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age

검색결과 22,788건 처리시간 0.062초

모의조건에 따른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적 확장 영향분석 (Simulation Conditions based Characteristics of Spatial Flood Data Extension)

  • 김남원;정용;이정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6호
    • /
    • pp.501-511
    • /
    • 2014
  • 일괄형 수문모형(Lumped Model)을 활용한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에 영향을 미치는 강우-유출모형의 초기조건과 입력자료의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강우-유출모형의 초기조건으로는 기저유량 정보의 모형모의에 대한 영향과 저류함수법의 포화우량($R_{sa}$)의 공간분포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강우-유출모형의 입력자료로서 강우정보의 영향을 자료의 유무에 관련한 과거자료의 조건을 중심으로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충주댐유역을 선정하였으며, 충주댐 유역을 대규모유역으로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3개 중규모유역과 22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영월1, 충주댐, 영월2의 수위관측소를 70년대 수문자료 유무에 따라 중심 수위관측소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개별적 중심축으로 삼고 1993년부터 2009년까지 30개의 홍수사상을 이용해 홍수유출자료 확장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관측유출을 직접유출과 기저유출로 분류하고 산정된 기저유출을 강우-유출모의에 적용하였다. 기저유출의 적용 유무 조건하에서 세 곳의 수위관측소를 중심으로 각각의 자료 확장성을 파악하였다. 기저유출을 고려한 모델 모의시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값은 모델 모의 만족범위를 넘어서는 사상이 10% 이상 증가되었다. 강우에 대한 초기유출의 양을 결정하는 포화우량($R_{sa}$)의 분포는 세 곳 수위관측소의 유량값을 중심으로 중권역의 포화우량($R_{sa}$)을 최적화하는 경우, 중권역의 최적화된 포화우량($R_{sa}$) 값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포화우량($R_{sa}$) 분포가 강우사상과 유출량의 크기분포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홍수 유출자료의 강수자료 영향은 30개의 홍수사상 자료에서 자료의 이상치를 제외한 17개 홍수사상을 이용해 검증하였으며 강우자료가 많아질수록 오차 범위가 줄어듦을 보였다. 하지만, 전체 홍수사상의 규모에 비해 그 영향이 크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Guinea pig 요관(尿管) 평골근(平滑筋) 수축(收縮) 및 이완(弛緩)의 연령(年齡)에 따른 변동(變動) (Age-dependent Changes in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Ureteral Smooth Muscle in Guinea pig)

  • 임병용;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4권1_2호
    • /
    • pp.33-40
    • /
    • 1978
  • 1. guinea-pig 요관(尿管) 평골근(平滑筋)의 수축(收縮) 및 이완반응(弛緩反應) 연령이 증가(增加)에 의(依)하여 크게 영향(影響)을 받는다는 사실(事實)을 관찰(觀察)하였다. 2. 2-3주, 3개월 및 2-3년 guinea-pig 요관(尿管)을 적출하고 Tyrode 액내(液內)에서 train stimulation법(法)으로 일정(一定)하게 수축반응(收縮反應)을 일으킨다. 3. $Ca^{++}$-free Tyrode 액(液)에서 전기자극(電氣刺戟) 반응(反應)이 소실(消失)된 후(後) $Ca^{++}$ 함유(含有) Tyrode 액(液)을 가(加)하여 야기(惹起)되는 수축반응(收縮反應)의 회복(恢復)에는 3개월(個月) 및 2-3년(年) 요관(尿管)에 비(比)하여 2-3주(週) 요관(尿管)은 훨씬 낮은 농도(濃度)의 $Ca^{++}$을 필요(必要)로 하였으며 비록 2.7mM $Ca^{++}$을 가(加)하여도 2-3주(週) 및 3개월(個月) 요관에 있어서는 처음 수축고의 90% 이상을 회복하였으나 2-3년(年) 요관(尿管)에서는 77.2%만 회복하였다. 4. ISP는 2-3년 요관(尿管)에 비(比)하여 2-3주(適) 요관(尿管)에 있어서 수축고의 억제(抑制) 효과(效果)가 유의(有意)하게 강(强)하였고 theophylline은 연령(年齡)에 관계없이 양군(兩群)모두 강력(强力)히 억제작용(抑制作用)을 나타내었다. 5. 2-3주 뇨관의 수축에 대하여 dibutyryl cyclic AMP는 dose-dependent하게 억제를 나타내었으나 2-3년 노요관(老尿管)에 있어서는 이와같은 현상은 없었다. 그리고 요관(尿管)조직내 cyclic AMP 함량(含量)은 2주기니픽 뇨관에서는 17개월 뇨관에 비(比)하여 73%의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cyclic GMP의 함량(含量)은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6. 유년(幼年) 요관평골근(尿管平滑筋)은 노요관(老尿管)에 비(比)하여 근수축(筋收縮) 및 이완(弛緩)에 관여(關與)하는 $Ca^{++}$의 동원(動員) 및 저장(貯藏)에 있어서 높은 효율성(效率性)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思料)되는 바이다.

