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ts Records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9초

스포츠경기 영상기록물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tadata Schema for Sports Moving Records)

  • 장지원;김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57
    • /
    • 2014
  • 본 연구는 스포츠 영상기록물의 효과적인 관리 검색 활용을 목적으로 다중개체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스포츠 영상기록이 가진 특성을 표현하고 풍부한 맥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포츠 경기, 경기 참여자, 영상기록, 기록관리업무의 네 가지 개체들을 선정하였으며, 각 개체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스포츠 인물 및 팀에 대한 용어에 일관성을 유지하고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인물과 팀에 대한 전거레코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다중개체 모형과 메타데이터 요소들, 그리고 스포츠 인물 및 팀 전거레코드는 체육학과 교수들과 스포츠 마케팅 전문가로 이루어진 전문가 집단과의 면담을 통해서 검정되었고 수정, 확대되었다.

A Study on Contributor to Sports Development Big Data Research Using Oral Records

  • Byun, Jisu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8권4호
    • /
    • pp.301-30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ral records of sports development contributor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big data research on sports development contributors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audio file produced in the interview with Lee00, a sports development contributor, was converted into text. The major theme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these oral records. The sub-themes were extracted in chronological order. Keyword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sub-themes. And the extracted keywords are searched in Google search engine to find related topics and to use them. A Google search for the topic 'Mt. Inwang' extracted from the oral archives of Lee00, a contributor to the development of sports, finds newspaper articles about President Moon Jae-in's climbing Mt. Inwang and opening up Mt. Bukhan. In addition, articles about Mt. Inwang and mountain climbers that the narrator In-jeong Lee speaks are searched for. Through these articles, you can Deriving the theme of the museum exhibition, Collection of museum exhibits, Use as climbing education material.

한국 여자 창던지기 선수들의 기록과 릴리즈 요인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and Release Parameters in Korean Female Javelin Throwers)

  • 김태삼;류지선;이순호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1-140
    • /
    • 2012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and projection factors, angle factors of javelin in women's javelin throwing. The data were collected in the 2011 National Sports Festivals for 11 players.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using a system of 4 video cameras at a sampling frequency of 60 fields/s was performed for this study. The factors of release conditions calculated using Matlab 2009a program. The statical analysis on the records(n=42) includ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S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PSS Version 16.0 for Window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rds and release velocity(r=.866, p<.01), height(r=.433, p<.01) and height rate(r=.340, p<.05). The attitude angle, release angle, and attack angle showed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rds. The medial-lateral tilt angle of javelin showed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rds, but the yaw angle of javelin(r=.549, p<.0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rds.

기록관리를 위한 스포츠기록 정보서비스 구축 방안 (Development Plan for a Sports Record Information Service for Records Management)

  • 김세민;배성중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63-169
    • /
    • 2022
  • 기록의 다양성은 많은 분야에서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스포츠 분야에서도 기록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종목의 역사를 남기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젊은 층에게 인기가 높은 농구 종목을 중심으로 하여, 기록정보서비스를 개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록정보서비스 개발 방안은 기술을 개발하는 관점도 있지만, 최근 수요가 많아지고 있는 기록관리학의 관점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보서비스 이용 예정자들에게 FGI를 통하여 요구 분석을 하였고, 기록 분석의 절차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시스템 구조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하였고, 기록을 관리하고 열람할 수 있는 화면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록관리 분야에서 스포츠 분야 기록관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 제안 (A Recording Strategy Proposal for the Post-Management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 최호준;양월운;최태석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05-22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 2월 개최된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 기록의 가치와 기록의 유형을 파악하고 국내와 국외에서 진행된 메가 스포츠이벤트 사후관리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으로서 3가지를 제안할 수 있다. 첫째, 기록화 대상과 주체, 주제별, 계층별 범위를 명확하게 설정한 후 사후관리를 실시해야 한다. 둘째, 제한적인 문헌기록의 보완을 위해 구술기록을 통한 사후관리를 실시한다. 셋째, 홈페이지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하여 사후관리에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평창동계올림픽기념관 건립과 국내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 전략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포츠비젼 트레이닝이 시기능 및 야구성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rts Vision Training on Baseball Player's Visual Performance and Baseball Records)

