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ll oil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6초

동절기 해상으로 유출된 저유황 중질유 제거를 위한 발열 흡착포 (Exothermic Oil Absorbent Sheet for Low-sulfur Fuel Oil (LSFO) Spilled into Seawater in the Winter Season)

  • 박한규;오경근;배병욱;송영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97-302
    • /
    • 2022
  • 탄산칼슘과 염산 수용액에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침지시켜 표면에 염화칼슘 결정을 생성시킴으로써 발열 흡착포를 제작하였다. 발열 흡착포를 유출 기름으로 인해 유막이 형성된 해수면에 적용하면 염화칼슘 결정이 주변의 수분을 흡수하여 이온화되면서 용해열을 방출한다. 염화칼슘의 용해열을 유동점 이하의 저온에서 응고된 저유황 중질유를 액화시켜 흡유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킨다. 발열 흡착포의 제작을 위해 폴리프로필렌 표면에 염화칼슘 결정을 생성시키기 위한 탄산칼슘과 염산의 최적 몰농도는 각각 0.25 M과 0.5 M이다. 저유황 중질유 발열 흡착포의 흡유능은 해수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우리나라 인근 해역의 동절기 평균 수온인 10℃에서 4.5-7.08 g/g으로 매우 우수하였다. 염화칼슘 발열 흡착포를 사용하면 동절기 선박사고로 인하여 해양에 유출된 저유황 중질유를 효과적으로 흡유하여 제거할 수 있다.

연안 조간대에 표착한 유출유의 OMA 형성 영향인자의 평가 (Evaluation of Affecting Factors on Formation of Oil-Mineral Aggregates for Stranded Oil on Intertidal Flat)

  • 정정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1-156
    • /
    • 2009
  • OMA(Oil-Mineral Aggregates) 형성은 유출유의 분산이나 미생물 분해율을 증대시켜 유출유의 제거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안 조간대에 표착된 유출유와 자연친화적인 OMA의 영향인자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유출유의 농도(50, 100, 200, 300, 400, 500 mg/L), 미세토립자의 농도(100, 200, 500, 1,000, 2,000, 4,000 mg/L), 염분 농도(10, 20, 30, 40 psu), 교반시간(1, 2, 4, 8, 12, 24 hr), 유화분산제의 주입량(0, 5, 10, 15, 20%)과 같은 물리화학적 인자의 변화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점토광물인 Kaolinite가 비점토광물인 Quartz보다 유출유와의 합체물인 OMA의 형성에 약 3배 이상의 효율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OMA 형성인자들 중에서 기름의 유출량이 많을수록 OMA의 형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해양의 염분농도 조건에서는 염분농도가 OMA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교반시간이 증가하면 점토광물인 Kaolinite의 경우는 OMA의 형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나, Quartz의 경우는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살포된 유화분산제가 Kaolinite와의 OMA의 형성에는 약 13%정도 기여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Quartz와의 경우는 약 56%가 촉진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서남해역에서 허베이스피리트호 원유유출 사고에 의해 생성된 타르볼 방제작업 (Response Activities for Tar Ball Pollution from the 'Hebei Spirit' Oil Spill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 조현진;김정엽;양문철;서광열;민남기;임승혁;전성근;김희식;김영화;김지훈;장선희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79-283
    • /
    • 2009
  • 2007년 12월 7일 발생한 허베이스피리트호 원유유출 사고로 약 12,547 kL의 기름이 해상으로 유출되어 서해안의 해안선이 광범위하게 기름으로 뒤덮이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사고발생 며칠 후부터 타르볼이 서남해안에서 관측되었으며, 이에 대한 방제를 위해 해양경찰(KCG)은 해상에서는 뜰채 및 그물끌기 방법을 이용하였고, 해안에서는 그물치기, 주워내기, 쓸어 담기 등 3가지 방제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물막 치기 방법은 해안이 타르볼로 오염되는 것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사고당시의 계절이 겨울이었던 점은 타르볼이 쉽게 굳어 자원봉사자나 주민들이 주워 내거나 쓸어 담는데 큰 이점이 될 수 있었다.

