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9초

노치를 이용한 보강재의 부착력 증가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to Improve Bonding Strength with Notch in Strengthening Plate)

  • 한만엽;송병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논문집(II)
    • /
    • pp.647-652
    • /
    • 1998
  • Recently, many strengthening methods are developed and used to rehabilitate existing structure. One of the popualr methods is the strengthening with steel plate. But steel plate have a defect that is a debondig at the end of the steel plate due to stress concentra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an experimental study for improving bonding properties of a strengthening plate. The two normally reinforced beams and ten strengthened beams steel plate, which has various notches were tested.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notches of strengthening plate improve post-yield behavior significantly compared. It is proved that the notch in a strengthening plate increase of ulimate strength after the yield strength 9% more than ordinary strengthening method.

  • PDF

매입강판 용접열에 의한 고강도 콘크리트 접합부 구조성능 영향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Structural Behavior of Embed Plate into Concrete Subjected to Welding Heat Input)

  • 정경수;김기면;김도환;김진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569-578
    • /
    • 2013
  • 초고층 건축물의 RC 코아벽체 선행공법에서는 일반적으로 벽체와 철골보사이의 접합을 위해 강판을 벽체에 매입설치한다. 코어벽체에 설치한 매입강판에 철골보를 접합하기 위해서는 거셋플레이트(또는 단일판)을 사용하여 매입강판에 T-형으로 용접한다. 이에 용접입열에 의해서 매입강판은 열팽창과 용접변형이 발생하고 매입강판 주변 콘크리트 온도상승을 주어 구조적 안정성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입강판과 거셋플레이트 사이의 용접자세(수평 및 수직자세), 콘크리트 타설후 용접시점 및 매입강판의 연단거리에 따른 매입강판 배면온도를 계측 하였다. 또한, 비정상 온도해석을 통하여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매입강판에 스터드앵커 접합한 후, Push-out 실험을 통한 구조성능을 조사하였다. 전단실험 결과 매입강판 용접열영향에 대해서 용접에 따른 최대하중은 14~19% 이내로 감소하였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 용접시점에 따른 영향으로 타설 후 재령이 길수록 최대하중은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R/C 라멘교에 적용된 CFRP의 보강효과 (Strengthening Effect of CFRP on the R/C Rahmen Bridge)

  • 심종성;정영수;윤선원;김규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6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8-333
    • /
    • 1996
  • Concrete can be defective for several reasons, including an inadequate design, material selection of workmanship, failure to appreciate the hazards associated with prevailing enviromental conditions. Concrete can also deteriorate or be damaged in use. Thu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safety of existing concrete strucutres. On the basis of these reasons, they must be performed for repair or rehabilitation. Presently, strengthening methods of R/C structure used in Korea, are an enlargement of concrete member, strengthening with steel plate or CFRP on the R/C structure. It has been widely estabilished that strengthening effect of CFRP is superior to steel plate in terms of it's lighter unit weight and higher tensile strength. But there are no construction results of CFRP on the civil R/C structure in Korea. The strengthening design technique with CFRP, it's const겨ction, and it's strengthening effect for deteriorated R/C rahmen bridge is introduced in this paper.

  • PDF

강판 콘크리트 구조 접합부의 설계방식에 따른 검증실험 연구 (A Study on Verification Tests according to Connection Design Methods of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s)

  • 황경민;이경진;양현정;김원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원전 구조물 내 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강판 콘크리트 구조가 이질접합된 경우를 모사하기 위하여, 상하부 표면강판 간에 타이바를, 상하부 리브재 간에 타이형강을 구성한 보형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체의 면외 휨 거동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체의 연성거동을 검증하였으며, 타이바와 타이형강이 콘크리트 및 강판의 분리를 방지함으로써 접합부의 취성파괴를 막아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4 주철근으로 구성한 강판 콘크리트 구조 접합부에 대하여 두 가지 형태의 기계적 정착이음 방식에 따른 인장실험을 수행함으로써 본 방식의 설계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두 실험체 모두 주철근이 항복에 도달할 때까지 철근의 정착 및 연결 기능을 탄성한도 내에서 건전히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Buckling analysis of steel plates in composite structures with novel shape function

  • Qin, Ying;Luo, Ke-Rong;Yan, Xin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35권3호
    • /
    • pp.405-413
    • /
    • 2020
  • Current study on the buckling analysis of steel plate in composite structures normally focuses on applying finite element method to derive the buckling stress. However, it is time consuming, computationally complicated and tedious for general use in design by civil engineers. Therefore, in this study an analytical study is conducted to predict the buckling behavior of steel plates in composite structures. Hand calculation method was proposed based on energy principle. Novel buckling shapes with biquadratic functions along both loaded and unloaded direction were proposed to satisfy the boundary condition. Explicit solutions for predicting the critical local buckling stress of steel plate is obtained based on the Rayleigh-Ritz approach. The obtained results are compared with both experimental and numerical data. Good agreement has been achieved. Furthermore, the influences of key factors such as aspect ratio, width to thickness ratio, and elastic restraint stiffness on the local buckling performance are comprehensively discussed.

