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unit cost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31초

시설공사 입찰단가를 활용한 실적단가의 산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ng Method for Actual Unit Cost Based on Bid Prices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강상혁;박원영;송순호;서종원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159-166
    • /
    • 2006
  • 우리나라의 공공 건설공사 예정가격 산정 근거로 사용되어 온 표준품셈은 다양한 시공환경, 공법, 기술수준 등에 따른 공사비의 변동을 현실적으로 반영하지 못하여 부실시공이나 과다비용의 산정과 같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에 정부는 표준품셈을 2004년부터 점차 축소하는 대신 실적공사비 제도를 단계적으로 도입키로 했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 낙찰되었던 계약단가 뿐 아니라 모든 입찰단가 자료를 활용하여 실적단가를 산출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 및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절차에서 주요하게 다룬 사항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확보를 위해 저가입찰 등과 같은 전략적 입찰단가 추출에 대한 분석기준이다. 과거의 입찰단가 자료의 기술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두 차례에 걸쳐 전략적 입찰단가로 의심되는 통계적 이상치를 제거하고, 시간에 따른 보정을 통해 현가화하여 현재 활용가능한 실적단가를 산출하였다. 또한 입찰방식 및 예상낙찰률에 따른 입찰단가의 변동특성을 분석 악하여 실적단가 보정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일련의 분석 및 산출 과정을 거쳐 현실성 있고, 시장성을 보다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합리적인 예정가격의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Estimating the Optimal Ratio of Standard Pallet Use for Logistics Standardization

  • Hong, Sung-Wook;Lee, Soon-Cheul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5
    • /
    • 2006
  • This paper analyzes how levels of logistics standardization are related to logistics costs. The study surveyed ratios of standard pallet use in order to measure levels of firms' standardization in logistics management. Research focused on how firms' logistics costs were related to their levels of logistics standardization and ratios of standard pallet use. After measuring use of standard pallets and logistics costs, optimal levels of logistics standardization were estimated based on survey data. Logistics costs and standardization were more related to labor than to freight volume or export. Results indicated that firms could reduce logistics costs by raising levels of logistics standardization; optimal levels of standard pallet use out of Korean firms' total manufacturing cargo volume were estimated at 44.26% for multi-standard pallets and 57.99% for a single standard pallet (a unit load system). The study demonstrated that adopting a single standard pallet results in better cost saving logistics systems than use of multi-standard pallet types. These results may explain why firms pursue standardization in logistics systems.

  • PDF

양자화된 트랜스폼 계수를 이용한 고속 Prediction Unit 결정방법 (Fast Prediction Unit Decision Using 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 권령희;이영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25-733
    • /
    • 2012
  • ITU-T VCEG과 ISO/IEC MPEG은 공동으로 JCT-VC(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 를 구성하여 차세대 비디오 코덱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차세대 비디오 코덱 HEVC는 H.264/AVC 표준보다 높은 압축률을 보이나, 매우 높은 인코더 계산 복잡도를 가지고 있다. HEVC 인코더의 계산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고속 예측단위 결정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고속 예측단위 결정방법은 현재 prediction unit의 양자화 된 0이 아닌 변환계수가 없으면 남은 prediction unit의 부호화를 생략하여 부호화 시간을 줄이는 방법이다. 제안된 방법은 인코더 계산 복잡도를 HM6.0대비 약 50.3%정도 향상시키나 동일한 수준의 코딩 효율을 유지한다.

수술수가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상대가격체계와 항목분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priety of the Medical Insurance Fee Schedule of Surgical Operations - In Regard to the Relative Price System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Price Unit of Insurance Fee Schedule -)

