the result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sults of fine dust background concentration, wind speed, and leaf area index, the sensitivity to major influencing variables was tes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e dust reduction effect was the highest in the case with a high planting amount, and the reduction effect was the greatest at a low background concentration. Based on this, the cost of planting street green areas and the effect of reducing PM2.5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as a basis for considering the effect of pedestrian space on air quality when planning and designing street green sp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