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lements and the Reappearance Technique of Landscape Image in the Chinatown of Shanghai Street in Busan

부산 상해거리 상점 전면부 경관요소의 유형적 분석과 중국 전통 경관이미지의 재현 수법에 관한 연구

  • Piao, Xiang-Hua (Dept. of Urban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
  • Kang, Young-J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 박향화 (동아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조경학과) ;
  • 강영조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lements and the reappearance techniques of traditional landscape image in Chinatown of the Shanghai Street in Busan, Korea.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commercial buildings owned by Chinese residents, commercial buildings' naming design and environmental sculptures in the Shanghai Stree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 methods of the front side of commercial buildings were classified into two parts: facede design of buildings and signboard design. The design form of the buildings' facade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there are: emphasis type on Chinese characters' signboard, addition type on decorative signboard, introduction type of traditional patterns, imitation type of traditional architectures and modern architectures' modes. The signs of chinese commercial buildings were observed mostly as having a traditional Chinese font in yellow/white on a red background. It has been found that this style was the most popular method of sign design. Secondly, The commercial buildings' naming design was analyzed into design methods and meanings. Design method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 combination of meaning and place, a combination of season and atmosphere and tourist attractions. The meaning of the commercial buildings' names was divided into three kinds: the wishes of the prosperity, elegant type and the appropriation of local attractions. Thirdly,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of Shanghai Street were found to have been influenced by both through out Chinese culture with mixed Korean culture. Finally, as for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lements, we found three reappearance techniques - addition, replacement, juxtaposition. The technique of addition is added new face to the base map by just two methods - extending and overlapping area. Replacement is created new faces from base map by the action of replacing, it has three types - local replacement, package replacement, successive replacement. Juxtaposition is the fact of two or more things placed together with contrasting effect, it also has three types - the same kind juxtaposition, a different kind juxtaposition, topological juxtaposition. This study is the basic research which is analyzing the landscape design in chinatown. But the research only on Shanghai Street may have some limits in scope. It is considered an necessary study to add, which is about chinatown in other city such as Incheon, Jeonju. The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basic data of the landscape plans, that municipalities are actively progressing their respective development projects of Chinatown.

본 연구는 부산 상해거리의 상점 전면부 경관 요소의 유형과 중국 전통 경관이미지의 재현 수법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범위는 상해거리의 화교소유 건물을 대상으로 한 건물전면부의 경관적 특징과 상호명, 그리고 가로환경 조형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 전면부의 경관적 특징을 유형적으로 고찰한 결과를 보면, 건물의 파사드 디자인 형태는 한자간판 강조형, 걸게간판 부가형, 전통문양 부착형, 전통건축이미지 차용형, 현대건축 양식형 등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간판 디자인에 있어서는 색의 경우 글자색은 황색계열, 백색계열배경색은 적색계열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글자체는 모두 번체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명은 크게 작명 방법과 상호명의 의미로 살펴보았다. 작명 방법은 의미와 장소의 결합, 계절과 분위기의 결합, 명소 명물 세 가지로 구분되었다. 의미와 장소의 결합 명명법은 차이나타운 형성 초기부터 사용한 수법이고, 계절과 분위기의 결합 명명법은 1970년대부터 사용하였으며, 명소 명물 명명법은 상해거리 조성 이후부터 사용한 수법으로 나타났다. 상호명 의미로 살펴 볼 때 가게 번영 염원형, 풍류형, 현지 지명 지물 차용형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상해거리에 도입된 가로환경조형물의 이미지는 중국의 남방문화 양식에 한정하지 않고 중국의 북방문화양식과 한국적 양식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상해 거리에 나타난 중국 전통 경관 이미지 재현 수법은 부가, 치환, 병치로 분류하였다. 부가라는 경관이미지 재현 수법은 기존의 형태에 다른 형태가 평면적으로 확장되어서 더해지거나 포함되어 전과는 다른 형태를 만드는 것을 가리키며, 면 대 면의 확장과 면 대 면의 중첩이 관찰되었다. 어떤 유형의 형상을 다른 형상으로 바꾸는 것을 치환이라고 하였고, 치환에는 국부적인 것과 일차적인 것, 일련의 순차에 따라 행하는 순차적 치환이 있다. 병치는 공간적으로나 형태적으로 이전과는 다른 형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가리킨다. 병치에는 동종병치, 이종병치, 이위병치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차이나타운의 경관디자인 수법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부산의 상해거리에 한정하여 분석한 한계를 지닌다. 향후 다른 인천, 전주 등 다른 도시에 형성되어 있는 차이나타운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지자체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차이나타운 특구 개발 사업에 있어서 경관계획 부문의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조(2003). 풍경에 다가서기. 서울: 효형출판.
  2. 권차경, 강영조(2000). 조선시대 민간정원 지당형태의 통시적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8(3): 61-71.
  3. 류제헌(2006). 仁川市 華僑街의 盛衰過程: 1884-1992. 문화 역사 지리. 18(1): 11-37.
  4. 이재정(1993). 한국의 화교 거주지 연구: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창호(2008). 차이나타운의 재개발과 의미의 경합: 인천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지. 41(1): 209-248.
  6. 정세훈(2009). '부산 속의 아시아', 부산 초량동 중화가의 사회생태학적 연구. 경제와 사회. 81: 300-332.
  7. 최옥자(1989). 중한사전. 서울: 일월서각.
  8. 辭海編輯委員會(2002). 辭海. 上海: 上海辭書出版社.
  9. 何兆興(2003). 老牌坊. 北京: 人民美術出版社.
  10. 李欣(2009). 析中國牌坊. 遼寧公安司法管理干部學院學報04: 123-124.
  11. 楼慶西(2001). 中國古建筑二十講. 北京: 生活․讀書․新知三聯書店.
  12. 彭一剛(1986). 中國古典園林分析. 北京: 中國建築工業出版社.
  13. 謝生保, 謝静(2007). 敦煌壁画中的飛天. 尋根: 07: 68-77.
  14. http://history.kedol.com/photo/20090330/kd11847_10.html
  15. http://image.roroad.com/upload/sight/image/102/8b.jpg
  16. http://ko.wikipedia.org/
  17. http://sight.roroad.com/article/content/1/64.htm
  18. http://tupian.hudong.com/a4_03_11_01300000764046127443114186981_jpg.html
  19. http://tupian.hudong.com/a2_10_69_01300000323726123712695781386jpg.htm
  20. http://www.iouter.com/n9450c18p12.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