압축력을 받는 강판-콘크리트 구조의 해석적 고찰 (Analytical Studies on the Steel Plate-Concrete Structures under Compressive Load)

  • 최병정;한홍수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69-278
    • /
    • 2008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유한요소해석을 통해서 기존의 강판-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구조의 최대압축강도와 좌굴거동을 포함한 압축좌굴특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스터드 간격과 강판의 두께비를 변수로 하여 강판좌굴, 압축강도, 강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 시스템은 리브가 없는 강판-콘크리트 실험체와 리브가 있는 강판-콘크리트 실험체로 하였다. 유한요소 해석값과 이론식에 의한 이론값을 비교분석하여 해석값이 이론값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강판-콘크리트구조의 좌굴거동은 스터드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강성은 리브가 있는 실험체가 리브가 없는 실험체보다 크게 나타났다. 한편, 유한요소 해석값이 "제안식"에 의한 값보다 약 20%정도 더 크며 JEAG 4618값과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Static and Fatigue Behavior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Steel Plates

  • Oh, Byung-Hwan;Cho, Jae-Yeol;Cha, Soo-Won
    • KCI Concrete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51-60
    • /
    • 2002
  • Strengthening of existing concrete structures is a major concern in recent years as the number of degraded structures increas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static and fatigue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RC) beams strengthened with steel plates. To this end, a comprehensive test program has been set up and many series of strengthened beams have been tested. The major test variables include the plate thickness, adhesive thickness, and the shear-span to depth ratio. The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separation of plates is the dominant failure mechanism even for the full-span-length strengthened beams with steel plate. The theoretical ultimate load capacities for strengthened beams based on the full composite action of concrete beam and steel plate are found to be larger than the actual measured load capacities. The strengthened beams exhibit more dominant shear cracking as the shear-span to depth ratio decreases. The ultimate capacity of strengthened beams increases slightly with the increase of adhesive thickness, which may be caused by the late initiation of plate separation in the beams with thicker adhesive. A realistic concept of ductility for plate-strengthened beams is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seen that the strengthened beams show relatively low ductility compared with unstrengthened beams.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the strengthened beams exhibit much higher fatigue resistance than the unstrengthened beams. The increase of deflections of strengthened beam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oad cycles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unstrengthened beams. The present study provides very useful results for the realistic application of plate-strengthening method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PDF

진동시험을 통한 강판콘크리트(SC) 전단벽의 저응력수준에서의 구조 감쇠비 규명 (Structural Damping Ratio of Steel Plate Concrete(SC) Shear Wall at the Low Stress Level Identified by Vibration Test)

  • 조성국;소기환;김두기;한상묵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255-264
    • /
    • 2015
  • SC (steel plate concrete)구조는 새로운 구조형식으로서 SC구조물의 내진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감쇠비의 규명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적 방법을 통해 SC구조의 감쇠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SC 전단벽 시편을 제작하고, 대형 진동대를 이용하여 진동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서 계측한 가속도응답신호는 전달함수로 변환한 후 동적실험모드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물의 감쇠비는 입력운동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 연구의 실험에서 적용한 입력운동의 수준은 시편의 항복강도의 절반보다 낮은 수준으로서 여기서 분석된 구조감쇠비는 약 4%정도이다. 이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SC구조물의 운전기준지진에 대한 내진설계에는 4% 감쇠비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절곡된 단면을 갖는 얇은 판요소 콘크리트 충전 각형강관 기둥의 부착거동 (Bond Behavior of Thin-Walled Rectangular Profiled Steel Sheet Concrete Short Columns)

  • 윤현도;박완신;한병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233-241
    • /
    • 2005
  • 본 연구는 콘크리트로 충전한 절곡된 단면을 갖는 각형강관 기둥의 부착특성을 매입인발(Pull-out) 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시험체는 단면 $250{\times}250mm$의 강관 단면에 콘크리트를 충진한 PSSC기둥으로 표준형(P), 사다리꼴(I), 직사각형(II), 역사다리꼴(III)의 4가지 형태(Fig. 3)와, 부착길이에 대한 폭비 (L/D=2.0, 2.5, 3.0) 단면의 폭두깨비(d/t)으로 설정하여 총 13로 하였다. 실험결과 얇은 판요소 절곡된 강관과 콘크리트의 부착거동은 일반적인 부착거동과 유사하게 화학적 부착과 기계적 부착의 형태로 거동하였으며, 부착응력은 강판의 절곡형태가 (equation omitted)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equation omitted)타입 시험체의 경우에는 얇은 판요소를 갖는 단면임에도 불구하고 AIJ에서 제시하고 있는 $0.147N/mm^2$의 값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착응력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XFINAS 계면요소와 고체요소를 이용한 콘크리트-강재 합성구조물의 비선형 거동해석 (Nonlinear Analysis of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using XFINAS Interface and Solid Elements)

  • 김기두;수타스트라디트 송삭;박종화;박재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67-274
    • /
    • 2010
  • 합성구조는 전체가 동일한 재료 특성을 가지는 구조와는 달리 서로 다른 특성 즉 강재와 콘크리트의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 모델링 시 이러한 재료 특성을 반영하지 않으면 실제 거동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콘크리트와 강재 사이에 인터페이스 요소를 연결하여 강재와 콘크리트의 슬립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인터페이스 요소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방정식은 적합하지 않고 실제 부착 및 슬립을 고려한 비선형 구성 방정식을 사용하여야만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 계면요소를 이용하여 판형 강재 박스와 콘크리트의 접촉면을 묘사하였다. 그리고 강재 박스의 휨-좌굴 거동을 묘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8절점 적합 요소의 사용은 부적절하므로 판형 강재 박스는 보강 변형도(Enhanced Assumed Strain) 고체요소를 사용하여 휨거동을 묘사할 수 있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