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imulus onset asynchrony(SO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의미적 속성을 가진 시.청각자극의 SOA가 시청각 통합 현상에 미치는 영향 -중복 표적 효과와 시각 우세성 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OA between the Visual and Auditory Stimuli with Semantic Properties on Integration of Audio-Visual Senses -Focus on the Redundant Target Effect and Visual Dominance Effect-)

  • 김보성;이영창;임동훈;김현우;민윤기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475-484
    • /
    • 2010
  • 본 연구는 의미적 속성을 가진 시각과 청각자극 간의 SOA(stimulus onset asynchrony)가 시청각 통합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청각 통합 현상 중 표적을 의미하는 자극의 양상이 두 개 이상인 경우 표적에 반응이 빠르고 정확한 중복 표적 효과(redundant target effect)와 청각 자극에 비해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이 빠르고 정확한 시각 우세성 효과(visual dominance effect)를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시각과 청각 단일 양상 표적 조건과 다중 양상 표적 조건을 구성하여 조건들의 반응시간과 정확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 청각자극의 SOA가 변하더라도 중복 표적 효과는 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자극 간의 SOA가 100ms 이상인 조건에서는 청각자극의 우세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복 표적 효과의 경우 두 양상자극 간의 SOA가 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속된다는 점을 시사하며, 청각자극의 경우 시각자극에 비해 약 100ms 이상의 시간적 이득조건이 마련되었을 때에 비로소 우세한 정보처리의 행동결과가 도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유아의 다중과제 수행과 심리적 불응기: PRP 패러다임 과제를 중심으로 (Multiple Task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Refractory Period in Children: Focusing on PRP Paradigm Tasks)

  • 김보경;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75-90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hildren's cognitive processing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hile multiple task performance. It confirmed whether their multiple task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refractory period (PRP) varied by task condition (stimulus onset asynchrony [SOA] and task difficulty) and stimulus modality. Methods: Seventy 5-year-olds were recruited. Multi-task tools were developed using the E-prime software. The children were required to respond to two stimuli (visual or auditory) presented with microscopic time difference and their response times (RTs) were recorded. Results: As the SOA increased, the RTs in the first task increased, while the RTs in the second task and PRP decreased. The RTs of the first and second tasks, and the PRP for difficult tasks,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for easy tasks were. Additionally,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OA and task difficulty. Although there was no main effect of stimulus modality, task difficulty moderated the modality effect. In the high difficulty condition, the RTs of the first and second tasks and PRP for the visual-visual task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for auditory-auditory task were. Conclusion: These results inform theoretical discussions on children's multi-task mechanism, and the loss of multiple task performance. Additionally, the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and information on the composition of multi-tasks suitable for children in educational environments.

단어재인 초기단계에서의 언어학적 변인의 역할 (Early Locus of a Linguistic Variable in Word Recognition)

  • Lee, Chang H.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5-110
    • /
    • 2002
  • The syllable and the morpheme are known to be important linguistic variabl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se variables were activated in an early stage of word recognition using the fast priming task. Mixing the lettercase for the prime, the results of experiment 1 and 2 revealed effects of the syllable and the morpheme at a short SOA (Stimulus Onset Asynchrony), but not at a long SOA. Using the same manipulation in the experiment 3 and 4, an effect of syllabl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t the short SOA, but not at the long SOA. The study showed that the syllable plays a role in an early stage of word recognition.

  • PDF

한국인의 한국어와 영어 단어 산출에서 나타나는 점화 효과 (Priming Effect in Korean and English Word Production by Korean Speakers.)

  • 권혜원;남기춘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2년도 11월 학술대회지
    • /
    • pp.165-168
    • /
    • 2002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iming effect in Korean and English word production by Korean speakers. Picture-naming with distractors was used as experimental task. The type of target language, the type of distractor language and SOA(Stimulus Onset Asynchrony) were used as variables. Cross-linguistic priming effect and within-linguistic priming effect were mesured to investigate bilinguals' conceptual system.

