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oid.

검색결과 1,647건 처리시간 0.024초

BCD를 섭취한 돼지의 부위별 콜레스테롤 함량 (Cholesterol Contents of Pork Fed Dietary β-Cyclodextrin)

  • 강환구;박병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0-185
    • /
    • 2007
  • 본 연구는 비육말기 돼지에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의 급여가 돈육의 콜레스테롤 수준을 낮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120마리의 돼지에게 0, 5, 7, 10%의 $\beta$-cyclodextrin를 함유하는 사료를 35일 간 급여하였다. 혈액 총지질,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beta$-cyclodextrin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낮게 나타났으며 처리구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혈액 100 mL 당 지질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beta$-cyclodextrin 5.0%, $\beta$-cyclodextrin 7.0% 및 $\beta$-cyclodextrin 10.0% 첨가구에서 각각 63.22 mg, 73.98 mg, 82.12 mg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며, 중성지방 56.24 mg, 55.48 mg, 60.02 mg, 총콜레스테롤 25.05 mg, 27.17 mg, 30.19 mg의 유의성 있는 감소경향을 보였다(p<0.05). 총스테로이드의 배설은 $\beta$-cyclodextrin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돼지고기의 부위별, 등지방, 삼겹살, 등심 및 햄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서 $\beta$-cyclodextrin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인 감소경향을 나타냈다(p<0.05). 돼지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율은 $\beta$-cyclodextrin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교할 때 15.31% 이상의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p<0.05). 본 연구 결과는 비육말기 돼지사료 내 $\beta$-cyclodextrin를 혼합 급여하여서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아진 새로운 기능성 돈육을 생산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아연피리치온을 유효성분으로 표기한 화장품류에서 미표기 성분인 베타메타손 유도체의 검출 (Detection of Undeclared Betamethasone Derivatives in Cosmetic Products Labeled to Contain Zinc Pyrithione as the Active Ingredient)

  • 이정표;박성환;양성준;김선미;손경훈;윤미옥;최상숙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17
    • /
    • 2009
  • 스테로이드 함유 표시가 없는 화장품에서 항염증 효과가 있는 글루코코티코스테로이드인 베타메타손프로피오네이트 성분이 검출되었다. 이 화장품은 외용스프레이 및 샴푸로서 주성분으로 아연피리치온을 함유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었다. 화장품에서 스테로이드 구조와 활성을 갖는 물질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리카겔 박층판을 이용한 박층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였으며 이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확인 및 정량을 수행하였다. 분취용 HPLC를 이용하여 스테로이드를 함유한 것으로 판단되는 분획을 모은 다음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및 mass spectrometry (MS)를 이용하여 스테로이드 성분을 확인하였다. 스테로이드 표준물질로 베타메타손 17-프로피오네이트 및 베타메타손 21-프로피오네이트를 합성하여 사용하였고 이 표준물질과 HPLC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하여 스테로이드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 방법으로 아연피리치온 제제와 같은 일부 시판 화장품에서 스테로이드 성분을 확인하였고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 HPLC) 상의 유지시간 비교를 통하여 스테로이드 성분을 정량한 결과 시험한 총 8종의 화장품 시료 중 2개 제품에서 0.005 ${\sim}$ 0.02%의 베타메타손프로피오네이트가 검출되었다.

구강내 발생한 다발성 정맥기형 병소에의 Ethanolamine Oleate 경화제 주사 후 치험례 (Sclerotherapy of Multiple Intraoral Venous Malformations with Use of Ethanolamine Oleate: A Case Report)

  • 김태광;양재영;최석태;전희경;임대호;백진아;신효근;고승오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88-493
    • /
    • 2012
  • Hemangioma and vascular malformation are the most common benign tumors that are caused by congenitally or traumatic events. Theses tumors represent approximately 1/3~1/4 of all hemangiomas and vascular malformations in the head and neck. There are many forms of treatment for hemangioma and vascular malformation including closed observation, surgery, radiotherapy, laser therapy, steroid therapy, compression, embolization, and sclerotherapy. Ethanolamine oleate is an unsaturated fatty acid salt that has been used as a sclerosing agent because of its excellent thrombosing properties. This paper presents 1 case of intraoral multiple venous malformations treatment with 1.25% ethanolamine oleate (3.6~9.6 mg dose) intralesionally injected for 6 to 14 weeks over 2 week intervals. After the sclerotherapy, lesions almost completely disappeared without side effects. In conclusion, sclerotherapy using ethanolamine oleate is very effective against venous malformations, and sufficiently provides alternative support for surgical and other methods.