  • PDF

초고압 처리가 우유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Pressure Treatment on the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Milk)

  • 이지은;최은지;박선영;전가영;장자영;오영준;임슬기;김태운;이종희;박해웅;김현주;전정태;최학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7-274
    • /
    • 2014
  • 초고압 공정(HPP)은 비가열 공정 중 하나로 식품 중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근래 들어 산업적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우유의 살균은 대부분 가열살균법에 의존하고 있으나, 가열살균은 우유의 영양소 및 이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압 처리가 우유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우유를 $15^{\circ}C$에서 600 MPa의 압력조건으로 3분간 처리했을 시 일반세균 및 유산균의 수는 2-3 Log CFU/ml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대장균군은 HPP 처리 후 $4^{\circ}C$에서 15일 저장 기간 중에 검출되지 않았다. HPP 처리에 따른 유단백의 변성을 알아보고자 유단백의 전기영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 HPP 처리 우유가 가열살균 우유에 비하여 단백질 변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HPP 처리 우유의 경우 비타민 및 무기질의 함량 변화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protease, lipase 및 alkaline phsophatase와 같은 우유 효소는 불활성화 시키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HPP가 우유의 영양소 파괴 및 이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우유의 미생물 제어에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육의 사후 조기 변화 -4. 치사 방법이 육의 사후 경직도와 파괴 강도에 미치는 영향- (Early Changes after Death of Plaice, Paralichthys olivaceus Muscle -4. Effect of Killing Methods on Rigor Index and Breaking Strength of Muscle-)

  • 조영제;이남걸;김육용;김재현;최영준;김건배;이근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1-46
    • /
    • 1994
  • 넙치를 시료로 치사 방법(즉살, 고민사, 마취사 및 전기 자극사)을 달리하여 치사시킨 후에 저장하면서 치사 조건이 사후 조기의 어육의 사후 경직도와 파괴 강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후 경직의 개시 시간은 전기 자극사와 고민사에서 현저히 단축되었고, 경직 개시 시간과 완전 경직 도달 시간은, 각각 전기 자극사일때 0시간과 9시간, 고민사일때 0시간과 13시간, 즉살일때 10시간과 36시간, 그리고 마취사일때 20시간과 56시간이었다. 2. 파괴 강도가 최대값에 도달하는 시간과 그 때의 값은 각각 전기 자극사일때 치사 직후에 $1,230.60{\pm}30.32g$, 고민사일때 2.5시간과 $1,235.83{\pm}35.37g$, 즉살일때 10시간과 $1,186.29{\pm}55.90g$, 그리고 마취사일때 15시간과 $1,189.67{\pm}50.32g$으로, 전기자극사와 고민사일때가 최대값이 높았고 그 저하 속도도 빨랐으며, 마취사일때는 파괴 강도가 최대로 되는 시간이 연장되었다. 3. 어체의 사후 경직도와 어육의 파괴 강도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으며, 사후 경직 개시기를 전후하여 파괴 강도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활어를 전기 자극사시킴으로서 치사 직후에 육질을 단단하게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 마취사시키므로서 육질이 단단해지는 현상의 발생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이런 방법들은 회맛의 향상 및 즉살 활어의 수송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시스템 생태학적 접근법에 의한 넙치생산의 지속성 평가 I. 넙치생산에 대한 EMERGY 분석 (Evaluation of Sustainability for Olive Flounder Production by the Systems Ecology I. EMERGY Analysis of Olive Flounder Production)

