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by power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3초

Zigbee-MQTT 기반 스마트 홈 환경에 적합한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tandby Power Cutoff System for Smart Home Environment Based on Zigbee-MQTT)

  • 장영환;양승수;박석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29-135
    • /
    • 2017
  • 최근 IoT 기술 발전에 따라 스마트 홈과 같은 부가서비스들이 증가하면서 내부에서 사용하는 기기들의 전력 소비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기들의 주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 발생하는 대기전력 사용량이 전력에너지의 약 11%로 나타나면서 대기전력 차단에 대한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플러그를 뽑아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의 참여도를 최소화하여 자동적으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 알고리즘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을 평가한 결과 기존 시스템보다 평균 약 5.89Wh의 대기전력 차단율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Transition Control of Standby and Operation Modes of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Inspection Robots

  • Liu, Han;Tan, Linlin;Huang, Xueliang;Czarkowski, Dariusz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9권3호
    • /
    • pp.691-701
    • /
    • 2019
  •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tact charging of inspection robots, a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inspection robots and a control strategy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Circuit models of a wireless power system with a compound compensation circuit and a three-phase Class-D resonant inverter are set up based on circuit theory. An output voltage control method based on the equal spread regulation of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adjacent phases and the parameter correction method in the primary compound compensation circuit are propose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key parameters varying with the secondary coil position are obtained to further investigate the adaptive location scheme during the access and exit processes of moving robots. Combining the output voltage control method and the adaptive location scheme, a transition control strategy for the standby and operation modes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s for inspection robots is put forward to realize the system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low standby power in the standby mode and the high receiving power in the operation mode. Finally, experiments are designed and conducted to verify the correctness of the theoretical research.

Zigbee-CoAP 기반 대기전력 절감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Zigbee-CoAP-based Standby Power Saving System)

  • 장영환;이상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616-622
    • /
    • 2020
  • 최근 IoT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전력 절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소형화되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전력 절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IoT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다양화와 개인 보급률의 증가로 인해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발생하는 대기전력에 대한 이슈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대기전력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콘센트를 뽑거나, 전원을 Off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기존 IP 기반이 아닌 Zigbee를 활용하기 때문에 인터넷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IoT 표준 프로토콜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Zigbee 기술에 IoT 표준 프로토콜인 CoAP을 적용한 대기전력 절감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기존 시스템과 평가 결과 평균 약 8.4Wh의 대기전력이 절감된 것을 확인하였다.

An Input-Powered High-Efficiency Interface Circuit with Zero Standby Power in Energy Harvesting Systems

  • Li, Yani;Zhu, Zhangming;Yang, Yintang;Zhang, Chaolin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5권4호
    • /
    • pp.1131-1138
    • /
    • 2015
  • This study presents an input-powered high-efficiency interface circuit for energy harvesting systems, and introduces a zero standby power desig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significantly while remov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This interface circuit is composed of two stages. The first stage voltage doubler uses a positive feedback control loop to improve considerably the conversion speed and efficiency, and boost the output voltage. The second stage active diode adopts a common-grid operational amplifier (op-amp) to remove the influence of offset voltage in the traditional comparator, which eliminates leakage current and broadens bandwidth with low power consumption. The system supplies itself with the harvested energy, which enables it to enter the zero standby mode near the zero crossing points of the input current. Thereafter, high system efficiency and stability are achieved, which saves power consumption. The validity and feasibility of this design is verified by the simulation results based on the 65 nm CMOS process. The minimum input voltage is down to 0.3 V, the maximum voltage efficiency is 99.6% with a DC output current of 75.6 μA, the maximum power efficiency is 98.2% with a DC output current of 40.4 μA, and the maximum output power is 60.48 μW. The power loss of the entire interface circuit is only 18.65 μW, among which, the op-amp consumes only 2.65 μW.

