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pping Sight Distanc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7초

연속류 도로에서 차량의 주행속도 분석을 통한 정지시거 적용 (The Application of Optimum Stopping Sight Distance from Vehicle Driving Speed in Continuous Flow Road)

  • 이종출;김희규;노태호;박규열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3-238
    • /
    • 2004
  • In this study, speed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Pusan Freeway to identify actual running speed. therefore, suggest that Highway Design Regulations and Highway Design Standard from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which requires stopping sight distance for 20% less speed when rainy condition in accordance with Highway Safety Act, is not coincident with driver's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it is prudent to compute stopping sight distance with 85th percentile running speed, considering driver's actual behavior and mountainous terrain.

  • PDF

기상 및 교통 자료를 이용한 교통류 안전성 판단 지표 개발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dex for Identifying Freeway Traffic Safety Based on Integrating RWIS and VDS Data)

  • 박현진;주신혜;오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41-451
    • /
    • 2014
  • 본 연구는 도로 기상정보 시스템(RWIS : Road Weather Information System)에서 수집되는 시정거리와 차량검지기(VDS : Vehicle Detection System)에서 수집되는 속도 자료를 이용하여 교통류 안전성을 판단하였다. 교통류의 안전성 측면에서 시정거리(VD : Visibility Distance)가 정지시거(SSD : Stopping Sight Distance)보다 길어야 이벤트 발생 시 안전하게 정지하거나 위험한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운전자에게 사고예방을 위한 능동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최근접이웃 예측기법(KNN : K-Nearest Neighbors Method)을 활용하였다. 또한, 교통류 안전성에 대한 운전자의 이해도 증진 및 객관성을 위하여 안전성 지표(LOHSI : Level of Hazardous Spacing Index)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교통류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교통운영을 지원 할 수 있을 것이다.

도로 설계 지역 구분 (Area Identification for Road Design)

  • 김용석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81-189
    • /
    • 2014
  • PURPOSES : Ambiguous decision on whether rural or urban area for road design can increase the construction cost and restrict the land use of surrounding area. However, administrative classification on rural and urban area is not directly related to road design because of this classification is not based on the engineering viewpoint, so method which can explain the road design context is required. METHODS : Method which enables to identify the area for road design is suggested based on the deceleration expected to be experienced by drivers who use the road section concerned. Deceleration rate corresponding to the area such as rural or urban suggested in Road Design Guideline is used as the criteria to identify the area by comparing this value with the estimated deceleration rate at the road section concerned. Speed profile method is utilized to derive the deceleration rate, and speed estimation way for reflecting both road geometry and intersection is suggested using stopping sight distance concept. RESULTS : The procedure of the method application is suggested, and the design example utilizing the method is provided. CONCLUSIONS : The method is expected to be used to identify the area for road design with engineering viewpoint, and design consistency among the roads with similar driving environment can be made.

볼록형 종단곡선에서 시공오차를 고려한 정지시거에 관한 연구 (Sight Distance at Crest Vertical Curves Under Consideration of Construction Errors)

  • 이명한;김동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53-162
    • /
    • 2005
  • 볼록형 종단곡선의 정점부에서 시공오차가 발생한다면 정지시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규정된 시거가 확보되지 못하면 안전성에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오차가 정지시거에 미치는 영향을 설계속도별, 종단경사별로 산출하는 방법론을 도출하였고 감소된 정지시거의 정도와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공오차를 감안하면서도 시거를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종단곡선의 변화비율(m/%)을 제시하였다. 설계속도별로 시공오차의 크기에 따라 감소되는 시거를 비교해보면, 120km/h의 경우 $2.8{\sim}21.3m$, 100km/h 의 경우 $2.0{\sim}15.1m$, 80km/h의 경우 $1.4{\sim}10.6m$, 60km/h의 경우 $1.0{\sim}7.5m$, 40km/h의 경우 $0.5{\sim}3.9m$로 산출되었다. 기존의 종단곡선의 변화비율에서 시공오차를 고려했을 때 설계속도 $120km/h{\sim}60km/h$의 경우 종단곡선의 변화비율을 약 $6{\sim}25%$ 상향조정하면 규정된 시거를 확보해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을 고려한 도로 시거 설계의 제고 (Reliability-Based Design of Sight Distance, a Revisit)