  • PDF

유류해양오염으로 인한 환경피해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 캐나다의 유류해양오염에 대한 사례연구 (The Economic Assessment of Claims for Oil Pollution Damages : The Canadian Experience)

  • Jung, Hyung-Chan
    • 수산경영론집
    • /
    • 제34권1호
    • /
    • pp.157-183
    • /
    • 2003
  • 유류오염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정책 수단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요한 것으로는 인센티브제의 활용을 들 수 있다. 유류오염 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인센티브는 유출 사고로 인해 발생한 해양자원의 피해에 대해 가해자에게 배상책임(liability for losses due to spills)을 부과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유류오염 사고로 인한 피해액을 실제 화폐단위로 계량화하는 작업은 배상책임 부과제도를 정책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어려운 과제이다. 따라서, 최근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자연자원 피해에 대한 가치 평가법(Natural Resource Damage Assessment : NRDA)은 배상책임 부과제도를 정책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이론적 도구로 간주되고 있다. NRDA는 잠재적인 가해자들에게 그들이 자연환경을 보존해야 하는 사회적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고 이를 훼손하게 될 때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사회적 비용을 직접 부담해야 한다는 명확한 재무적 인센티브(financial incentive)를 부여함으로써 가해자 보상 원칙 (polluter pays principle)을 실현 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유류오염 사고로 인한 환경자원 피해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가장 중요한 이론적 모형으로 활용되고 있는 가상상황평가법(CVM)에 대한 기초 개념과 이론적 체계, 그리고 이를 실제 피해액 추정에 성공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점 등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88년 캐나다 북서부 연안에서 발생한 Nestucca 유류오염 사고를 사례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사고 당시 캐나다 연방정부와 British Columbia 주정부를 대신하여 해양오염에 의한 환경피해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미국의 컨설팅 회사인 RCG/Hagler, Baily Inc.의 가상상황평가법(CVM) 적용 사례를 분석 검토하였다. Nestucca 사례연구에서는 이들 연구자들이 실제로 활용한 설문지 설계, 설문방법 및 표본설계 등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CVM이 본질적으로 갖고 있는 방법론적 문제점들을 연구자들이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는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WTP 추정을 위해 RCG 연구자들이 사용한 사전규제접근법(ex ante regulatory approach)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환경자원 피해액 추정 방법의 한계점도 함께 검토하였다. 캐나다 연방정부와 British Columbia 주정부는 Nestucca 유류오염 사고로 인한 자연 자원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으로 $4.3 Million의 보상금을 지급 받게 된다. 캐나다 정부는 이 보상금으로 Nestucca Oil Spill Trust Fund를 설립하여 피해를 입은 자연자원의 원상회복(restoration)을 위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Nestucca 유류오염 사고를 계기로 캐나다 정부와 학계는 해양자원의 피해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와 자원의 원상회복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안을 처음으로 마련 시행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Nestucca 유류오염 사고에 대한 사례연구는 캐나다의 해양환경 보존 정책을 연구하는 출발점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유류오염사고로 알려져 있는 시프린스호 사고와 관련된 손해배상금은 주로 연안어민들의 어업피해 배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접피해에 대한 배상액 48억 5천만원도 대부분 치어방류, 여수대학교 종묘배양장건립 등 피해지역 연안어업 발전을 위한 사업에 투자되었다.