  • 김남국;손지호;김진이;이석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8-224
    • /
    • 2001
  • 넙치생산의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스템 생태학적 접근법에 따라 넙치생산활동에 기여하는 자연환경의 실질적인 가치와 인간경제 시스템에 대한 기여도를 EMERGY 분석법으로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환경 에너지원의 EMERGY 점유율 ( $\%$ Renew)은 자연산 넙치생산의 경우 $94.13\%$로 자연환경의 의존도가 높은 구조적인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넙치 양식산업의 경우 $2.20\%$를 차지하고 있어 자연산 넙치생산과는 대조적으로 경제활동에 의존도가 높은 산업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생산의 효율성과 자원의 가치를 나타내는 EMERGY 생산비 (EYR)는 양식산업의 경우 1.02로 자연산 17.05에 비해서 낮은 생산비 값을 보이고 있어 전체 경제에 대한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자연환경에 대한 인간경제활동의 참여율을 나타내는 EMERGY 투자비 (EIR)는 양식산업 44.41, 자연적인 넙치생산 0.06으로 평가되었고, 영속성 자원에 대한 비영속성 자원의 비인 환경부하비 (ELR)는 넙치 양식산업이 상대적으로 자연환경에 대한 경제적인 개발과 투자가 적은 자연산 넙치생산에 비해 화석연료를 비롯한 비영속성 EMERGY가 많이 투입되어 환경부하율이 높고, 자연환경에 대한 압박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EMERGY의 생산성과 환경압박의 비로 계산되는 지속성 지수(Sl)는 넙치 양식산업이 자연산 넙치생산보다 환경친화적이지 못하고 생산의 지속성도 훨씬 적은 깃으로 평가되었다. 자연환경의 가치와 인간경제활동을 동일가치에서 평가하는 시스템 생태학적 접근법에 의하여 넙치의 양식산업을 평가한 결과 자연산 넙치생산에 비해, 인간의 경제적 활동에 의한 의존도가 높은 특성을 나타내며, 자연환경에 대한 경제적인 개발과 투자가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생산의 효율성이 적은 산업의 형태를 보이고 생산의 지속성도 낮은 시스템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넙치생산의 발전방향은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양식산업보다는 수용능력 범위내에서 자연환경자원을 지속가능 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해면어업이나, 보다 자연환경자원에 의존하는 양식기법 또는 생태공학적 방식으로 전환해야 만이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 PDF

고온가열처리에 의한 바다방석고둥 (Omphalius pfeifferi capenteri)의 식품성분 변화 (Changes in Pood Components of Top Shell, Omphalius pfeifferi capenteri by Thermal Processing at High Temperature)

  • 하진환;송대진;김풍호;허민수;조문래;심효도;김혜숙;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6-172
    • /
    • 2002
  • 바다방석고둥을 원료로 한 신제품 개발에 관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 저장성 부여를 위하여 시도하는 고온가열처리 조건 ($F_0$ 5분, $F_0$ 10분, $F_0$ 15분 및 $F_0$ 20분)에 따른 바다방석고둥의 성분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바다방석고등 통조림은 살균을 $F_0$ 5분 이상 처리하는 경우 저장 중 팽창관이 발생하지 않았고, 또한 생균수가 검출되지 않아 저장성이 있었다. 고온가열처리 정도가 증가할수록 바다방석고둥의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감소하였고,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바다방석 통조림은 고온가열처리 정도가 증가할수록 이취에 관여하는 휘발성염기질소 함량, pH와 색조에 관여하는 갈변도는 증가하였고, 영양에 관여하는 구성아미노산, 무기질과 맛에 관여하는 유리아미노산, TMAO, total creatinine 및 수율 등은 감소하였다. 이들을 색조, 조직감 및 맛에 대하여 관능검사한 결과 자숙처리한 시료에 비하여 모든 항목에서 $F_0$ 10분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상 가열처리한 경우 품질이 저하하였다고 인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바다방석고둥을 고온가열처리하석 신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경우 $F_0$ 값이 10분 이상이면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강 외 노출시간에 따른 흰쥐 치아 치주인대세포 활성도의 MTT 검색법을 이용한 평가 (EVALU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 VIABILITY IN RAT TEETH ACCORDING TO VARIOUS EXTRA-ORAL DRY STORAGE TIMES USING MTT ASSAY)