구강 작열감 증후군에서 클로나제팜의 국소적 적용 (Topical Application of Clonazepam to Burning Mouth Syndrome)

  • 심영주;최종훈;안형준;권정승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4호
    • /
    • pp.429-433
    • /
    • 2009
  • 구강 작열감 증후군은 혀나 구강점막에 객관적인 이상징후(abnormal sign)를 보이지 않으면서 혀 및 구강점막의 지속적인 통증을 보이는 만성 질환이다. 연관된 것으로 추정되는 요인이 다양하고 환자마다 통증 양상이 다소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적절한 진단 및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혀나 구강점막의 작열감은 알러지, 캔디다감염, 부기능습관, 타액선 기능저하 등과 같은 국소요인과 당뇨병, 갑상선기능저하증, 영양결핍 등과 같은 전신적 요인, 그리고 우울증, 걱정, 암공포증 등과 같은 심인성 요인과 연관되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임상가들은 작열감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들에 대하여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혈액검사 등의 관련 검사를 통한 적절한 평가를 정확하고 세심하게 시행하여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구강 작열감 증후군의 치료에는 약물요법, 인지행동요법, 심리치료 등 다양한 치료들이 시도되어지고 있다. 현재 구강작열감 증후군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약물에는 클로나제팜(clonazepam), 가바펜틴(gabapentin), 삼환성항우울제(amitriptyline), 알파리포산(alpha-lipoic acid), 캡사이신(capsaicin)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 중 클로나제팜을 국소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전신 투여하는 다른 약물에 비해 부작용이 적으면서 효과도 상당히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구강 작열감 증후군 환자에게 클로나제팜을 국소적으로 적용한 증례를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굴곡성기관지경으로 진단된 기관지결핵에 대한 고찰 (Flexible Bronchoscopic Observation on Endobronchial Tuberculosis)

  • 최재성;이영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161-166
    • /
    • 1985
  • 기관지결핵은 폐결핵 환자의 상당수에서 관찰되며, 폐침윤이 없는 경우에도 기관지폐쇄로 인한 무기폐, 임파선 종대로 인한 종괴의 형성으로 타폐질환과 감별을 요하게 된다. 저자들은 1983년 5월부터 1985년 7월까지 영남대학병원에서 굴곡성 기관지경을 사용하여 기관지결핵으로 진단하였던 25예를 대상으로 그 임상상을 관찰 조사 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1) 25명의 기관지결핵 환자 모두 항결핵제 투약을 받았으며, 이중 호흡곤란이 심하거나 주 기도내에 광범위한 육아종 병변이 있었던 6명에서는, corticosteroid의 투여로 호전을 보였다. 2) 기관지결핵의 진단에 굴곡성 기관지경을 통한 조식검사나 항산균의 도말 및 배양검사가 필수적이다.

  • PDF

북방산 개구리(Rana dybowskii)의포의 프로젝트론 생서에 대한 cAMP의 조절작용 (Role of cAMP in the Regulation of Progesterone Production and Secretion by Frog (Rana dybowskii) Follicles in vitro)

  • 권혁방;안연섭;김지열;윤용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7-184
    • /
    • 1988
  • 북방산개구리의 여포를 인공배양하면서 여포의 progesterone(p$_4$) 의 생성양상과 cAMP의 조절작용을 조사하여 보았다. 배양중인 여포에 뇌하수체 추출물(frog pituitary homogenate,FPH)을 처리하였을 때 배양 한시간 부터 여포내 p$_4$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생성된 p$_4$의 최대양이나(약 60-300pg/follicle),peak를 이루는 시간이(2시간 이후)개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FPH의 처리를 받지않은 대조군에서는 배양기간에 관계없이 여포내에서 대략 10pg/follicle정도의 p$_4$가 측정되었으나 예외인 개체도 있었다. 배양액내로 분비된 p$_4$의 양은 여포내에 생성된p$_4$양의 약 60%정도 이었다. 배양액에 adenlate cyclass의 촉진제인 forskolin이나phosphodiesterase의 저해제인 3-isoburyl-1- methylxanthine(IBMX)을 동시에 혹은 따로 처리하면 p$_4$의 생성과 분비가 역시 증가하며 모든 양상이 FPH의 자극에 의한 것과 거의 같았다. 따라서 개구리여포의 스테로이드생성은 cAMP를 통하여 조절된다는 것과 여포세포내에는 cAMP의 생성과 분해에 관계하는 효소들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 PDF