  • PDF

Hebei spirit호 유류유출과 서해안 바지락 양식장의 변화 (Oil spill of Hebei spirit and Change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eds in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광재;김수경;강덕영;송재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3-220
    • /
    • 2015
  • 2007년 12월 7일 Hebei spirie호 유류유출 후 2008년 4월에 발생한 서해안의 바지락 평균 폐사율은 22.4%로 사고 이전인 2007년 4월의 9.2%에 비하여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류가 유입된 태안 및 보령, 서산 지역에서는 30% 내외로 폐사율이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 비오염지역인 인천, 경기도를 비롯하여 지형적인 조건과 방제작업 등으로 유류유입이 적었던 근소만과 천수만 내측 등에서는 10% 내외로 낮게 나타났다. 2009년 폐사율은 6.0%로 2008년의 22.4%에 비해 급격히 감소하였다. 2009년은 2008년과 비교하여 폭풍 등 해황이 불안정하여 저질변동이 많았으나, Hebei sprit호 유류유출로 인한 피해지역인 태안과 보령, 서산 지역에서는 폐사율이 낮아진 반면, 비 피해지역인 인천과 경기에서는 비슷하거나 높게 나타났다. 2010년 폐사율은 8.6%로 2009년의 6.0%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는데, 오염지역과 비오염지역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증가하였다. 따라서 유류가 유입된 태안 및 보령, 서산지역의 2008년 4월에 발생한 바지락 폐사는 Hebei spirit호 유류유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바지락의 전체 생산량은 유류사고 전인 2007년에는 27,459 톤이 사고 직후에 폐사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008년에 36,302 톤, 2009년에 40,392 톤, 2010년에는 36,248 톤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량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유류피해 지역인 충남의 바지락 생산량은 유류사고 전인 2007년에는 10,598 톤이던 것이 사고 직후인 2008년에 5,048 톤으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2009년에는 7,065 톤, 2010년에는 유류피해 전보다 많은 12,921 톤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피해지역인 전남의 바지락 생산량은 유류사고 전인 2007년에는 1,252 톤이던 것이 사고 직후인 2008년에는 12,248 톤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2009년 9,566 톤, 2010년 2,770 톤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 바지락 생산량에서 2008년에 우리나라 생산량이 감소하지 않고 증가한 이유는 유류피해가 없던 전남지역에서 물속에 서식하던 바지락이 대량으로 생산되었기 때문이다.

식물성 절연유의 가속열화에 따른 주요 성분 및 물성 변화 (Changes of Properties and Gas Components according to Accelerated Aging Test of Vegetable Transformer Oil)

  • 이돈민;이미은;박천규;하종한;박현주;전태현;이봉희
    • 에너지공학
    • /
    • 제25권3호
    • /
    • pp.18-26
    • /
    • 2016
  • 대부분의 변압기에 사용되고 있는 절연유는 석유계 원료를 이용한 광유계 절연유였으나 유출시 환경오염, 낮은 인화점으로 인한 화재 위험성을 가지고 있어 보다 친환경 식물성 원료를 활용한 절연유 도입이 최근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식물성 절연유의 높은 생분해성과 인화점으로 절연유로서의 높은 적용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장기운전에 의한 열화가 미치는 영향에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압기의 구성요소를 감안하고 실제 운전조건보다 높은 $150^{\circ}C$에서 2주간의 가속열화 시험을 통해 전산가, 수분, 절연파괴전압 등의 주요물성 변화를 통해 식물성 절연유 산화특성과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용존 가스 분석을 실시였다. 이를 통해 식물성 절연유가 기존 광유계 절연유 대비 친수성에 의한 전산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절연성능을 유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가스 성분 비교를 통해 주어진 온도 조건에서 우수한 열안정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양 표면취송류(skin drift)의 라그랑쥐 측류 및 모델링 (Lagrangian observation and modelling of sea surface wind-induced drift(skin drift))

  • 이문진;강용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17
    • /
    • 2000
  • 해양에서 해수보다 비중이 낮은 유류의 이동.확산은 해면 (0m) 유동에 따라 좌우된다. 해양에서의 유류확산에 대한 현실에 부합되는 모델 개발의 일환으로 한반도 연안역 4개 해역에서 해양 표면 취송류 (skin drift) 추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면과 수면하 1.5m의 유동을 동시 관측하여 둘간의 차이로서 바람에 의한 해양표면 취송류를 추정하였다. 표면취송류 유속의 평균 크기는 바람의 2.9% 였으며, 풍향에 대한 표면취송류 편향의 평균치는 바람의 오른쪽 18.6° 였다. 관측 결과는 표면취송류의 모델링에 활용하였다. 모델링에서는 바람에 따른 표면 취송류의 공간적 변동을 재현하였으며, 관측된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 PDF