  • 이슬기;이용재;김상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1-131
    • /
    • 2006
  • 안전한 도로설계가 되기 위해서는 운전자나 자동차의 특성을 충실하게 반영한 설계기준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설계기준들은 운전자와 차량의 체계에서 관측되는 불확실성의 특성을 감안하고 있지 못하며, 기본적으로 동질 단순 체계로 간주하여 대표적인 특성만을 반영하는 위험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선형설계의 가장 중요한 설계요소의 하나인 정지시거와 교차로시거를 중심으로 신뢰성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신뢰성공학에서 이미 잘 알려진 Hasofer-Lind (1974)의 일계이차 모멘트 방법을 사용한다. 연구의 결과, 만약 특정 도로구간에 대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시거모형의 파라메타에 대한 평균, 분산, 그리고 분포함수를 알 수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그 구간에 대한 시거의 불확실성과 안정성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설계기준을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확률모형은 신뢰수준을 감안한 시거설계에 있어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호교차로에서 U-Turn허용구간의 위치 및 적정길이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urn Location and Length Estimation at Signalized Intersection)

  • 이정환;박제진;하태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03-213
    • /
    • 2008
  • U-Turn은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며 차량의 소통효율을 향상시키는 측면도 있지만 U-Turn에 대한 설치기준 및 법제규정과 안전시설 설치기준들이 명확치 않아 교통소통과 교통안전에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통량과 주행속도를 주요 변수로 하여 차량의 정지시거와 좌회전차량들의 대기행렬길이를 고려한 U-Turn 허용구간과 전방교차로와의 적정 이격거리를 산정한다. 둘째, 현장조사를 통해 실제 U-Turn 차량의 행태를 분석하여 상충형태를 분류하고 상충과 U-Turn 허용구간의 길이와의 관계분석을 통해 차로변경각도와 주행속도를 변수로 하여 U-Turn 허용구간의 길이를 산정한다. 마지막으로 U-Turn허용구간과 후방교차로의 거리는 교통량과 주행속도, 차로변경각도를 주요변수로 하여 간격수락이론을 통해 적정이격거리를 산정한다. 그리고 몇 가지 교통조건들의 환경을 설정하여 모의실험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소통과 안전을 고려한 U-Turn허용구간의 적정길이 및 위치를 제시한다.

기존 노면요철 포장 개선 연구 (A study to improve the existing rumble-strip)

  • 류성우;임관;박권제;조윤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77-186
    • /
    • 2009
  • 국내 도로의 주행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000년에 처음으로 노면요철 포장을 도입하였다. 본 공법의 효과가 증명되면서부터 시공물량은 매년 증가하였다. 본 연구진은 기존형태를 개선하여 본선 콘크리트 포장부 시공 시 동시에 노면요철 포장을 설치하는 형식을 제안하였다 노면요철 포장 시공장비를 제작하여 평택${\sim}$음성 고속국도에 시험시공을 하였으며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AASHTO에서 제안한 식을 이용하여 횡방향 정지거리를 산출한 결과, 개선된 노면요철 포장의 횡방향 여유 폭이 0.5m 더 확보되어 기존형태보다 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음도 평가결과, 노면요철 포장이 없는 구간을 주행할때보다 약 $3.5{\sim}9dB(A)$까지 더 크게 소음이 발생하여 졸음을 예방하거나 운전자의 환경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동평가에서는 주로 사람의 안구에 영향을 주는 주파수 영역대의 진동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행 후 운전자들의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개선된 형태가 기존형태보다 소음이나 진동에서 큰 차이는 없지만 주행상의 안정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선된 공법을 도로에 확대 적용할 경우, 기존보다 교통사고 및 사망자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 PDF

고속도로 연결로상 연속 분류지점 간의 이격거리 검토 (Determining Ideal Distance between Consecutive Exit Ramps)

