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luster of Adults' Gender Role Conflict, Ambivalent Sexism and Aggression and Their Differences in Acceptance of Rape Myths

한국 성인의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에 따른 군집 유형별 강간통념수용도

  • Cho, Eun Hye (Department of Psych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
  • Jang, Jin Yi (Department of Psych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 조은혜 (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 장진이 (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21.11.17
  • Accepted : 2022.01.28
  • Published : 2022.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atural groupings among adults based on gender role conflict, ambivalent sexism and aggression, and find differences in their acceptance of rape myths. 372 male and female adults in the Daegu and Gyeongsang province were surveyed and 350 were analyzed on their gender role conflict, ambivalent sexism, aggression and acceptance of rape myths. The cluster analysis divided participants into sub-groups such as 'unaggressive but conflicted about gender stereotypes', 'receptive to adaptive gender notions ' and 'compliant to aggressive gender stereotypes'. The sub-groups had differing levels of gender, age and educ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acceptance of rape myths among these groups, Post-hoc testing showed that the 'compliant to aggressive gender stereotype' sub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cceptance of rape myths, following by 'unaggressive but with gender stereotype conflicts' and 'receptive of adaptive gender notions'. Finally, needs for assess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subgroup types and developing psychoeducational programs focused on the subgroup characteristics were addressed. Then,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성인의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에 따른 군집 유형을 탐색하고, 군집 유형별로 강간통념수용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 및 경상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성인남녀 372명을 대상으로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 강간통념수용도를 설문조사하였고,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한 3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군집 1인 '비공격적 성고정관념 갈등형', 군집 2인 '적응적 성관념 수용형', 군집 3인 '공격적 성고정관념 순응형' 등 총 3개의 하위군집 유형이 형성되었다. 하위군집 유형별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각 하위군집별로 강간통념수용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검증한 결과, 군집 3인 '공격적 성고정관념 순응형' 의 강간통념수용도가 가장 높았고, 군집 1인 '비공격적 성고정관념 갈등형', 군집 2인 '적응적 성관념 수용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대상자가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 하위 유형인지를 평가하고, 각 유형별 특성에 초점화하여 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 (2021). 범죄통계. 2021, 5, 16 인출.
  2. 고재홍, 지영단 (2002). 청소년의 음란물 접촉과 잘못된 강간통념 수용간의 매개변인과 조정변인의 역할. 청소년상담연구, 10(1), 87-105.
  3. 곽호안,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2008). 실험심리학 용어사전. 시그마프레스.
  4. 권재기 (2011).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의 발달양상과 내면화,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 - 잠재계층 성장분석(LCGA), 다집단 성장혼합모형(GMM)을 이용한 종단연구. 한국아동복지학, 34, 95-126.
  5. 김기영, 전명식 (1991). 두 독립 모집단의 공분산 행렬에 대한 붓스트랩 추론. 한국통계학회 응용통계연구, 4(1), 1-11.
  6. 김나은, 박지선 (2021). 성별에 따른 자기애가 데이트 성폭력에 미치는 영향: 양가적 성차별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법, 12(3), 279-300. https://doi.org/10.53302/KFJP.2021.11.12.3.279
  7. 김명선, 하은혜, 오경자 (2014). 심리장애 진단아동의 K-CBCL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군집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4), 675-693.
  8. 김명소, 이은진 (2008). 한국 남성의 페미니즘성향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 및 페미니즘 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1), 1-18. https://doi.org/10.21074/KJLCAP.2012.13.1.1
  9. 김복태 (2001). 성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른 공감능력 및 성폭력 사건 지각의 차이. 사회과학연구, 27, 249-268.
  10. 김정인, 도경수, 이재호 (2003). 강간통념과 성역할 태도는 공격적 성행동을 예측하는가?.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3(1), 229-230.
  11. 김재은, 김지현 (2016). 성별에 따른 남성중심집단과 여성중심집단의 양가적 성차별주 의와 강간통념의 관계. 상담학연구, 17(1), 187-205.
  12. 김지현 (2008). 여성성역할갈등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여자대학생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9(4), 1-22. https://doi.org/10.15753/AJE.2008.9.4.001001
  13. 박경 (2008). 과잉 남성성과 성적 공격성간의 관계: 공감 및 강간통념의 중재 및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519-536.
  14. 박지선, 김정희 (2011).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경찰의 인식이 가해자 처벌 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피해자학회 피해자학연구, 19(2), 77-96.
