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ility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9초

레토르트 처리한 김치찌개 제품의 최적 살균조건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um Sterilization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Retorted Kimchi Soup)

  • 천희순;박은지;조원일;황금택;정명수;최준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254-261
    • /
    • 2014
  • 레토르트 김치찌개의 최적 가열 살균 조건 설정을 위해 정치식 및 회전식 레토르트 방식을 이용하여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고찰 결과 가열 특성은 레토르트 살균 방식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아 회전식에서는 $120.7^{\circ}C$, 13분, 정치식에서는 $120.7^{\circ}C$, 20분의 가열 살균이 최적 공정 조건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레토르트 방식에서 김치찌개 파우치 내 냉점의 $F_0$ 값은 동일한 결과를 보여 회전식이 정치식 보다 승온이 더 빠르며, 또한 빠른 온도 상승으로 시료 위치별 온도 편차도 적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전열 특성으로 냉점에서 동일 $F_0$ 값 도달에 있어 회전식 레토르트 방식이 정치식에 비해 가열 살균시간이 35~45%의 단축되는 큰 장점이 있어 전반맛, 향, 색상과 조직감이 유의차 (p<0.05) 있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장점으로 육, 해물, 야채 등의 고형물이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메뉴의 레토르트 파우치 식품의 관능품질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세포질적 유전자적 웅성불임을 이용한 벼 일대잡종 육성연구 II. 수도 IR36ms의 웅성불임 유전자 이전에 의한 한국 수도품종의 웅성불임 계통 육성 (Studies on Breeding of $F_1$ Hybrid Rice Using the Korean Cytoplasmic and Genetic Male Sterile Rice II. Breeding of Genetic Male Sterile Rices Having Backgrounds of Korean Cultivars by Transferring the Male Sterility Gene of IR36ms)

  • 서학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4-77
    • /
    • 1986
  • 단순열성 유전자에 의한 GMS민 IR36ms에 가야벼, 남풍벼, 신광벼 및 수원 296 등 4개 한국 수도품종을 각각 4회 연속 Bulk로 교잡시킨 BC$_3$F$_2$에서 웅성불임 개체를 얻어서 여기에 각 반복친을 1회 더 Backcross시킨 BC$_4$F$_2$세대에서 웅성불임 개체들을 선별하였다. 여기에 각 반복친을 교잡시켜 4품종의 Msms 유전자형을 얻고 이를 다시 BC$_4$F$_2$에서 선발한 웅성불임 개체(msms)에 교잡시키므로서 가야벼ms, 남풍벼ms, 신광벼ms 및 수원 296ms를 육성하였다. 이들 4개 웅성불임 계통들의 주당수수, 수당영화수, 출수기 및 수장은 모품종과 차이가 있었으나 웅성불임 계통들의 간장은 모품종에 비하여 단축되었다. 동일한 웅성불임 유전자를 가진 GMS 계통도 반복친에 따라 자연교잡 정도의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가야벼ms는 11.5%, 남풍벼 ms는 13.1%, 신광벼ms는 1.9% 그리고 수원 296ms는 12.7%의 자연교잡율을 나타내었다. 화분친으로부터 15~90cm 거리 내에서는 가야벼 mS 및 남풍벼ms의 자연교잡율의 거리에 따른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맥류(麥類) 불임발생(不稔發生)의 환경요인(環境要因)에 관한 연구 - 입지조건(立地條件) 및 토양수분(土壤水分)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barley and wheat sterilization - In preference to term of location and soil moisture -)

  • 박경배;정연태;노영팔;박래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5-34
    • /
    • 1979
  • '77/'78맥작기간 영남지방(嶺南地方)에서 발생(發生)한 맥류불임현상의 원인(原因)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이것과 관련(關聯)되는 몇가지 환경요인(環境要因)을 조사(調査)해 본 결과(結果). 1. 기상상태(氣象狀態)는 특(特)히 보리의 주요생육시기(主要生育時期)에 해당(該當)되는 감수분열기(減數分裂期) 및 출수기경(出穗期頃)에 심(甚)한 조발(早魃)과 저온(低溫)이 내습(來襲)하였다. 2.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은 전작(田作)보다 답리작(畓裏作)에서, 표토(表土)보다 심토(深土)에서 많았으며, 사토(砂土)보다는 식토(埴土)가 많았고, 남향(南向)보다 북향(北向)으로 된 경사지(傾斜地)에서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3. 입지조건(立地條件)에 따른 보리이삭의 불임율(不稔率)은 답리(畓裏)이 전작(田作)보다 낮았고, 비상지(扉狀地) 및 평탄지(平坦地)는 구릉지(丘陵地), 산록경사지(山麓傾斜地)보다 낮았고, 남향(南向)보다 북향(北向)으로 된 경사지(傾斜地)가 낮은 편(便)이었다. 4. 경지(耕地)의 토성별(土性別) 불임율(不稔率)은 사토(砂土)에서 높았고, 식토(埴土)에서 낮았으며 작토호(作土戶) 및 유효토심이 얕을수록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5. 답리작(畓裏作), 전작(田作) 다같이 표토(表土) 및 심토(深土)의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과 보리이삭의 불임율(不稔率)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認定)되었다. 6. 따라서 맥수 생식생장기간(生殖生長期間)의 주요시기(主要時期)에 수분부족(水分不足)은 수(穗)의 불임발생(不稔發生)의 주요원인(主要原因)으로 인정(認定)되었고, 이와함께 극심(極甚)한 저온(低溫)은 불임발생(不稔發生)을 더욱 조장(助長)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2003년 남서부산간고냉지 벼 저온피해 실태분석 (A Survey on Low Temperature Injury of Rice at South-Western Alpine Area of Korea in 2003)

