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eotype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8초

언론보도에 따른 소비자의 이동통신비 인식에 대한 연구 (How Does Media Reports Affect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Telecommunication Expense?)

  • 박용완;손수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87-97
    • /
    • 2017
  • 본 연구는 언론보도에 따라 소비자들의 이동통신비에 대한 인식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실험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무작위로 선발된 대상자를 4개의 집단(통제집단, 고비용 언론보도 노출 집단, 저비용 언론보도 노출 집단, 동시 노출 집단)에 배정한 후 언론보도에 대한 신뢰성 및 중립성, 자신의 생각과의 일치정도, 이동통신비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저비용 언론보도보다 고비용 언론보도를 더 신뢰하고 중립적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공변량 분석으로 통해 언론보도와 자신의 생각과의 일치 정도를 제거할 경우, 분산분석에서 나타났던 신뢰성과 중립성의 차이는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은 언론보도와 무관하게 이동통신비가 비싸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동통신비가 비싸다는 기존의 인식이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계통신비 인하에 대한 사회적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비가 비싸다는 소비자들의 고정관념을 변화시켜야 할 것이며, 프레이밍을 활용한 향후 연구도 고려할 수 있다.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 강현숙;조결자;지은선;장미희;이경혜;최은영;송영아;장정미;이경재;김소영;유경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4-172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and further to examine possible ways to improve the attitudes, and to furnish guideline of curriculum and practice in rehabilitation nursing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Method: A descriptive, 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8 college students. A convenient sampling is us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4 types of previous questionnaires used to examine attitude from May 1 to May 30, 2003. Result: 1. The attitude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whose mean is 3.762 was responded somewhat negatively. Especially, a contact tension whose mean was 4.00 is high.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some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y were experience of contact with the disabled, concern toward the disabled, voluntary work related to the disabled, and disability experience education. 3. The more negative experie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lower stereotype of disability and the higher effects of parents, teachers, and mass media, then the more positive response of peoples attitude with disabilities. 4. The main factors of determining the attitud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the stereotype of disability, contact experience, concern about disability, voluntary work experienc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n appropriate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strategy is needed in order to change the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lso experimental researches are needed to do it.

  • PDF

장애인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SADP and ATDP-O)의 타당도 검증 (Validation of the Scale of Attitudes towards Disabled Person(SADP and ATDP-O) in Korea)

  • 신은경;이한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267-28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Antonak(1982)이 개발한 SADP and ATDP-O(Scale of Attitudes for Disabled Persons and Attitudes towards Disabled Persons Scale-Original)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국내에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무원, 의료인, 교사, 언론인,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로 구성된 표적집단과 일반집단으로 구분한 비장애인 500명을 표집하여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표적집단과 일반집단 간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 척도는 '염세주의-고정관념', '낙관주의-인권', '손상된 성격' 세 가지 차원의 15개 문항으로 정리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재구성한 척도의 적합성은 수용할만한 수준(good/reasonable fit)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척도의 Cronbach's ${\alpha}$ 값은 .8이 넘어 안정적인 신뢰도를 보였으며, DFS(Disability Factor Scale)와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표적집단이 일반집단보다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는 다양한 장애유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장애유형별 검증이 필요하며, 척도의 활용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임상적, 실천적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신념 분석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Mathematical Belief of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 김윤민;류현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3호
    • /
    • pp.691-709
    • /
    • 2016
  • 수학 예비교사의 신념을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설계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신념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문제해결에 대한 신념인 끈기 요인, 수학학습에 대한 신념인 교사주도 요인, 활동참여 요인, 자아개념에 대한 신념인 흥미 요인은 다른 수학적 신념요인들과 관련성이 많았다. 둘째, 수학교과에 대한 신념인 고정관념 요인이 교사주도 요인에 영향을 주고 있고, 수학문제해결에 대한 신념인 과정 요인이 활동참여 요인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학년별 수학적 신념 비교에서는 수학교과에 대한 신념인 고정관념, 유용성 요인과 자아개념에 대한 신념인 유익성 요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전공별 수학적 신념비교에서는 자아개념에 대한 신념인 유익성 요인과 자신감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수학적 신념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 예비교사가 지녀야 할 수학적 신념이 무엇인지를 정립하고, 예비교사교육과정, 교수 학습 방법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남성수용자, 여성교정공무원에 대한 성적 고정관념적 인식, 그리고 그 영향의 검증연구 (Male inmates, correctional officers, gender stereotypes and male inmates' stress)

  • 김은영
    • 시큐리티연구
    • /
    • 제45호
    • /
    • pp.37-63
    • /
    • 2015
  • 이 연구는 여성교정직원들에 대한 남자수용자들의 성고정관념적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남자수용자들의 성고정관념적 인식과 태도가 이들의 교정시설에서의 적응문제, 특히 스트레스의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전국의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는 남자 수형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수집된 219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서 연구 가설 4개를 세워 각 연구가설에 따른 분석의 수행결과, 남성수용자들의 여성교도관에 대한 성고정관념적 인식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남성수용자들의 수용생활 중의 스트레스의 수준에 여성교도관들에 대한 성고정관념적 인식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자수용자들의 전체 남녀교정직원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이들의 수용기간 동안의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자수용자들이 여성교정직원들을 여성으로 인식하기보다 전문적인 교정직원의 일원으로서 남녀의 구별없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정책적, 학문적 함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등이 결과와 논의에서 더욱 논의되었다.