Lidocaine과 dexamethasone 혼합용액의 근육내 주사 후 조직학적 변화 (Microstructural Changes after Intramuscular Injection of Lidocaine and Dexamethasone)

  • 장성민;이경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1호
    • /
    • pp.25-34
    • /
    • 2005
  • 측두하악장애 및 구강안면통증 환자들 중 근막통증에 의한 기능제한이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근막통증환자를 치료할 때 여러 가지 물리치료가 유용하지만, 즉각적인 통증완화효과를 나타내는 발통점주사요법이 근막통증의 치료로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발통점주사요법에 흔히 사용하는 화학약제로 생리식염수, 국소마취제, 스테로이드 등이 있으며, 국소마취제는 근육에 대한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어 사용상 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상품화된 lidocaine과, dexamethasone 주사제의 혼합용액을 근육내 주사한 후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근육에 대한 위해성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용액의 농도에 따라 각각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위해성이 없는 적정한 농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생후 9주된 BALB/c 생쥐 (자성) 63마리를 7군으로 분류하여, 앞정강근 (전경골근, tibialis cranialis) 에 각각 생리식염수, dexamethasone, 2.0% lidocaine, 생리식염수와 혼합한 1.0% lidocaine, 생리식염수와 혼합한 1.5% lidocaine, dexamethasone과 혼합한 1.0% lidocaine, dexamethasone과 혼합한 1.5% lidocaine을 주사하였다. 그 후 1일, 7일, 14일째에 희생시켜 실험부위를 절취한 후 조직절편을 만들어 HE염색과 Van-Gieson염색을 거쳐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Lidocaine과 dexamethasone의 혼합용액을 근육내 주사하였을 때, lidocaine의 농도가 1.5% 이하인 경우 조직학적으로 유해하지 않았으며, 통증완화효과와 항염증작용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상기 혼합용액을 발통점주사요법의 약제로 사용할 경우, 인체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올 것인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구강편평태선에 대한 sulfasalzine의 국소적용 (A New Treatment Modality Using Topical Sulfasalazine for Oral Lichen Planus)

  • 정성희;박수현;옥수민;허준영;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3호
    • /
    • pp.155-159
    • /
    • 2012
  • 구강편평태선은 면역매개성 반응으로 유발되는 만성염증질환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를 이용한 국소적 또는 전신적 치료를 시행하고 있으나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이 없는 환자의 경우에는 치료가 힘들다. Sulfasalzine은 염증성 장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로 선택되고 있고 류마티스성 관절염에서도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염증성 장질환과 구강편평태선에서 발병기전을 살펴보면 공통적인 부분이 많이 발견된다. 전신적으로 투여시 나타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접근의 편이성을 위하여 Sulfasalzine을 구강편평태선에 국소 도포의 형태로 시도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으로 치료한 2 치험례를 소개하였다. 첫번째 증례에서는 8주간의 도포(30mg/5ml, 하루3번) 후 증상이 완화되었으며, 두번째 증례에서는 15주간의 도포 후 증상이 완화되었다. 두 증례 모두 스테로이드에 치료반응이 없었던 환자였으며 sulfasalazine 도포 후 현재까지 증상이 완화된 상태로 지내고 있다. 따라서 Sulfasalazine은 구강편평태선환자에서 치료약물로 선택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원발성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1예 (A Case of Idiopathic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 이철환;고윤석;김우성;공경엽;송군식;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6호
    • /
    • pp.536-541
    • /
    • 1992
  • 본 증례에서와 같이 BOOP는 임상상 및 조직소견에서의 특징과 좋은 예후를 갖는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한 아형이며 원발성 폐섬유화증과는 달리 부신피질스테로이드에 의해 완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질환에 대한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부신피질스테로이드를 사용한후 1개월후부터 임상적으로 뚜렷한 호전을 보였으며, 2개월후부터는 흉부 X선 및 폐기능검사상 현저한 호전을 보였으며, 치료 3개월 후 부터는 prednisolne 요량 감소를 시작하였다. 경과도중 증상의 재발없이 일시적으로 흉부 X선상 새로운 병소가 나타났으나 용량을 증가시켜 곧 소실되었다. 치료 1년뒤 Prednisolone 중단 후에도 재발없이 안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