  • PDF

초점 주의의 공간 위치가 회귀억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hibition of Return on the spatial location of Focused-Attention)

  • 박찬희;심혜영;홍철운;김남균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3-297
    • /
    • 2001
  • 본 연구는 공간상에서 초점 주의의 공간 위치가 인간의 감각 운동 협응에 의한 회귀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실험은 20∼25세 나이의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하였고, 자체 제작한 방음 암실에서 실시되었다. 지금까지의 회귀억제는 위치와 시간에 관련된 특이한 현상이라고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는 피험자의 주의가 집중되어 있는 공간에서는 시간에 관계없이 일어나지 않지만 피험자의 주의가 분산되었을 경우는 한 번 집중된 공간으로 주의를 옮기기가 어려운 회귀억제 현상이 일어났다. 본 연구에서는 회귀억제는 조건에 따라서는 자극 제시 간격(SOA)과 무관하며 초짐 주의 공간 위치와 관련된 현상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 PDF

사주적 범부의 암묵적 표상 구조: 성별 고정관념의 비대칭적 점화효과 (Implicit Representations of Social Categories: Asymmetrical Priming Effects on Gender Stereotype)

  • 이재호;조긍호;오경기;김미라
    • 인지과학
    • /
    • 제12권1_2호
    • /
    • pp.43-54
    • /
    • 2001
  • 본 연구는 사회범주인 성별 고정관념의 암묵적 표상 구조의 특성을 살펴보기위해서 실시되었다. 사회 범주는 일반대상이나 행위의 범주에 비해서 속성의 비중이크며, 그 표상 구조도 분명하지 않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세 개의 실험에서 성별 고정관념의 평가적 속성을 통제하여 암묵적 표상의 구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 실험은 점화-목표 자극쌍의 SOA 조건을 변화시켰다. 그 결과 짧은 SOA(250-500ms, 실험 1과 실험 3)에서의 여성-여성 단어쌍의 남성-남성 단어쌍이나 교차 자극쌍에 비해서 점화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긴 SOA(1000ms, 실험 2)에서는 단어쌍 조건간의 점화효과의 차이가 사라졌다. 사회 범주로의 성별 고정관념은 암묵적 수준에서는 여성과 남성의 범주 대비가 분명하지 않았으며, 여성 범주가 남성범주에 비해서 속성간 점화효과가 크지 않았다. 이는 두 범주가 비대칭적으로 표상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Fuctional MRI for Phobic Stimuli: Comparison study betwee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Control groups

  • 박지강;박종익;이호규;문찬흥;유재욱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1년도 제6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6-106
    • /
    • 2001
  • 목적: 일반인과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환자들(PTSD)에서 동일한 공포 자극에 대한 기능적 뇌 자기ㆍ공명영상에서 뇌 활성화 부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조군 (여자9명)과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로(PTSD) 진단된 환자군 (여자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모두 오른손잡이였다.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군은 모두 교통사고와 관련되어 있었다. 1.5T MR 기기에서 EPI BOLD 기법을 이용하여 24개의 axial slice를 얻었으며, 시각자극으로 교통사고 현장 사진과 비교군으로 체크 무의 사진을 무작위로 배열하여 각각 1초씩 보여 주었다 (event related design). SOA (Stimulus Onset Asynchrony)는 3.5초로 하였고 전체 영상은 10분 동안 얻었다. 모든 환자에서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은 1차례 시행하였다. 영상후 처리는 SPM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황성화 신호의 유의수준은 p=0.01을 기준으로 활성화 영상을 얻었다. 활성화 신호를 육안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해마, 편도핵, 전전두엽의 활성화 정도를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 PDF

내현적 주의와 재정향이 탐지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dogenous attention and reorienting on performance of detection task)

