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section Sight Distance Based on Critical Gap at Unsignalized Intersections

임계간격을 이용한 비신호 교차로의 시거 산정에 관한 연구

  • 이슬기 (중앙대학교 도시공학과) ;
  • 이용재 (중앙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석근 (중앙대학교 도시공학과)
  • Published : 2003.10.01

Abstract

The sight distance at unsignalized intersections is the one of the fundamental geometric design elements, and can ensure safety and efficient operations. Despite its importance, little research attention has been directed in Korea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such as European countrie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ASHTO ISD policies have been applied to the intersection design in Korea without any revise, which can produce unrealistic and unadoptable design values. Those values are emerged from several reasons because the AASHTO ISD has been calibrated based on the local data. Therefore the ISD hardly takes into account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Korea such as driving behavior. vehicular movement and roadway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ISD values for unsignalized intersections in the urban area in Korea. In this study, we employed the ISD model of AASHTO(2001), which is based on gap acceptance theory and can account for and take the driving and roadway conditions in Korea into consideration. The approach can also consider the complex driving maneuvers at the intersections in a proper and simple manner.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w that the ISD design criteria currently used in Korea are more conservative(safer) than those of the USA. In other words, the ISD using field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has generally smaller values than those in USA.

교차로 시거는 안전하게 교차로를 운영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본적인 요소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선진국에 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경험이 부족한 실정이다. 즉 미국을 위시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이미 많은 노력을 들여 자신들의 고유한 운전자 특성 및 행태, 차량의 운행특성, 기타 환경조건의 영향 등을 고려한 교차로 시거 기준을 마련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는 미국의 설계기준을 거의 여과 없이 준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내외 연구여건을 감안하여 최근 미국과 유럽 선진국에서 유용성이 널리 알려져 있는 AASHTO(2001) 시거모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도시지역의 비신호 교차로에 적합한 교차로 시거를 산정하여 보고자 한다. 이 시거모형은 안전제동거리(Safe Stopping Distance)를 바탕으로 발전된 기존의 시거모형과는 달리 운전행태에 따른 임계간격(Critical Gap)을 이용하여 개발된 모형으로서 교차로 주변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손쉽게 모형에 포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안전에 관한 행태적 측면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개선된 것이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국내와 미국의 도로설계에 적용되고 있는 운전행태별 시거기준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산정한 시거가 전반적으로 작은 값으로 추정되고 있어 현재 우리 나라 교차로의 설계에 적용되는 기준치들이 매우 보수(안전)적인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0). 도로설계편람, 한국건설기술 연구원
  2. 건설교통부 (2000). 도로의 구조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대한토목학회
  3. 고동석 . 이용재 . 정진혁 (2000). '수도권 지역 4-지 비신호 교차로에 대한 이동류별 차량의 임계 간격과 추종시간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 18권 , 제6호 , 대한교통학회. pp.19-32
  4. 김석근 (2002), 임계간격 추정기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5. 김석근 . 이용재 (2002), 비신호 교차로의 운영특성 분석과 개선에 관한 연구, 건설환경논문집, 중앙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제13권 제1호
  6.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1984).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Washington D.C.
  7.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1990).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Washington D.C.
  8.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1994) .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Washington D. C.
  9.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2001). A Policy on Geometric Design of Highways and Streets. Washington D.C.
  10. Ashworth, R.(1968), A Note on the Selection of Gap Criteria for Traffic Simulation Studies. Transportation Research 2(2), pp.171-175 https://doi.org/10.1016/0041-1647(68)90060-9
  11. Brilon, W.. Koenig. R. and Troutbeck. R. (1999). Useful Estimation Procedures for Critical Gap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 Policy and Practice. Vol.33A, No.3/4. pp.161-186
  12. Fambro, Daniel B.. Fitzpatrick. Kay., Koppa, Rodger.(1997). Determination of Stopping Sight Distance, NCHRP Report 40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13. Fitzpatric, Kay.(1991). Gaps Accepted at Stop-Controlled Intersect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303. pp.103-112
  14. Harwood. Douglas W., John M. Mason, Robert E. Brydia, (1996). Intersection Sight Distance. NCHRP Report 383,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15. Hewitt, R. H.(1983). Measuring Critical Gap,Transpn Sci., 17(1). pp.87-109 https://doi.org/10.1287/trsc.17.1.87
  16. Miller. A. J.(1972), Nine Estimators for Gap-Acceptance Parameters. In: Newell, G. (Ed.):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Theory of Traffic Flow and Transportation. Berkeley. California June, 1971. Elsevier Amsterdam
  17. Raff, M. S. and Hart. J. W.(1950), A Volume Warrant for Urban Stop Signs. Eno Foundation for Highway Traffic Control: Saugatuck. Connecticut
  18. Troutbeck, R. J.(1992), Estimating The Critical Acceptance Gap from Traffic Movements.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Research Report 92-5. pp.2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