  • 이성관;이기영;장정화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D호
    • /
    • pp.65-72
    • /
    • 2011
  • 고속도로 분기부 연결로상에서는 연속되는 유출형태가 나타나게 되어, 주행상의 안전성을 고려한 1차, 2차 분류지점 간 적정 이격거리(L)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도로설계 지침에서 제시한 240m라는 동일한 설계기준을 적용하는 대신에, 동 구간에서 운전자에게 필요한 인지반응시간과 차로변경시간을 고려한 적정 이격거리를 산정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특히 인지반응시간과 관련하여 정지시거 계산에 활용되는 기존의 2.5초와 더불어 기하구조 상의 특성을 고려한 판단시거 계산에 활용되는 보다 긴 인지반응시간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였다. 더불어 적정 이격거리 산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고속도로 분기점 중 사고가 잦은 네 개의 분기점을 대상으로 교통사고 발생현황을 조사하여, 본 연구에서 검토한 적정 이격거리 산정방법을 적용하여 최소 이격거리를 도출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 현재의 기준치가 정지시거를 중심으로 할 때는 충분한 최소 이격거리를 제시하고 있지만 판단시거를 중심으로 할 때는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고가 잦은 현장에서 조사한 차량들의 실제 주행속도가 설계속도와 비교해 월등히 높은 점을 감안한다면, 지침에서 제시하는 것과 같은 획일적인 이격거리의 적용보다는 예상되지 못한 상황을 가정하여 적정 이격거리를 구하게 되는 판단시거를 중심으로 한 이격거리 계산과 설계가 오히려 더 설득력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 규모 터널 주행실험을 통한 터널 경계부 휘도 기준의 적정성 검증 (Verific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andard for Tunnel Luminance in the Threshold Zone Through a Full-scale Tunnel Driving Test)

  • 박원일;조원범;정준화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05-115
    • /
    • 2015
  • PURPOSES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safety with the standard for threshold zone luminance as specified in the Recommendation for Lighting of Traffic Tunnel, which has been widely adopted worldwide. METHODS : A driving test of the subject in a full-scale road tunnel was conducted. The adaptation luminance and threshold zone luminance, which should be known for the driver to perceive an object within stopping sight distance, were obtained. These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adaptation luminance and threshold zone luminance obtained by the existing reduced model test and tunnel lighting standard that has served as a guideline for the current threshold zone luminance standard. RESULTS : According to this study, threshold zone luminance should be increased to at least 1.8 times the value proposed in the existing studies and to twice the domestic tunnel lighting standard (KS C 3703: 2014). CONCLUSIONS : The threshold zone luminance proposed in this study differs largely from that obtained from indoor tests and from the current tunnel lighting standard used worldwide; this difference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indoor tests did not incorporate driving workload, non-uniformity of luminance distribution in terms of sight, and factors that reduce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such as the light reflected into the driver's eyes. Hence, it is necessary to further review the factors that reduce the visibility of drivers approaching tunnels in order to determine the rational tunnel threshold zone luminance.

임계간격을 이용한 비신호 교차로의 시거 산정에 관한 연구 (Intersection Sight Distance Based on Critical Gap at Unsignalized Intersections)

  • 이슬기;이용재;김석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97-110
    • /
    • 2003
  • 교차로 시거는 안전하게 교차로를 운영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본적인 요소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선진국에 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경험이 부족한 실정이다. 즉 미국을 위시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이미 많은 노력을 들여 자신들의 고유한 운전자 특성 및 행태, 차량의 운행특성, 기타 환경조건의 영향 등을 고려한 교차로 시거 기준을 마련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는 미국의 설계기준을 거의 여과 없이 준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내외 연구여건을 감안하여 최근 미국과 유럽 선진국에서 유용성이 널리 알려져 있는 AASHTO(2001) 시거모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도시지역의 비신호 교차로에 적합한 교차로 시거를 산정하여 보고자 한다. 이 시거모형은 안전제동거리(Safe Stopping Distance)를 바탕으로 발전된 기존의 시거모형과는 달리 운전행태에 따른 임계간격(Critical Gap)을 이용하여 개발된 모형으로서 교차로 주변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손쉽게 모형에 포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안전에 관한 행태적 측면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개선된 것이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국내와 미국의 도로설계에 적용되고 있는 운전행태별 시거기준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산정한 시거가 전반적으로 작은 값으로 추정되고 있어 현재 우리 나라 교차로의 설계에 적용되는 기준치들이 매우 보수(안전)적인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