  15. 박현주, 정대용 (2010). 불안정 애착과 심리적 고통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와 자존감의 매개효과: 성차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381-401. https://doi.org/10.18205/KPA.2010.15.3.004
  16. 서수균, 권석만 (2002).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87-501.
  17. 손강숙, 정소미 (2016). 여대생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데이트폭력허용도의 관계에서 성적 자기주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3), 441-457. https://doi.org/10.18205/KPA.2016.21.3.005
  18. 손건태 (1998). 기상 및 환경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적 기법.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34(3), 497-504.
  19. 신지연, 최수미 (2017). 거부민감성, 비대칭 패러다임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4), 533-549. https://doi.org/10.18205/KPA.2017.22.4.004
  20. 심정신, 이영숙, 오숙희 (2012).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폭력 인지도 및 성폭력 허용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 18(2), 117-125. https://doi.org/10.4069/kjwhn.2012.18.2.117
  21. 안상수, 김혜숙, 안미영 (2005). 한국형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K-ASI)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2), 39-66.
  22. 안상수, 백영주, 김인순, 김혜숙, 김진실 (2007). 한국형 다면성별의식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서울-?
  23. 오주령, 박지선 (2019).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 주의가 데이트 폭력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법, 10(1), 47-65. https://doi.org/10.53302/KJFP.2019.03.10.1.47
  24. 유주연, 안현의 (2020). 성인초기 남녀의 성차별 메타-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유형별 성역할갈등, 이성과의 거리감, 성차별 논쟁에 대한 지지도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4), 351-378. https://doi.org/10.20406/KJCS.2020.11.26.4.351
  25. 윤병해, 고재홍 (2006). 양가적 성차별태도에 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차이: 강간통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1), 1-19.
  26. 이건호, 강혜자 (2005). 강간통념수용도, 성역할 태도 및 음란물 접촉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3), 23-40.
  27. 이나영 (2018).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본 '미투운동'의 사회적 의미. 월간복지동향, 234, 5-12.
  28. 이나영 (2018). '미투 운동'을 대하는 언론의 자세. 방송기자, 41, 13-15.
  29. 이명신 (2014). 성희롱의 재정의: 남녀대학생의 강간통념, 성희롱 인식, 성적 괴롭힘 행동을 중심으로 경험적 재구성. 젠더와 문화, 7(1), 43-97.
  30. 이석재 (1999). 강간통념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13(2), 131-148.
  31. 이석재, 최상진 (2001). 강간통념수용도에 따른 성행동, 성폭력 및 성폭력사건 지각. 한국상담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15(1), 97-116.
  32. 이선경, 허용회, 박선웅 (2015). 성별과 나이에 따른 성폭력 인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29(1), 65-81. https://doi.org/10.21193/KJSPP.2015.29.1.004
  33. 이수연, 김인순, 김지현, 김진아 (2012). 한국형 남성 성역할 갈등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여성연구, 82(1), 5-33. https://doi.org/10.33949/TWS.2012..1.001
  34. 이정원, 안상수, 김혜숙 (2009). 적대적 성차별 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여성관련 정책 및 강간피해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 논문집, 2009(1), 208-209.
  35. 이진석, 김재엽, 황선익 (2018).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음란물 접촉,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공격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연구, 20(1), 187-210.
  36. 장미정, 조은경 (2004). 성폭력 피해자 조사시 2차 피해 유발 질문의 사용과 수사관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강간통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4(2), 129-137.
  37. 제연화, 심은정 (2015). 2/30대 남성의 성역할 갈등과 우울의 관계: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지각된 사회의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7(4), 931-952.
  38. 정찬영, 김현정, 김태경, 박상희 (2020). 성폭력 피해 주장 여성에 대한 인식: 주체성과 판단자 성별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3), 167-194. https://doi.org/10.20406/KJCS.2020.8.26.3.167
  39. 조은경, 박지선 (2020). 강간과 폭행 사건에서 피해자 비난의 차이: 양가적 성차별의식과 대인 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4(1), 45-66. https://doi.org/10.21193/kjspp.2020.34.1.003
  40. 채재희 (2014). 중년 미혼여성의 삶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결혼관을 중심으로. 통합치료연구, 6(2), 5-28.
  41. 최윤정 (2011). 대졸기혼직장 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다중역할 현실성에 따른 집단 분류와 일-가족 갈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2), 219-241.