  • 고재형;김신우;이형철
    • 감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37-46
    • /
    • 2012
  • 내현적 주의와 재정향이 탐지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반응촉진과 회귀억제를 통해 탐색하였다. Posner와 Cohen(1980)의 고전적인 탐지패러다임에서는 단서를 제시하고 일정한 자극제시시차 후 그 단서와 같거나 또는 다른 위치에 나타나는 표적에 대한 탐지수행을 관찰한다.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주의를 유발하기 위해 단서가 표적에 대해 예측력을 가지도록 조작하였고, 단서자극과 표적 사이에 새로운 단서(재정향단서)를 삽입하여 재정향을 유도하였다. 실험 1에서는 재정향단서가 제시되는 시기를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정향이 제시되는 시기별로 자극제시시차(150ms, 400ms, 850ms)에 따라 다른 양상의 반응촉진 및 회귀억제가 발생하였으나, 해석 가능한 일정 패턴을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하지만 재정향이 초기에 발생한 실험조건을 재분석한 결과, 반응촉진과 회귀억제가 자극제시시차에 따라 교차하여 나타나는 단순탐지과제의 전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재정향이 초기에 발생하는 조건에 대한 추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자극제시시차가 짧을 때는 반응촉진이 발생하였으며 자극제시시차가 길때는 회귀억제가 발생하였다. 이 결과는 단서자극이 표적에 대한 예측력을 가질 때 자극제시시차가 긴 조건에서 회귀억제가 사라진다는 기존의 보고(Wright & Richard, 2000)와 반대되는 결과이다. 이 결과는 최초 단서가 제시된 후 회귀억제의 효과가 소멸되기 전에 매우 빠르게 제시되는 재정향단서는 이중 회귀억제를 가져온다는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내현적 주의에 의해 특정한 위치에 주의를 할당할 때에도 반복적으로 빠르게 제시되는 단서자극은 회귀억제를 극대화함으로써 내현적 주의를 상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이중언어의 어휘접근과 범주 특수적 의미체계 (Lexical Access in the Bilinguals and the Category-specific Semantic System)

  • 이승복;정효선;조성우
    • 인지과학
    • /
    • 제21권4호
    • /
    • pp.505-534
    • /
    • 2010
  • 한국어-영어 후기 이중언어자에서 두 언어에 따른 의미체계에 대한 어휘접근 방식을 비교해보고자, 단어-그림 일치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자연물과 인공물에 속하는 두 가지 범주에 속하는 기본수준 범주의 단어 제시 후, 해당 그림을 제시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도록 하였다. 단어-그림의 제시간격(SOA)을 실험 1에서는 650ms로 하였고, 실험 2에서는 200ms로 설정하여 과제수행에서의 번역효과를 통제하였다. 실험 1, 2 모두에서 한국어가 제시되었을 때가 영어로 제시되었을 때 보다 반응시간이 빨랐다. 또한 두 언어에 따라 반응시간 양상에 차이가 났는데, L1(한국어)에서는 자연물에서, L2(영어)에서는 인공물에서 하위범주 간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를 공유된 의미체계에 대한 어휘접근 방식의 차이로 논의하였다.

  • PDF

수반자극과제에서 정서가 초점주의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motion on Focused Attention in a Flanker Task)

  • 박태진;박선희
    • 인지과학
    • /
    • 제22권4호
    • /
    • pp.385-404
    • /
    • 2011
  • 정서가 초점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배경자극으로 제시된 그림자극의 정서가가 수반자극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반자극이 표적자극과 상이한 경우와 동일한 경우의 반응속도 차이(부합성효과)는 수반자극 처리에 의한 간섭, 즉 표적자극에 대한 초점주의의 실패를 의미하는데, 부합성효과에 미치는 배경 그림자극의 정서가(긍정, 중립, 부정) 효과를 분석하였다(실험 1). 그 결과, 부합성효과의 크기는 표적자극과 수반자극간 거리(시각 0.5도, 1도, 1.5도)뿐만 아니라 배경 그림자극의 정서가의 영향을 함께 받았는데, 중립과 긍정 그림 배경에서는 거리가 멀수록 부합성효과가 감소한 반면(거리효과), 부정 그림 배경에서는 거리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배경 그림자극과 표적/수반자극 간 SOA(100ms, 2800ms)와 거리(시각 0.5도, 1.5도)를 변화시켜 부합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정서가에 따른 거리효과가 SOA에 따라 상이하였다(실험 2). SOA가 긴 경우, 중립과 긍정 그림 배경에서는 거리효과가 관찰되었으나, 부정 그림 배경에서는 거리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부합성효과가 모든 정서가에서 먼 거리와는 달리 가까운 거리에서만 유의미했다. 반면, SOA가 짧은 경우에는 모든 정서가에서 거리효과가 관찰되었으며, 부합성효과가 중립과 긍정 그림 배경에서는 두 거리조건 모두에서 유의미했지만 부정 그림 배경에서는 먼 거리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전반적으로 부정정서에 의한 시각적 주의범위의 축소와 긍정정서에 의한 주의범위의 확산을 시사하는데, 특히 후자가 전자에 비해 더 일시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