  • 오진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1-44
    • /
    • 1988
  • In Korea, fee-for service reimbursement has been adopted from the begining of medical insurance system in 1977, an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ve value unit is currently being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evel of propriety of the difference in the fees for different surgical service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insurance fee schedu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pecific subjects and the procedural methodology is shown as follows: 1. The propriety of the Relative Price System(RPS). 1) Choice of sample operations. In this study, sample operation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by specialists in general surgery, and the number of items they classified were 32. For the same group of operations the Insurance Fee Schedule(IFS) classified the operations into 24 separate item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priety of the RPS, one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24 items classified by the IFS. 2) Evaluation of the complexity of surger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94 specialists in general surgery by mail survey from November I to 15, 1986. Several independent variables (age, location, number of bed, university hospital, whether the medical institution adopt residents or not) were also investigated for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urgical complexity. 3) Complexity and time calculations. Tim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record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the cost per operation was calculated through cost finding methods. 4) Analysis of the propriety of the Relative Price System of the Insurance Fee Schedule. The Relative Price System of the sample operation was regressed on the cost, time, comlexity relative ,value system (RVS) separately.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dicates the degree of variation in the RPS of the Insurance Fee Schedule explained by the cost, time, complexity RVS separately. 2. The appropriatenes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Insurance Fee Schedule. 1) Choice of sample operations. The items which differed between the classification of the specialist and the classification of medical, Insurance Fee Schedule were chosen. 2) Comparisons of cost, time and complexity between the items were done to evaluate which classification was more appropriate.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e regression of the RPS on-cost RVS was 0.58, on time RVS was 0.65, and on complexity RVS was 0.72. This means that the RPS of Insurance Fee Schedule is improper with respect to the cost, time, complexity separately. Thus this indicates that RPS must be re-shaped according to the standard element.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cost, time, complexity Relative Value System were very high, and this suggests that RPS could be reshaped I according to anyone standard element. Considering of measurement, time was thought to be the most I appropriate. 2. The classifications of specialist and of the Insurance Fee Schedule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cost, time, and complexity separately. For complexity, ANOVA was done and the others were compared to the different values of different classifications. The result was that the classification of specialist was more reasonable and that the classification of Insurance Fee Schedule grouped inappropriately several into one price unit.

  • PDF

건설공사 품질관리자의 인건비 및 배치규모 개선 (Improvement of Personnel Cost and Placement Scale of Quality Manager for Construction)

  • 이창효;김병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327-335
    • /
    • 2018
  • 건설공사의 품질관리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 규정에 따라야 하며 세부적으로는 품질시험비와 품질관리활동비 등 여러 항목의 비용 산출이 요구된다. 품질관리비 중에서 인건비는 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지침의 품질시험비 산출단위량을, 인건비의 노임단가의 적용은 대한건설협회 및 한국엔지니어링협회가 조사 공표하는 노임단가를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법 규정에서 품질관리자와 품질시험자의 인건비 적용기준이 서로 모호하게 규정되었으며, 건설공사의 품질관리비 산정 및 인건비 적용 등에 혼란을 유발 하였다. 또한 품질관리자의 배치기준에 대하여 공사규모에 따라 규정하고 있으나 품질시험자의 배치기준에 대한 규정은 없으며, 건설현장에서는 품질관리자 외 품질시험자의 배치인력이 없거나 매우 적은 인력을 배치하는 등 소극적인 행태로 인하여 품질시험자가 실시해야 할 품질시험 업무를 품질관리자가 실시하고 있어 과중한 업무로 인하여 품질관리 활동의 저조와 품질확보가 어려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의 품질확보 및 부실공사 방지를 위하여 품질관리비의 인건비 산정과 품질관리자 및 품질시험자의 배치기준을 다음과 같이 정립하고 제시한다. 관련 법 규정에서 모호하게 규정하고 있는 배치기준을 품질관리자와 품질시험자로 구분하여 공사규모에 따라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한국엔지니어링협회의 노임단가를 기준으로 하여 품질관리자 및 품질시험자의 인건비를 각각 기술자(기술사, 특급, 고급, 중급, 초급) 및 숙련기술자(고급, 중급, 초급)의 노임단가를 적용하도록 제시한다.

시행기준 원가계산을 적용한 간호단위 원가 및 수익 인식에 관한 연구: 1개 종합병원 일반외과병동 사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ost and Profit of a Nursing Unit using Performance-Based Costing: Case of a General Surgical Ward in a General Hospital)