  • 이민아;오재만;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7-97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비젼 트레이닝의 효과를 검증하고, 그 결과가 야구성적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포츠에 있어서 시력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스포츠비 젼 트레이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D 고등학교 야구부 선수 21명을 대상으로 원근거리 시위량과 융합 여력, 폭주 근점, 정지 시력과 동체 시력, 정적 입체시와 동적 입체시, 대비감도, 시각-반응 시간을 평가한 후 8주 동안의 스포츠비젼 트레이닝을 실시하고 그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스포츠비젼 트레이닝 이후 시기능이 향상되었고, 타율 또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비젼 트레이닝의 원리를 다양한 스포츠에 적용하고, 보다 체계적인 검사장비와 훈련방법이 정비된다면 선수들의 스포츠 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스포츠 손상의 통계적 분석 (Statistcal Analysis of Sports Injury)

  • 홍성렬
    • 물리치료
    • /
    • 통권34호
    • /
    • pp.2-8
    • /
    • 1985
  • STATISTCAL ANALYSIS OF SPORTS INJURY Seong-Ryul Hong R.P.T. Seoul School Health Center Hospital Upon comings of 1986 Asian Games and 1988 Olympiad in Seoul , Korean people have more enthusiasm for sports than any other time .It's very desirable that student athletes are doing thier best to train skills and to improve records for the coming 2 international sports events .I concluded as following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of 159 student athletes about sports injury who had been received Physiotherapy in School Health Center Hospital in Seoul from Jan.8 1982 to Dec,4 1984Track & field is the most common team among school sports team in Seoul.47 Students(30%) were injuried during football game, Career of sports injury: 88 students(55.3 %) were injured for the first time .Location of injury: More than 30% in both sexs were injuried in the Lumbar Frequency in injury in lower limb is higher than that of upper . Frequency of injury in upper right limb and lower left limb are higher than of counterparts6. Diagnosis: 32% of students were diagnosed as lumbago. Treatment period: 42.7% of students were healed within a week and 76.8% within 2 weeks

  • PDF

Visualization System for Player's Sequential Forms at Sports Broadcasting

  • Lee, Sang-Gil;Nobuyuki-Yagi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6년도 Proceedings International Workshop on New Video Media Technology
    • /
    • pp.88-93
    • /
    • 1996
  • We developed a visualization system for sports broadcasting that informs TV viewers of a sports player's sequential performing forms and locus in detail when gymnastic game such as‘vault’is broadcasted. It records the corresponding frames while a player is performing, extracts only the player's performing forms from background scenes by a proposed algorithm, superposes them sequentially on a background scene, and broadcasts them with slow speed. This system named as‘Multi-Motion’has ever been used in NHK live broadcasting for 1995 World Gymnastics Championships held in Japan.

  • PDF

불쾌지수가 외야수의 경기 기록 데이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comfort Index on Outfielder's Game Record Data)

  • 김세민;신좌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978-98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빅 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스포츠 기록과 기상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API와 크롤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한 다음 이것을 토대로 통계를 낸 후에 데이터 시각화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2019년 KBO 리그에 출전한 외야수 중에서 규정타석에 진입한 선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기상 데이터는 불쾌지수를 활용하였으며 70이상과 70미만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투수가 개입하는 기록인 각종 타격지표에서는 불쾌지수가 높을수록 외야수의 기록이 향상하였으나, 투수가 개입하지 않는 도루, 볼넷, 투구 수, 도루 성공률, 타석 당 투구 수, 경기 당 투구 수 등의 기록에서는 외야수가 투수를 힘들게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포츠 데이터 산업의 발전과 야구 선수, 구단, 코칭스태프의 경기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Seres" Silk People Were Silla

  • Jisoo Kim;Youngjoo Na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91-213
    • /
    • 2023
  • Romans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BC referred to the people who brought silk from the Far East via the pre-Han (漢) silk road as "Seres". The Seres' colorful silk was characterized by intricate patterns and high yarn density, markedly different than thin "China silk". This study examined geographic and genealogic records and linguistic evidence and found support for the syllogistic conclusion that the "Seres" were the early Silla people. The Seres' territory in the seventh century BC wa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Qin (秦) or Zhou (周), extending from Xinjiang to Balhae. According to literature records, Dong-Yi (東夷) invented Geum (錦) silk in the 11th century BC around Balhae, where silkworm trees were abundant. In the Han dynasty, even thin silk was rare and expensive, but in Gojoseon (古朝鮮), Geum silk was common and less valuable than beads. The Silla delivered surplus Geum silk, fur, and high-quality iron to the West. Linguistic evidence includes historical names for Silla: "Sira," "Saro," and "Sere," as well as records naming King Ruri of Silla "Seri-Ji"; and the replacement of the word "Seres" by the word "Silk" from the Goguryeo word for "yarn winder": "sil-kk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