  • 박홍규;최원영;백남현;남정권;김기영;김상수;김정곤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25-131
    • /
    • 2006
  • 이상기후에 의한 재해환경 대응 및 대책자료로 활용하고자 2003년 남부 산간고냉지를 중심으로 발생한 저온 피해에 대한 원인과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부산간고냉지(운봉)의 생식생장기 평균기온은 $19.7^{\circ}C$로 평년대비 $3.1^{\circ}C$낮았고, 일조시간은 79시간으로 평년대비 49% 수준으로 경과되었으며, 냉해가 발생한 시기는 유수형성기인 6월 하순부터 감수분열기인 7월 중순까지로 이 시기의 기온이 $17^{\circ}C$이하의 저온으로 경과하여 장해영 냉해가 발생하였다. 지역별 저온 피해면적은 남원 2,723ha 순창 510ha, 진안 300ha, 장수 210ha이었으며, 이들 지역의 평균 불임율은 44%이었다. 이앙시기에 따른 불임율은 5월 20일경에 적기 이앙재배를 한 경우 $16%{\sim}58%$로, 4월 하순에 조기이앙재배시의 $29%{\sim}83%$에 비해 낮았으며, 오대벼, 운봉벼 진부벼 등의 품종이 저온피해 정도가 적었다. 따라서 냉해가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기상조사 및 분석에 의한 벼 재배 작기를 고려하고, 가급적 지나친 조기 이앙을 지양하며, 내냉성이 강한 품종을 재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웅성불임성을 이용한 수도잡종품종개발 II. 중공의 세포형질 유전적 웅성불임계통에 대한 몇가지 한국품종의 반응 (Development of Hybrid Rice Facilitated by Cytoplasmic Genetic Male Sterility II. Responses of Korean Cultivars to the Chinese Cytoplasmic Genetic Male Sterile lines)

  • 허문회;김홍열;조윤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7-231
    • /
    • 1984
  • 중공의 CGMS (cytoplasmic-genetic male sterility)를 한국품종으로 이전하여 그들을 MS유지계통으로 쓸 경우 이들이 임성회복친과 교잡되어 발현될 것으로 기대되는 수중의 잡종강 세정도를 중공의 CGMS계통 및 그 유지계통들과의 잡종과 대비하여 조사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수량의 잡종강세는 heterosis(F$_1$/MP)로 표현하여 113~221.1% 전체평균 150.5%이었고 hetero-beltiosis(F$_1$/better p)로 표현하여 86.1~179.8%전체평균 125.3%이였다. 품종군별로는 중공계통들이 가장 높았는데 유지계통들은 MS계통들보다 높았다. 다음으로 높은 것은 임성회복친들이었고 한국품종으로 유지계통들은 가장 낮은 잡종강세를 보였다. 2. 수량구성요소별로 잡종강세를 heterobeltiosis로 표현해 보면 수수는 전체평균 92.7%로 감소되었고 수당입수는 120.0%로 증가했으며 임실율은 103.0%로 유의할만한 변화가 없었고 천립중은 112%로 증가하였다. 증수에 크게 기여한 수당입수와 천립중의 heterobeltiosis를 품종군별로 보면 수량의 그것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3. 수량구성요소가 수량에 기여한 정도를 임성회복친별 교배조합군별로 검토하기 위하여 경노계수를 계산하였더니 밀양46, 수원294 및 수원287 조합 모두에서 다같이 수당입수가 0.8073~0..8649로 가장 컸고 다음은 천립중으로 0.2000~0.5032이었다. 4. 품종군별 잡종조합의 수량을 교배조합능력이라고 간주하고 이것을 전체평균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여 비교했는데 임성회복친 중 밀양46과 수원294는 일반조합능력은 비슷하나 특수조합능력은 차가 있고 S. 287은 일반조합능력이 떨어진다. 유지계통별로는 중공의 유지계통이 가장 높았고 한국유지계통이 가장 낮았다. 중공의 CGMS를 한국품종으로 이전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 PDF

전리방사선을 이용한 의료제품 멸균연구 (Radiosterilization of Medical Products)

  • 민봉희;천기정;이강순
    • 미생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81-188
    • /
    • 1973
  • For the bulk sterilization, there are two traditional methods of autoclaving and exposure to ethylene oxide. However, autoclaving involves high temperatures and pressures and ethylene oxide is chemically highly reactive, so these methods are radiation, we have carried out sterility and safety tests on some medical products irradiated at varying radiation level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minimum dose of radiation for the sterilization of medical products was 2.5 Mrad. 2) The radiosterilization dose varied depending on the initial population of microorganisms. 3) In transfusion sets, a level of radiation of 2.5Mrad at room temperature produced no pyrogen and they remained bacteriologically sterile.

  • PDF

불임진단 보조용 컴퓨터비전시스템 (A Sterility Diagnosis Assising Computer Vision System)

  • 공용해;이범석;정종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96-299
    • /
    • 2000
  • 본 연구는 컴퓨터 비전 시스템을 위한 라이브러리를 설계 및 구현하고, 이를 적용하여 적정량의 정액 내에 분포되어 있는 정자의 수를 측정하는 불임진단보조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육안으로 검사하던 수작업을 자동화하여 의사의 주관적 진단에 신뢰도 , 높은 수치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범용 주변 장비와 윈도우즈 환경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성, 확장성, 호환성을 가질 뿐만아니라 윈도우즈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을 병원에서 제공된 영상으로 테스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