압연기 베어링 진동 신호의 카오스적 거동 가전제품에서 지능형 대기전력 차단회로 개발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Blocking Stand-by Power from Electronic Products)

  • 배영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631-633
    • /
    • 2000
  • Modern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like TV, VCR etc, offer users the convience of switching the equipment on and off via a remote control handset. When this type of equipments is switched off, it is said to be in standby mode. In this paper, We proposed that the method of the blocking standby power Son in industrial product including electronic and electronic appliauces. This method is perfectly blocking the standby power of electrical circuit.

  • PDF

철도시스템비상전원용 니켈수소(NiMH)전지 (Railway System Standby Power Nickel Metal Hydride Battery)

  • 김성용;박동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873-877
    • /
    • 2009
  • 본 연구는 독성물질을 함유한 납축전지와 니켈카드뮴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니켈금속수소전지를 이용하여 철도시스템 비상전원용으로 사용위해 80Ah 전지를 병렬로 연결하여 160Ah의 니켈금속수소전지 제작하였다. 160Ah 전지에 적합한 전극을 개발하기 위하여 3성분계의 전해질의 고율방전에 대해 평가하였다. 160Ah급 전지는 철도시스템 비상전원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험을 하여 평가를 하였다.

대기전력 및 소비전력 절감을 위한 고효율 모듈제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ndby Power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Control System for High-efficiency Module)

  • 이명환;박영택;정헌석;강이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334-339
    • /
    • 2012
  • A study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will occur in the atmosphere, which is essential to cut the power to prevent the waste of power by power measurement technology development and to develop the technology to do this operation is the main core of standby power to detect and block it and return the configured for software and hardware, while the actual construction to ensure stability through field testing and debugging of problems improved accordingly, as well as ease of installation and so it could be done while the test. In addition, in terms of basic hardware switching of standby power when blocking, reducing stress and ensure stable operation and circuit design, power off and back to ensure stable operation even when a protection circuit is applied.

대기전력저감을 위한 플라이백컨버터 (A Novel Flyback Converter for Low Standby Power Consumption)

  • 정봉근;장상호;김은수;최문기;계문호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99-306
    • /
    • 2009
  • 최근 대기전력저감기능을 갖는 PWM IC를 적용한 플라이백 컨버터는 대기전력 모드 시 Burst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지만 경 부하 및 대기전력모드 시 변압기를 통해 흐르는 큰 자화전류에 의해 여전히 낮은 효율특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경 부하 및 대기전력모드 동작 시 자화전류를 최 소화함으로 효율을 개선한 회로를 제안하였으며 50인치 PDP TV PSU (Power Supply Unit)에 있어서 대기전력 및 보조전원으로 사용된 70W 플라이백 컨버터에 적용 실험하여 보았다.

대기전력 저감을 위한 자려발진 플라이백 컨버터 (Self-Oscillating Flyback Converter for Reducing Standby Power)

  • 윤영남;장두희;노정욱;한상규;김종덕;홍성수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10
  • 본 논문은 별도의 PWM-IC없이 저가 구현이 가능한 자려 발진 플라이백 컨버터의 대기전력 저감을 위한 회로를 제안한다. 제안된 자려발진 플라이백 컨버터는 기존 자려발진 플라이백 컨버터의 스위치 초기 동작을 위한 경로에서 발생하는 지속적인 전력손실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DC-Blocking 캐패시터를 삽입한 형태로써 약 1W의 대기전력 저감효과 및 시스템의 전력 변환 효율 향상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회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고, 실제 35W급 전원시스템을 구현하여 기존 회로와의 비교를 통해 제안된 회로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인천화력 4호기 발전기용 주/부 제어기를 갖는 정지형 여자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Generator Excitation System with Main/Standby Controller in In-chun Thermal power plant #4)

  • 류호선;임익헌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1999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7-410
    • /
    • 1999
  • Potential-source controlled excitation system had been developed for synchronous generator in In-Chun thermal power plant #4 by KEPRI. This pap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Main/Standby control system employed analog, digital circuit devices (hybrid type) and 3 PCRs(Phase Controlled Rectifi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