  42. 최윤호, 정남운 (2020). 완벽주의 군집유형 분류: 높은 기준이 부여되는 원천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1), 523-545. https://doi.org/10.23844/KJCP.2020.02.32.1.523
  43. 최인철, 진정희 (2003).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성희롱 사건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 논문집, 2003(1), 409-410.
  44. 하정혜, 김지현 (2012). 한국 중년여성 성역할 갈등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13(6), 2987-3007. https://doi.org/10.15703/KJC.13.6.201212.2987
  45. 하정혜, 김지현 (2016). 중년여성 한부모의 성역할갈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023-1046.
  46. 홍기원, 김명소, 한영석 (2003). 성정체성, 자신의 성에 대한 만족, 그리고 집단자존심이 남녀펴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19-33.
  47. 홍연주, 이주영 (2019). 성적 자기애가 20대 남녀의 성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강간에 대한 왜곡된 신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4(4), 4853-504.
  48. 홍영은, 박지선 (2018). 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 대한 인식: 성별과 양가적 차별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2(3), 1-18. https://doi.org/10.21193/KJSPP.2018.32.3.001
  49. 홍주현 (2017).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계 (hierarchy)에 따른 매체가시성(media visibility)의 양과 질 네트워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8), 520-534. https://doi.org/10.5392/JKCA.2017.17.08.520
  50. Allport, G. W. (1954). The nature of prejudice. Cambridge: Addison-Wesley.
  51. Bartol, C. R., & Bartol, A. M. (2005). Criminal behavior: A psycho-social approach. New Jersey: Person Education.
  52. Begany, J. J., & Miburn, M. A. (2002). Psychological predictors of sexual harassment: Authoritarianism, hostile sexism, and rape myths. Psychology of Men & Masculinity, 3, 119-126 https://doi.org/10.1037/1524-9220.3.2.119
  53. Berk, L. E. (2009). Child Development. Boston: Person.
  54. Belknap, J. E. (2001). The invisible Woman: Gender, Crime, and Justice. Belmont, CA: Wadsworth Group.
  55. Bohner, G., Siebler, F., & Schmelcher, J. (2006). Social norms and the likelihood of raping: Perceived rape myth acceptance of others affects men's rape procliv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 26, 286-297.
  56. Burt, M. (1980). Cultural myths and support for ra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 217-230. https://doi.org/10.1037/0022-3514.38.2.217
  57. Buss, A. H., & Perry, M. (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452-459. https://doi.org/10.1037//0022-3514.63.3.452
  58. Brownmiller, S. (1975). Against our will. New York: Simon and Schuster.
  59. Check, J. V. P., Malamuth, N. M., Elias, B., & Barton, S. A. (1985). On hostile ground. Psychology Today, 56-61.
  60. David D., & Brannon, R. (1976). The male sex role: Our culture's blue print of manhood, and what it's done for us lately. In David, D. & Barnnon, R.(Eds), The forty-nine percent majority: The male sex role(pp. 1-45). Reading,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61. Efthim, P. W., Kenny, M. E., & Mahalik, J. R. (2001). Gender role stress in relation to shame, guilt, and externalizat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9, 430-438. https://doi.org/10.1002/j.1556-6676.2001.tb01990.x
  62. Eisler, R. M., & Skidmore, J. R. (1987). Masculine gender role stress: Scale development and component factors in the appraisal of stressful situation. Behavior modification, 11(2), 123-136. https://doi.org/10.1177/01454455870112001
  63. Field, H. S. (1987). Attitudes toward rape: A comparative analysis of police, rapists, crisis counselors, and citize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 156-179. https://doi.org/10.1037//0022-3514.36.2.156
  64. Greendlinger, B., & Byrne, D. (1987). Coercive sexual fantasies of college men as predictors of self-reported likelihood to rape and over sexual aggression. Journal of Sex Research, 23, 1-11. https://doi.org/10.1080/00224498709551337
  65. Groth, N. (1979). Men who rape. New York: Plenum.
  66. Glick, P., & Fiske, S. T. (1996). The ambivalent sexism inventory: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491-512 https://doi.org/10.1037//0022-3514.70.3.491
  67. Glick, P., & Fiske, S. T. (2001). An ambivalent sexism inventory: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s complementary justifications for gender inequality. American Psychologist, 56(2), 109-118. https://doi.org/10.1037/0003-066X.56.2.109
  68. Hair. J. F, & Black, W. C. (2000). Cluster analysis. In L. G. Grim & Yarnold P. R. (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pp. 147-20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ociation.