  • PDF

남자 간호학생의 성고정관념, 전공만족도 및 셀프리더십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tereotype, Major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in male Nursing Students)

  • 김원종;김중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33-139
    • /
    • 2019
  • 본 연구는 남자 간호학생의 성고정관념, 전공만족도 및 셀프리더십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G도에 위치한 4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남자 간호학생이며,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 1일부터 12월 10일 까지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분석, ANOVA를 하였다. 본 연구결과 남자 간호학생의 성고정관념 평균은 $1.31{\pm}0.17$점, 전공만족도 평균은 $2.95{\pm}0.51$점, 셀프리더십은 $2.98{\pm}0.43$점으로 나타났으며, 성고정관념과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전공만족도는 학교와 전공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성적이 높으며, 자신의 적성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한 학생일수록 점수가 높았다. 셀프리더십은 나이와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았고, 취업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성고정관념이 남자 간호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주도적 삶에 영향을 주는 셀프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추후 남자 간호학생이 간호학 분야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effect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on self-esteem and gender role Stereotypes in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e use of Latent Growth Model-

  • Ju, Sun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89-19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bout the effects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on self-esteem and gender role stereotype during adolescence and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adolescents' gender role strerotyp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and condition variables. For this purpose, used the Second Grade longitudianl Panel data of Middle School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ay(KYPS). And the latent growth model was analyzed 3,449 men and women adolescents' cases of the first, the fourth and the sixth wave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dministered by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whether self-esteem mediates parental rearing behavior and male and female gender role Strero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 effect between variable factors showed that the more positive the parenting behavior of the second grader of middle school is, the more positive the self-esteem of male adolescents and the initial value of stereotypes of male gender role. It also affects the self-esteem of female adolescents and stereotypes of female gender role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le gender role stereotypes were decreased in influence by the rate of change of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self-esteem were statistically influenced to the male gender role stereotypes and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self-estee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stereotypes of female gender ro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and initial stereotype of male gender role, but there was no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stereotypes of female gender roles and there was no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The effect of condition variable gender was found that female adolescents are more affected by paretal rearing behavior than male adolescents and also affected by the growth process. The monthly income of households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of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showed a difference in parental rearing behavior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the higher the mother 's educational level, the more the self-esteem of male adolescents was affected.

성폭력 피해 주장 여성에 대한 인식: 주체성과 판단자 성별의 효과 (Perception of women who claim sexual assault: The effects of agency and perceivers' gender)

  • 정찬영;김현정;김태경;박상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3호
    • /
    • pp.167-19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피해 주장 여성이 주체적인 모습을 보일 때 피해 주장 여성에 더 부정적인 판단을, 가해 혐의 남성에게는 더 너그러운 판단을 하게 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 현상은 주체적인 피해 주장 여성이 피해자다움과 여성성에서 벗어났기 때문일 것으로 예상하여 이들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고, 더불어 남성 참가자들은 여성 참가자들보다 주체적인 피해 주장 여성을 덜 긍정적으로 볼 것으로 판단하여 참가자 성별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했다. 연구 결과, 가설과 달리 참가자들은 피해 주장 여성이 주체적으로 묘사된 경우 그 여성을 덜 비난하고, 더 긍정적이고 더 진실되어 보인다고 평가하였으며, 가해 혐의 남성에게 유죄와 형량을 더 주었다. 하지만 여성 참가자들보다 남성 참가자들이 주체적인 피해 주장 여성을 덜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예측한 참가자 성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한편 매개효과의 경우 지각된 진실성에서 가설과 일치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참가자들은 주체적인 피해 주장 여성이 더 피해자답지 않다고 보았고 그것이 더 낮은 지각된 진실성을 예측했다. 또한 피해 주장 여성이 주체적으로 행동하여 지각된 여성성이 낮다고 여겨질수록 남성 참가자들은 피해 주장 여성 비난을 더 하였고 여성 참가자들은 긍정적인 인상 평가를 더 하였다.

한국 성인의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에 따른 군집 유형별 강간통념수용도 (The Cluster of Adults' Gender Role Conflict, Ambivalent Sexism and Aggression and Their Differences in Acceptance of Rape Myths)

  • 조은혜;장진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1호
    • /
    • pp.1-22
    • /
    • 2022
  • 이 연구는 성인의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에 따른 군집 유형을 탐색하고, 군집 유형별로 강간통념수용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 및 경상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성인남녀 372명을 대상으로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 강간통념수용도를 설문조사하였고,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한 3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군집 1인 '비공격적 성고정관념 갈등형', 군집 2인 '적응적 성관념 수용형', 군집 3인 '공격적 성고정관념 순응형' 등 총 3개의 하위군집 유형이 형성되었다. 하위군집 유형별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각 하위군집별로 강간통념수용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검증한 결과, 군집 3인 '공격적 성고정관념 순응형' 의 강간통념수용도가 가장 높았고, 군집 1인 '비공격적 성고정관념 갈등형', 군집 2인 '적응적 성관념 수용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대상자가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 하위 유형인지를 평가하고, 각 유형별 특성에 초점화하여 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Children's Social Distance toward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윤인성;박선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91-202
    • /
    • 2016
  • 사회적 거리감(social distance)은 사회집단에 대한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취약층의 사회행동 연구에 유용하다. 일반 아동들이 보이는 사회적 거리감이 두드러질수록 다문화가정자녀들의 자신감과 사회적 유능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한 일반아동들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문화접촉경험, 긍정적 정서와 인지로 본 고정관념, 단일민족의 식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일반아동의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다문화접촉경험 중 높은 친밀도, 외국인 이웃의 인종(특히 백인과 흑인), 미디어와 다문화 교육을 받은 경우가 높은 수준의 사회적 거리감과 관련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고 인식할수록 사회적 거리감은 낮아졌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한 긍정적 정서, 긍정적 인지가 사회적 거리감을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고. 친밀도와 다문화 교육은 사회적 거리감을 오히려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가정자녀를 대하는 일반아동의 행동에 관한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