  • 전인수;김의성;김진;이승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5호
    • /
    • pp.398-40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MTT 검색법을 이용하여 흰쥐 상악 대구치를 발거한 후 실온의 건조 상태에서의 시간 변화에 따른 쥐 치아 치근면의 치주인대 세포 활성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냉동 절단법을 이용한 조직학적인 관찰 결과를 토대로 하여 MTT 검색법이 유용한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생후 4주된 암컷 Sprague-Dawley계 흰쥐 80마리를 이용하여 ${\beta}$-APN 전처치 후 상악 제 1 & 2대구치를 모두 발거하였다. 이들 치아를 즉시 혹은 10, 20, 40, 60분 동안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치아 자체를 MTT용액에 저장한 다음 흡광도 측정을 이용한 정량적 분석과 동시에 냉동 절단법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찰하였다. MTT 검색에 의한 흡광도 값에 있어 즉시 처치군과 10분 건조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p > 0.05). 그러나, 즉시 처치군 및 10분 건조군은 20분과 40분 및 60분 건조군과 비교시 통계학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p <0.05). 또한, 20분 건조군도 40분 및 60분 건조군과의 군간 비교에서 각각 통계학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p<0.05). 그러나, 40분 건조군과 60분 건조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조직학적 관찰에서 시간경과에 따라 crystal의 모양과 분포 및 수에서 확연히 구별되는 특징적인 양상을 보여주었다. 즉시 및 10분 건조 군에서는 가시모양의 crystal이 전치주인대 부위 조직과 치수 내에 밀도 높게 골고루 폭넓게 퍼져 있었으나 20분 이상 건조 군에서부터는 치주인대와 치수 부위 조직 모두에서 crystal 결정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번 실험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MTT 흡광도 측정값과 냉동 절단법을 이용한 시편의 MTT 염색 관찰 소견 결과를 서로 비교했을 때 상당히 밀접한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두께에 따른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 (Polymerization of dual cured composites by different thickness)

  • 김윤주;진명욱;김성교;권태엽;김영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169-176
    • /
    • 2008
  • 본 연구는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에서 재료의 두께, 충전방법 및 중합방법에 따른 중합도를 미세경도 시험을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으로는 MultiCore Flow (Ivov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와 Bis-Core (Bisco Inc., Schaumburg IL, USA)를 사용하였다. 시편의 제작은 각각 두께가 2(단일충전), 4 (단일충전), 6 (단일충전과 적층충전), 8 (단일충전과 적층충전) ㎜의 Teflon mold에 재료를 주입한 다음 할로겐 광중합기 (Optilux 501, Kerr, Danbury, USA)를 사용하여 광중합하거나 암실에서 30분 동안 기다린 후(자가 중합) Teflon mold에서 제거하였다. 제거한 시편은 $37{\circ}C$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각 시편의 윗면과 아랫면을 2000번 연마제와 PoGo system (Dentsply, Konstanz, Germany)을 이용하여 마무리하였다. Digital microhardness tester (FM-7, Future-Tech Corp.,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경도값(Knoop hardness number)을 측정하였으며 윗면의 경도값/아랫면의 경도값을 이용하여 경도비를 계산하였다. 계측치는 one-way ANOVA로 통계 분석 후 사후검정은 Scheffe 다중비교법을 이용하였다.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도에 대한 두께의 영향을 보면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2, 4, 6 mm 군에서는 MulriCore Flow와 Bis-Core 모두 두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8 mm 군에서는 MultiCore Flow의 아랫면에서 다른 두께의 군보다 낮은 경도값을 보였다. 충전방법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를 보면, 재료의 두께나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6 mm 군에서는 단일충전군과 적층충전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8 mm 군에서는 Bis-Core에서는 차이가 없는 반면 MultiCore Flow에서는 단일충전한 군이 적층중전한 군보다 낮은 경도비를 보였다. 중합방법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를 보면,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Bis-Core의 경우에는 윗면과 아랫면 모두에서 이중 중합 시킨 군이 자가 중합 시킨 군보다 높은 경도값을 보였다. 그러나 MultiCore Flow의 경우, 윗면에서는 이중중합 시킨 군이 더 높은 경도값을 보였지만 아랫면에서는 더 낮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코어용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을 깊은 와동에 충전할 경우 적층충전이 추천되며, 또한 광중합을 해 줌으로써 더 좋은 물리적 성질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암산 염건 숭어알의 가공과 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cessing and Compositions of Salted and Dried Mullet Roe)

