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flow

검색결과 2,020건 처리시간 0.03초

반도체 칩 테스트용 챔버 형상에 따른 유동 균일성에 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Flow Uniformity according to Chamber Shapes Used for Test of the Semi-Conductor Chip)

  • 이대규;마상범;김성;김정열;강채동;김진혁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480-488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flow uniformity inside the chip tester through changing the flow path formation according to the inlet and outlet position of chamber. The internal flow and velocity distributions of the modified chamber models (Cases 1-3) wer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chamber model through three-dimensional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with k-ε turbulence model. The modified chamber models showed the superior flow uniformity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reference chamber model. To investigate the flow uniformity in the chip tester,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velocity was defined and compared. Through the internal flow analysis and assesment of the standard deviation, Case 2 among the test cases including the reference model showed the best flow uniformity generally.

단위-셀 실험과 전산유체해석을 통한 블록형 초고온가스로의 노심우회유량 평가 (ASSESSMENT OF CORE BYPASS FLOW IN A PRISMATIC VERY HIGH TEMPERATURE REACTOR BY USING UNIT-CELL EXPERIMENT AND CFD ANALYSIS)

  • 윤수종;진창용;김민환;박군철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9-67
    • /
    • 2009
  • An accurate prediction of the bypass flow is of great importance in the VHTR core design concerning the fuel thermal margin. Nevertheless, there has not been much effort in evaluating the amount and the distribution of the core bypass flow. In order to evaluate the behavior and the distribution of the coolant flow, a unit-cell experiment was carried out. Unit-cell is the regular triangular section which is formed by connecting the centers of three hexagonal blocks.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inlet mass flow rate, block combinations and the size of bypass gap were examined in the experiment. CFD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flow distribution. Commercial CFD code FLUENT 6.3 was validated by comparing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In addition, SST model and standard k-$\varepsilon$ model were validated. The results of CFD simulation show good agreements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SST model shows better agreement than standard k-$\varepsilon$ model. Results showed that block combinations and the size of the bypass gap have an influence on the bypass flow ratio but the inlet mass flow rate does not.

Numerical study of turbulent wake flow behind a three-dimensional steep hill

  • Ishihara, Takeshi;Hibi, Kazuki
    • Wind and Structures
    • /
    • 제5권2_3_4호
    • /
    • pp.317-328
    • /
    • 2002
  • A numerical investigation on the turbulent flows over a three-dimensional steep hill is presented. The numerical model developed for the present work is based on the finite volume method and the SIMPLE algorithm with a non-staggered grid system. Standard $k-{\varepsilon}$ model and Shih's non-linear model are tested for the validation of the prediction accuracy in the 3D separated flow. Comparisons of the mean velocity and turbulence profiles between the numerical predictions and the measurements show good agreement. The Shih's non-linear model is found to predict mean flow and turbulence better than the Standard $k-{\varepsilon}$. Flow patterns have also been examined to explain the difference in the cavity zone between 2D and 3D hills.

표준 사이클론 집진기 내 유동특성에 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Analysis on Flow Characteristic in a Standard Cyclone Dust Separator)

  • 이치우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97-103
    • /
    • 2011
  • This study is numerical analysis on flow characteristic in a standard cyclone dust separator. The cyclone dust separator is widely used in a industrial applications as a method for dust removed from gases. In cyclone chamber, a very complex flow field is formed, involving the interaction between highly swirling velocity and turbulent field. Numerical analysis with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working fluid that flow into cyclone dust separator. Helical entry type was increasing flow rate compared with tangent entry type. And according to increasing pressure difference was increased fan power. But, helical entry type was high performance dust separator, in comparison with tangent entry type.

4角斷面 의 1800曲管 에서의 亂流流動 과 熱傳達解析 (Analysis of Turbulent Flow and Heat Transfer in a Square Duct with a 18$0^{\circ}C$ Bend)

  • 최영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91-108
    • /
    • 1985
  • 본 해석에서는 4각단면의 180˚곡관 유동에 PSL법을 도입하는 문제 이외에 .epsilon.방정식에서 생성항의 변화가 유동해석결과에 미치는 영향과 3차원 난류유동의 해석 에 ASM의 도입 필요성에 관해서도 고찰하였다. 모델을 사용하여 흐름의 특성을 구명키로 하였다.