  69. Janoff-Bulman, R. (1979). Characterological versus behavioral self-blame: Inquiries into depression and ra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1798-1809. https://doi.org/10.1037/0022-3514.37.10.1798
  70. Jensen, I. W., & Gutek, B. A. (1982). Attributions and assignment of responsibility in sexual harassment. Journal of social Issues. 38(4), 121-136. https://doi.org/10.1111/j.1540-4560.1982.tb01914.x
  71. Kopper, B. A. (1996). Gender, gender identity, rape myth acceptance, and time of initial resistance on the perception of acquaintance rape blame and unavoidability. Sex Roles, 34, 81-93. https://doi.org/10.1007/BF01544797
  72. Koss, M. P., Leonard, K. E., Beezley, D. A., & Oros, C. J. (1981). Personality and attitudinal characteristics of sexually aggressive me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Los Angeles.
  73. Lambert, A. J., & Raichle, K. (2000). The role of political ideology in mediating judgments of blame in rape victims and their assailants: A test of the just world, personal responsibility and legitimization hypothesi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7), 853-863. https://doi.org/10.1177/0146167200269010
  74. Kray, L. J., Howland, L., Russell, A. G., & Jackman, L. M. (2017). The Effects of Implicit Gender Role Theories on Gender System Justification: Fixed Beliefs Strengthen Masculinity to Preserve the Status Quo.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2(1), 98-115. https://doi.org/10.1037/pspp0000124
  75. Lee, J. Y., & Lee, E. S. (2005). The explanatory models of dating violence and victimization with dating partners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Counseling Psychology, 17(2), 419-436.
  76. Lee, S. J., & Choi, S. J. (2001). Rape myths acceptance and violent sexual behaviors. Korean Social Personal Psychology, 15(1), 97-116.
  77. Lee, S. J. (1999). Development of a rape myths scale. Korean Social Personal Psychology, 12(2), 131-148.
  78. Williams, L. S. (1984). The Classic Rape: When Do Victims Report? Social Problems, 31(4), 459-467. https://doi.org/10.1525/sp.1984.31.4.03a00070
  79. David, L. (1991). Sexual aggression, masculinity, and fathers. Signs: Journal of Women in Culture and Society, 16(2), 238-262. https://doi.org/10.1086/494659
  80. O'Neil, J. M. (1982). Patterns of gender role conflict and strain: Sexism and fear of femininity in men's lives. Personal and Guidance Journal, 60, 203-210. https://doi.org/10.1002/j.2164-4918.1981.tb00282.x
  81. O'Neil, J. M., Helms, B. J., Gable, R. R., David, L., & Wrightsman, L. S. (1986). Gender-role conflict scale: College Men's Fear of Femininity. Sex Role, 14, 335-350. https://doi.org/10.1007/BF00287583
  82. Peggy, S. (1981). The Social-cultural context of rape: A cross cultural study. Journal of Social Issues, 37(4), 8-18. https://doi.org/10.1111/j.1540-4560.1981.tb02624.x
  83. Pleck, J. H. (1981). The myth of masculinity. MA: MIT press.
  84. Pleck, J. H. (1995). The gender role strain paradigm: An update. In R. F. Levent., & W. S. Pollack(Eds). A New Psychology of Men(pp. 11- 32). Basic Books/Hachette Book Group.
  85. Riegel, K. F. (1976). The dialectics of Huma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y, 31, 689-700. https://doi.org/10.1037/0003-066X.31.10.689
  86. Rudman, L. A., & Phelan, J. E. (2008). Backlash effects for disconfirming gender stereotypes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28, 61-79. https://doi.org/10.1016/j.riob.2008.04.003
  87. Snyder, E. R. (2008). The female to make rape myths scale: Initial scale development, Ph. D. Dissertation. Ball State University.
  88. Wheeler, J. G. (2003). The Abstinence Violation Effect in a sample of incarcerated sexual offenders: A reconsideration of the terms Lapse and Relapse.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B: The section B: The Sciences & Engineering, 63(8-B), 39-46
  89. White, J. W., & Kowalske, R. M. (1994). Deconstructing the myth of the nonaggressive woman: A feminist analysi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18(4), 487-508.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4.tb0104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