  • 조상준;이종욱;김동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2-251
    • /
    • 1989
  • 전통식 품인 영암 어란의 제조 공정을 체계화 하여 숭어알을 염지하고 정형하여 참기름을 바르면서 건조하여 제조한 염건 숭어알과, 전처리를 동일하게 한 진공건조 숭어알을 저장하면서 지질을 분획하고 그 구성지방산을 분석하고 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숭어알을 채취하여 소금물로 씻고 10% 간장액에 24시간 염지하고 건조판 상에서 두께 1.2cm로 가압하여 정형하고 참기름을 1일 2회씩 바르면서 $20^{\circ}C$, 3m/sec 풍속과 70% R. H.에서 3주간 음건하여 제조하였다. 2. 지질함량이 40.12% 이었고, 유리지질은 62mg/100mg, 결합지질은 36mg/100mg이었으나 저장 중에는 감소하였다. 유리 및 결합지질을 분획하여 얻은 유리 중성지질이 40mg/100mg으로 최대 함량이었으나 9주째는 29mg/100mg까지 감소하였으며 결합중성 및 인지질은 각각 13mg/100mg씩, 당지질은 10mg/100mg이었으며 이들은 저장중에 감소하였다. 3. 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C_{18:2}$, $C_{18:1}$, $C_{18:0}$$C_{16:0}$의 순서로 다량 함유되었으며, 홀수지방산은 $C_{13:0}$에서 $C_{21:0}$까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55% 정도 함유되었으며 저장중 다가불포화지방산의 감소 속도는 신속하였다. 4. 구성아미노산은 18종으로 Glu가 11.17%, Pro이 8.33%, Leu이 7.38%, Lys이 7.26% 및 CySH 이 7.55%로 다량성분 이었으며, 이들의 단백가는 155%, 화학가는 109%이고 필수아미노산비(EAA/TAA)는 $0.4{\sim}0.44$이었다. 또한, 진공건조한 경우의 아미노산 함량은 3주째는 많았으나 저장중의 감소량이 많았다. 유리아미노산은 Pro이 50.6l%로 절반 이상이었고. Trp과 Tyr이 다량 함유되어 총 1,376mg% 이었다.

  • PDF

숙성온도를 달리한 김치의 발효 및 관능특성 (Changes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on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 최신양;이명기;최광식;구영조;박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44-649
    • /
    • 1998
  • 저온에서 제조한 김치의 저장온도에 따른 발효특성과 내부온도의 변화를 보기 위해 $12{\pm}1^{\circ}C$에서 김치를 제조하여 $17{\pm}1^{\circ}C$$4{\pm}1^{\circ}C$ 저장고에 저장하면서 이들의 경시적인 변화를 시험한 결과 $17{\pm}1^{\circ}C$ 저장처리구에서 4일째의 품질이 $4{\pm}1^{\circ}C$ 저장처리구에서는 48일만에 같은 수치를 보였으며 총균수와 젖산균수의 변화는 $17{\pm}1^{\circ}C$ 저장구에서 2일째 $1.5{\times}10^9\;cells/mL$$6.3{\times}10^8\;cells/mL$로 최대를, $4{\pm}1^{\circ}C$에서는 저장 9일째 $2.0{\times}10^8\;cells/mL$$8.7{\times}10^7\;cells/mL$로 최대를 나타내었다. 김치의 용존 $CO_2$ 함량은 두 처리구 모두에서 9일째 $2,200{\sim}2,400\;ppm$ 정도의 최고치를 보인 후 감소하다가 다시 약간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내부온도는 초기 $17^{\circ}C$$4^{\circ}C$에 도달하기 위해 각기 25, 35시간이 소요되었다. 외국인, 특히 일본인들이 우리나라의 전통적 김치에 대한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김치를 3가지 염농도별로 제조하여 pH가 $3.9{\sim}4.3$ 되었을 때 약 100 g을 $4{\pm}1^{\circ}C$에서 관능요원에게 제공하고 외관, 조직감, 탄산미, 짠맛, 신맛, 매운맛 및 종합적 기호도를 7점 평점제로하여 평가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를 SAS통계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 유의성을 검사하였다. 염농도가 2.03%인 김치가 1.07%, 2.63%의 김치보다 높은 평가치를 나타내었으며 외관, 조직감, 탄산미, 짠맛 및 신맛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매운맛과 종합적 기호도는 P=0.05 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일본인의 우리나라 전통적인 김치에 대한 종합적인 기호도는 염농도 2.03%, 2.63%, 1.07%의 김치 순으로 아주 싱거운 김치는 선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