축대칭 선회난류의 수치해석에 의한 비등방 k - ${\epsilon}$ 난류모델의 評價 (Evaluation of the Anisotropic k - ${\epsilon}$ Turbulence Model by the Numerical Analysis of Axisymmetric Swirling Turbulent Flow)

  • 이연원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0권5호
    • /
    • pp.39-44
    • /
    • 1996
  • To overcome weak poinks of the standard k-${\varepsilon}$ turbulence model when applied to complex turbulent flows, various modified models were proposed. But their effects are confined to special flow fields. They have still some problems. Recently, an anisotropic k-${\varepsilon}$ turbulence model was also proposed to solve the drawback of the standard k-${\varepsilon}$ turbulence model. This study is concentrated on the evaluation of the anisotropic k-${\varepsilon}$ turbulence model by the analysis of axisymmetric swirling turbulent flow. Results show that the anisotropic k-${\varepsilon}$ turbulence model has scarecely the fundamentally physical mechanism of predicting the swirling structure of flow.

  • PDF

THE FLOW-CURVATURE OF CURVES IN A GEOMETRIC SURFACE

  • Mircea Crasmareanu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1261-1269
    • /
    • 2023
  • For a fixed parametrization of a curve in an orientable two-dimensional Riemannian manifold, we introduce and investigate a new frame and curvature function. Due to the way of defining this new frame as being the time-dependent rotation in the tangent plane of the standard Frenet frame, both these new tools are called flow.

수문학적 가뭄감시를 위한 하천유량 기반 가뭄지수 개발 (Development of Drought Index based on Streamflow for Monitoring Hydrological Drought)

  • 유지영;김태웅;김정엽;문장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669-68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갈수관리를 위한 기준유량과 가뭄지수와의 일관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 국토교통부 홍수통제소에서 고시한 37개 갈수예보 관리지점 중 섬진강 수계의 구례2지점과 형산강 수계의 안강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관측된 일별 유량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더불어 인근 기상관측소 남원지점과 포항지점의 강우량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유량자료를 기반으로 한 수문학적 가뭄상황을 재현해줄 수 있는 유량누가가뭄지수(SADI)를 개발하였다. SADI는 유량패턴의 변동시점(Change-Point) 분석을 통해 가뭄절단수준을 결정하였고, 또한 감소계수 추정을 위해 핵밀도함수를 이용하였다. 이처럼 계산된 SADI는 표준유출지수(SRI), 표준강수지수(SPI)와 비교되었으며, 이 중 SRI와 SPI는 30일, 90일, 180일, 270일 시간단위에 대한 가뭄지수를 모두 산정한 후, ROC 곡선 분석을 이용하여 갈수예보 기준유량과 일관성이 가장 높은 시간단위를 최종 결정하였다. 갈수예보 지점의 관심단계 예보기준유량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가뭄지수와의 ROC 곡선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섬진강 수계의 구례2지점은 SADI_C3, SRI30, SADI_C1, SADI_C2, SPI90의 순으로 갈수예보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형산강 수계의 안강지점은 SADI_C3, SADI_C1, SPI270, SRI30, SADI_C2의 순으로 갈수예보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댐 유입량 자료를 이용한 갈수빈도해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ow-flow Frequency Analysis Using Dam Inflow)

  • 정영훈;남우성;신홍준;허준행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B호
    • /
    • pp.363-37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댐의 상시보장유량 설정에 기준이 되는 갈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화천댐과 춘천댐의 유입량 자료를 구축한 후 적합도 검정을 실시하여 적정확률분포형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적정확률분포형에 대하여 재현기간에 따른 월별 유입량 계열로 산정한 갈수빈도해석 방법(case 1)과 월단위 누가유입량 계열의 차로 산정한 갈수빈도해석 방법(case 2)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강유역의 상류댐인 화천댐과 춘천댐의 통계적 특성을 반영한 월별 재현기간에 따른 유입량은 홍수기에 제한수위를 설정하는 것과 같은 형식으로 댐의 상시보장유량을 보장하는 저수위를 설정하거나 이수용량을 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물류 화물 추적을 위한 UN/CEFACT 표준 기반의 BP 모델링 및 데이터 정의 (BP Modeling and Data Standardization for Logistics Cargo Tracking Process based on UN/CEFACT)

  • 안경림;윤근영;박찬권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9-313
    • /
    • 2009
  • 국내 물류 환경이 점차 글로벌 물류로 변화됨에 따라 업무 처리에 다양한 물류 주체들이 참여하고, 화물은 컨테이너에 포장되어 여러 단계를 거쳐 수화인에게 전달된다. 또한 화물 배송 과정 중간에 화물이 손상되거나 유실될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송화인과 수화인을 비롯한 여러 물류 주체들에게 있어서 수출입 화물에 대한 흐름의 파악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화물이 전달되는 과정을 일관되게 추적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그 원인은 화물과 정보 흐름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과 업무자동화 측면에서 표준 정보 및 프로세스가 아니어서 물류 주체 간 데이터 연동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화물 추적 업무에 있어서 단일화되고 통합된 비즈니스 협업을 위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그 결과를 이용해 표준 데이터를 정의하고자 한다. 개발된 프로세스 모델과 표준 데이터는 국제적으로 상호운용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