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cording Strategy Proposal for the Post-Management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 제안

  • 최호준 (우석대학교 스포츠지도학과) ;
  • 양월운 (알엠소프트 기록연구소) ;
  • 최태석 (알엠소프트 기록연구소)
  • Received : 2018.10.31
  • Accepted : 2018.11.18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collect records for the post-management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hich was held in February 2018.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value and types of records of the 2018 Winter Olympics follow-up records were identified, and the cases of mega sports event follow-up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the following three measures were presented to collect records related to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irst,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collection methods over time. Second,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object and subject of recording. Third,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subjects related to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he study's result can be used to establish a Pyeongchang Winter Olympics memorial hall and to prepare a collection plan for follow-up management after holding a domestic mega sports event.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 2월 개최된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 기록의 가치와 기록의 유형을 파악하고 국내와 국외에서 진행된 메가 스포츠이벤트 사후관리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으로서 3가지를 제안할 수 있다. 첫째, 기록화 대상과 주체, 주제별, 계층별 범위를 명확하게 설정한 후 사후관리를 실시해야 한다. 둘째, 제한적인 문헌기록의 보완을 위해 구술기록을 통한 사후관리를 실시한다. 셋째, 홈페이지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하여 사후관리에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평창동계올림픽기념관 건립과 국내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 전략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HKGRBG_2018_v18n4_20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서울올림픽기념관

HKGRBG_2018_v18n4_205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서울올림픽기념관 유물 전시

HKGRBG_2018_v18n4_205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서울올림픽기념관 연표 코너

HKGRBG_2018_v18n4_205_f0004.png 이미지

<그림 4> 풋볼팬타지움

HKGRBG_2018_v18n4_205_f0005.png 이미지

<그림 5> 풋볼팬타지움 연표와 공식보고서

HKGRBG_2018_v18n4_205_f0006.png 이미지

<그림 6> MLA 기록화 분야 및 주체

HKGRBG_2018_v18n4_205_f0007.png 이미지

<그림 7> 국민의 기록 사업 홈페이지2)

HKGRBG_2018_v18n4_205_f0008.png 이미지

<그림 8> 1960 로마 장애인 올림픽에 참가한 호주 선수들 사진

HKGRBG_2018_v18n4_205_f0009.png 이미지

<그림 9> 구술사 프로젝트 음성 파일 웹페이지(호주 국립 도서관)3)

<표 2> 서울올림픽 자료실 소장자료 현황

HKGRBG_2018_v18n4_205_t0001.png 이미지

<표 3> 국가기록원 서울올림픽 관련 기록물 현황

HKGRBG_2018_v18n4_205_t0002.png 이미지

<표 5> 기록화전략 구분요소에 따른 국내/외 사례분석 파악

HKGRBG_2018_v18n4_205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Kim, Duk-Muk (2016). Collecting and using manul record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9, 299-325.
  2. Kim, Ji-won (2016). A Plan for Set up of Olympic Oral History Digital Archives. Major of Sport Recording and Analysis Graduate School of Records,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Myongji University.
  3. Bae, Yang-hee & Kim, You-seung (2017). A Study on The collenction Policies of Civil Domain Digital Archiv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53, 119-159.
  4. Seol, Moon-Won (2010). Directions of Implementing Documentation Strategies for Local Region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6, 103-149.
  5. In, Sangwoo (2014). The Evolution of Sport Event Organization, An Exploratory Study.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5(2), 328-340. https://doi.org/10.24985/kjss.2014.25.2.328
  6. Cheon, Ho Jun (2014). The Case Study on a Documentation of Mega Sports Event.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2, 37-71.
  7. Cheon, Ho Jun & In, Sangwoo (2011). Managing Olympic Historical Records as Olympic Legacy.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for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16(1), 67-82.
  8. Cheon, Ho Jun & Jin jin (2015). A Documentation of Social Memory for Mega Sports Event.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for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20(1), 39-54.
  9. Choi, Jeong-eun (2011). A Study on Archiving of 'Social Memory'and Oral Record Focused on the Role of Archivist in the Stages of Oral Record Collecting and Planning.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0, 3-55.
  10. Choi, Tae Suk & Cheon, Ho Jun (2018). The study on creating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Records Legacy through Overseas Ca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16(3), 61-80.
  11. Hanley (2012). The Australian Paralympic Oral History Project: Remembering, reflecting, recording and promoting disability in s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59(3), 295-303.
  12. 강대호 (2018년 2월 26일). 최대 규모로 시작한 평창올림픽, 끝까지 신기록 풍성. http://sports.mk.co.kr/view.php?year=2018&no=130709
  13. 강릉시청 홈페이지 (2018). https://www.gn.go.kr/www/index.do
  14. 강원도청 홈페이지 (2018). http://www.provin.gangwon.kr/gw/portal
  15. 김흥순 (2018년 10월 9일). '3000억 적자 우려' 평창올림픽, 619억 흑자 반전.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100908504740582
  16. 박소영 (2018년 2월 27일). 기업이 1조 대고, 수호랑 95만개 팔고... 평창은 흑자올림픽.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25&aid=0002800953
  17. 박영서 (2018년 3월 27일). 올림픽 개.폐회식장 철거 규모 줄여 기념관 공간 늘리자.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3/27/0200000000AKR20180327111400062.HTML?input=1195m
  18. 연합뉴스 특별취재팀 (2015년 9월 2일). 철저한 사후관리 방안 마련이 성공올림픽 '담보'.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8/31/0200000000AKR20150831120300062.HTML?input=1195m
  19. 이준형 (2011년 7월 7일). 동계올림픽 유치 국제 스포츠 그랜드슬램.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3396
  20. 정선군청 홈페이지 (2018). http://www.jeongseon.go.kr/portal/
  21. 최화철 (2017년 11월 20일). 평창동계올림픽 우려의 목소리, 저조한 티켓.예매율.바가지 숙박료 등.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1208294
  22. 평창군청 홈페이지 (2018). http://www.happy700.or.kr/index.happy/
  23.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홈페이지 (2018). https://www.pyeongchang2018.com/
  24. 호주 국립 도서관 홈페이지 (2018). https://catalogue.nla.gov.au/Record/4901270
  25. 홍춘봉 (2018). 평창조직위, 해산 조직으로 개편 집행부 축소, 현행 직제는 유지.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91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