  • 임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61-171
    • /
    • 200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ize net income of a surgical nursing ward in a general hospital. Metho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performance-based costing and activity-based costing method. Result: Direct nursing activities in the surgical ward were 68, indirect nursing activities were 10. The total cost volume of the surgical ward was calculated at \119,913,334.5. The cost volume of the allocated medical department was \91,588,200.3, and the ward consumed cost was \28,325,134.2. The revenue of the surgical nursing ward was \33,269,925.0. The expense of a surgical nursing ward was \28,325,134.2. Therefore, the net income of a surgical nursing ward was \4,944,790.8. Conclusion: We suggest that to develop a more refined nursing cost calculation model, a standard nursing cost calculation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통계적 기법을 활용한 ILM압출공법 교량 상부공사 개략공사비 산정모델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he Approximate Cost Estimating Model Using Statistical Inference for PSC Box Girder Bridge Constructed by the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 김상범;조지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781-79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평균건설단가를 적용하여 개략 공사비를 산출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대표공종을 이용한 입력변수 도출 모델을 구축하여 기본설계단계에서 고려되어지는 여러 입력변수들을 활용하여 P.S.C(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교량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 공법에 연구 모델을 적용하고자 한다. 2000년부터 설계된 공사비 데이터와 설계자료 등을 분석하여 상부공사 중 총 공사비대비 누적비율 95%이상을 차지하는 공종을 대표공종으로 도출하였다. 각 대표공종의 하위공종에 대한 내역 분기를 실시하여 각 항목들의 Database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각적인 측면에서 개략공사비 산정 모델을 개발 및 제시하였으며,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대표공종을 기초로 단위물량을 사용한 개략공사비 산정모델(I)과 상관성이 높은 입력변수를 선택한 개략공사비 산정모델(II)과 상관계수 0.6이상의 입력변수들을 모두 포함하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개략공사비 산정모델(III)을 제시한다. 실제 총공사비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개략공사비 산정모델들을 비교하고, 신뢰성을 검증함으로써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산정방법에 비해 정밀도 측면에서 효율적인 공사비 관리방법을 제시한다.

Replacement model under warranty with age-dependent minimal repair

  • Park, Min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Reliability and Applications
    • /
    • 제18권1호
    • /
    • pp.9-20
    • /
    • 2017
  • In this paper, we consider a renewable repair-replacement warranty strategy with age-dependent minimal repair service and propose an optimal maintenance model during post-warranty period. Such model implements the repair time limit under warranty and follows with a certain form of system maintenance strategy when the warranty expires. The expected cost rate is investigated per unit time during the life period of the system as for the standard for optimality. Based on the cost design defined for each failure of the system, the expected cost rate is derived during the life period of the system, considering that a renewable minimal repair-replacement warranty strategy with the repair time limit is provided to the customer under warranty. When the warranty is finished, the maintenance of the system is the customer's responsibility. The life period of the system is defined and the expected cost rate is developed from the viewpoint of the customer's perspective. We obtain the optimal maintenance strategy during the maintenance period by minimizing such a cost rate after a warranty expires. Numerical examples using field data are shown to exemplify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ies proposed in this paper.

  • PDF

표준단면을 이용한 터널 공사비 예측모델 개발 (I) - 공사비 영향요인 분석 - (Tunnel Cost Estimating Model Based on Standard Section and Cost Variance Index (I) - Analysis Of Critical Cost Factors -)

  • 조정연;김경주;김경민;김상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D호
    • /
    • pp.665-675
    • /
    • 2008
  • 본 연구는 터널공사를 대상으로 사업 초기단계에서 터널공사의 설계 대안에 대한 공사비를 신속히 추정하고, 사업이 진행되면서 상황변화에 따른 사업비 측면에서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정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개략적 터널공사비 추정모델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터널공사의 수행에 있어 공사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공사비 영향요인별 공사비 변화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공사비 영향요인은 천공방식, 굴착방법, 기폭장치, 적재장비 용량, 버력의 단위중량 및 토량환산계수, 터널 연장을 포함하는 7개의 요인을 대상으로 하여 각 영향요인의 변화에 따른 공사비 변동 크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기획단계에서 사업의 기본적인 조건을 바탕으로 사업비를 추정하고,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설계 대안에 대한 공사비의 영향을 효율적으로 평가하는데 필요한 공사비 추정모델의 구축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프트웨어 사업대가기준 중장기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d-Long Term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Software Cost Estimation Guidelines)

  • 김우제;권문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9-155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사업대가기준의 중장기 발전 방향을 도출하고 소프트웨어 사업대가기준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상의 모든 단계와 현재의 소프트웨어 사업대가기준과 모형들이 검토되고 분석되어졌다. 둘째, 소프트웨어 사업대가기준의 중장기적 발전 대안으로 단가와 지침을 분리하여 운영하고, 시장자율기능을 확대하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사업대가기준의 중장기 발전대안의 선결과제로 비용 리포지토리의 구축, 소프트웨어 사업대가 지침화, 다양한 사업대가기준 모형화 및 인증제 도입, 사업대가 전문가제도 도입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소프트웨어 사업대가기준의 중장기 발전대안의 단계별 이행계획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