유류 오염물 흡수가 가능한 반응재료의 다짐 특성-분광정보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ompaction Characteristics and Spectral Information of Reactive Materials for Absorption of Oil Contaminant)

  • 홍기권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950-957
    • /
    • 2023
  • 연구목적:강한 독성을 보유하고 있는 유류 오염물의 유출에 따른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사전 대응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반응재료의 공학적 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반응재료에 대한 다짐시험 및 분광정보 획득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시험 및 실험 결과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반응재료의 공학적 특성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광정보와 최대건조단위중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다짐시험 결과, 최대건조단위중량은 약 9kN/m3 ~ 10kN/m3 범위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분광정보 획득 실험 결과로부터 반응재료의 폴리노보넨 감소에 따른 최대분광반사율은 감소하였다. 결론: 반응재료의 구성성분 비율에 따라 비선형적 관계를 갖는 최대분광반사율과 최대건조단위중량 상관성으로부터 최대분광반사율을 통해 유류 오염물 흡수를 위한 반응재료의 최적량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동지나해(東支那海)의 순환(循環) 및 유류확산(油類擴散)모델 (Circulation and Oil Spill Movement Models of the East China Sea)

  • 최병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01-111
    • /
    • 1985
  • 황해(黃海)와 동지나해(東支那海)의 조석(潮汐) 및 해일(海溢)을 추정(推定)하기 위한 체계수립(體系樹立)의 초기연구과정(初期硏究課程)이 서술(敍述)되었다. 제시(提示)된 체계(體系)는 일기도(日氣圖)의 기압자료(氣壓資料)로부터 기상외력입력자료(氣象外力入力資料)를 작성(作成)하여 해양(海洋)모델에 의하여 해수위변화(海水位變化)와 해류(海流)를 산정(算定)하는 기법(技法)이 골격(骨格)을 이룬다. 이 초기체계(初期體系)에 의해 산정(算定)된 유황(流況)을 이용(利用)하여 오염물질(汚染物質)의 이동확산(移動擴散)을 추정(推定)하는 과정(過程)도 간단(簡單)히 서술(敍述)되었으며 인천만(仁川灣)의 유류확산(油類擴散) 및 이동추정(移動推定)의 초기결과(初期結果)가 제시(提示)되었으며 또한 토의(討議)되었다. 제시(提示)된 체계(體系)의 추후개선(追後改善)을 위한 토의(討議)도 수록(收錄)되었다.

  • PDF

허베이 스피리트호의 기름유출에 따른 바다유어낚시어선 이용객의 경제적 손실평가연구 (Evaluating the Economic Damages to Anglers of the Marine Recreational Charter due to the Herbei Spirit Vessel Oil Spill)

  • 표희동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289-302
    • /
    • 2014
  •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indirect economic damages to anglers of the marine recreational charter caused by marine pollution associated with the Herbei Spirit vessel, which spilled 12,547 kl of crude oil in Taean coastal areas in December 2007. In order to evaluate the indirect cost to anglers of the charter fishing, consumer surplus for charter fishing is estimated using a Poisson model (PM), a negative binomial model (NBM), a truncated Poisson model (TPM), and a truncated negative binomial model (TNBM), which account for the characteristics of count data (non-negative discrete data), for individual travel cost method (ITCM). Because of over-dispersion problem in PM and TPM, NBM and TNBM are considered to be more appropriate statistically. All parameters such as income, fishing careers, travel cost and catch that are estimate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oretically valid. Based on TNBM results, consumer surplus per trip and per person was estimated to be 277 thousand won, total consumer surplus per person and per year about 2.3 million won, and the marginal effect of consumer surplus on % changes in catch rate is about 33 thousand won. The consumer surplus was converted into total indirect economic damages for aggregation which are evaluated to be 125 billion won, reflecting the number of anglers and damage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