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es abundance

검색결과 1,213건 처리시간 0.026초

진해 마천만에서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분포

  • 문두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75-280
    • /
    • 1998
  • In order to clarify the seasonal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zooplankton commuuty In Macheon Bay. the study was carried out trimonthly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6 to January 1997. 1 species of Cnidana. 1 species of Annelida, 2 Ima of Moiluscs.3 species of Rotifera, 4 species and 4 larspecies was Tintinnopsis beroidea In the spring, Copepodite In the summer, Tintinnopsis beroidea In the autumn and Ceratium risus In the winter. Abundance of zooplankton ranged firom 4.720 to 41,215 Inds./1 It was high In the summer (41,215 inds./l) and low In the spring 14,720 inds./l). Dominant index ranged from 0.133 (in the spring) to 0.551 (in the winter). Species diversity inden ranged from 1.114 (in the winters to 1.996 (in the spring).

  • PDF

동지나해의 두 해역에 있어서 미세플랑크톤의 분포(예보) (A PRELIMINARY REPORT ON THE DISTRIBUTION, OF MICROPLANKTON IN TWO DIFFERENT AREAS OF THE EAST CHINA SEA)

  • 최정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3-127
    • /
    • 1978
  • Distributions of microplankton in two different regions of the East China Sea were studied based on the plankton samples collected by R. V. Umitaka Maru of Fisheries University of Tokyo, Japan in September, 1975. The abundanc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two areas were interpreted with their temperature-salinity properties. The two areas aye characterized by differences in the depth of thermocline, the nature of surface and bottom waters, and the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microplankton.

  • PDF

출현 양상 기반 소형호 내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동과 다양성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asonal Dynamics of Zooplankton Community and Diversity in Small Reservoir Focusing on Occurrence Pattern)

  • 홍근혁;오혜지;최예림;김준완;최범명;장광현;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56권2호
    • /
    • pp.172-186
    • /
    • 2023
  • 불안정한 천이양상을 보이는 소형 호소는 대형 호소에 비해 동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연구가 미진한 상황이다. 최근 지역 생물다양성 보전의 측면에서 소형 호소의 존재 가치가 부각되면서 생물 군집 동태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 소형 호소의 출현 동물플랑크톤을 월별로 채집하여 계절별 군집 동태를 분석하였다. 소형 호소의 복잡한 동물플랑크톤 군집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 종 출현 패턴을 기반, 4개의 그룹(LALF Group, Low Abundance Low Frequency; LAHF Group, Low Abundance High Frequency; HALF Group, High Abundance Low Frequency; HAHF Group, High Abundance High Frequency)으로 그룹화하였다. 그룹 간 계절적 패턴을 비교하였으며, 각 그룹의 시간적 베타 다양성 기여도를 기반으로 한 다양성을 산출했다. 분석 결과 같은 출현량 경향을 보이지만 상반된 출현 빈도를 보이는 그룹 간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auplius가 세 호소공통으로 높은 출현량과 빈도를 보이는 종으로 나타났다. 적은 개체수를 보이면서 출현 빈도 역시 드물게 나오는 종들이 포함된 그룹인 LALF 그룹에 속한 종이 월별 천이와 다양도에 핵심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해당 그룹에는 Anuraeopsis fissa, Hexarthra mira 및 Lecane luna가 포함되었다. 한편 연중 특정 시기에만 출현하여 수체를 우점하는 종들이 포함된 그룹인 HALF 그룹이 호소 공통적으로 시간적 다양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종 특이적인 출현 패턴이 연내 군집의 생물다양성에 기여하는 종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Distribution, abundance, and effect on plant species diversity of Sasa borealis in Korean forests

  • Cho, Soyeon;Lee, Kyungeun;Choung, Yeons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2호
    • /
    • pp.70-76
    • /
    • 2018
  • Background: Sasa borealis (Hack.) Makino, a clonal dwarf bamboo, is widespread in Korean forests. Although S. borealis is native to that country, its growth habit can cause considerable harm when occupying particular areas where it dominates and influences those forested communities. However, few reports have described the extent of its inhibitory effects on the vigor of co-existing plant specie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bundance, and diversity of other plant species in the communities where this plant occurs in the east-central forests on the Korean Peninsula. Results: S. borealis was most commonly found at an elevational range of 800 to 1,200 m, on gentle, usually lower, and near valley northern slopes. Out of the 13 forest communities based on 447 forest stands that we surveyed, S. borealis was detected in eight communities, mostly where Quercus mongolica dominates. In particular, it was more common in late-successional mixed stands of Q. mongolica, other deciduous species, and the coniferous Abies holophylla. Because of their ability to expand rapidly in the forest, this plant covered more than 50% of the surface in most of our research plots. Species diversity declined significantly (F = 78.7, p = 0.000) as the abundance of S. borealis increased in the herb stratum. The same trend was noted for the total number of species (F = 18.1, p = 0.000) and species evenness (F = 91.5, p = 0.000). Conclusions: These findings clearly demonstrate that S. borealis is a weed pest and severely hinders species diversity. Authorities should be implementing various measures for ecological control to take advantage of declining chance after the recent synchronized massive flowering of S. borealis.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trolling the Number of Ecosystem Disturbance Fish Species Using the Native Carnivorous Fish Species of Korea

  • Lee, Kwang Yeol;Lee, Han Kyu;Lee, Jae Yong;Choi, Jae Seo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66-70
    • /
    • 2018
  •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trolling the number of ecosystem disturbance fishes residing in Togyo reservoir using the native carnivorous fish species were perform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011 to November 2016. The release of native carnivorous fish species was carried out from the end of May, 2012 to the end of July, 2016, considering fishing ban period of Siniperca scherzeri. The comparative abundance of Lepomis macrochirus was found to be 12.8% in the first year and increased a little bit after releasing the native carnivorous fish. However, it decreased to 3.9% in the last year showing a value of less than 5%. On the other hand, the Micropterus salmoides populations tended to increase after the release of native carnivorous fish species.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segregation of habitat by interspecific competition with S. scherzeri. The M. salmoides moved from inside of the lake to edges, and to influent tributaries. Stable isotope analysis showed that Channa argus had the highest levels of nutrition, S. scherzeri and M. salmoides were in competition, and L. macrochirus was used as a feed source for released species. Changes of the fish community in the Togyo reservoir was represented by the rank abundance cur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sh fauna. As a result, the fish group in incoming tributaries are somewhat disturbed after the release of the native carnivorous species. Similarly, the fish group in the reservoir were disturbed as well but it's gradually stabilizing afterwards. Therefore, the control of the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using the native carnivorous fish of Korea is effective and helps to stabilize the fish community in the lake.

저인망에 채집된 남해도 연안해역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 off Namhae Island)

  • 허성회;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3
    • /
    • 1998
  • 1989년 5월부터 1990년 4월까지 매월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소형 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6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i), 도화망둑(Chaeturichthys hexanema), 수염문절(Chaeturichthys sciistius), 청멸(Thryssa kammalensis), 실양태(Repomucenus valenciennei)가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전체 개체수의 66.5%, 그리고 생체량의 34.9%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붕장어(Conger myriaster), 병어(Pampus echinogaster),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민태(Johnius grypotus), 칠서대(Cynoglossus interruptus), 열동가리돔(Apogon lineatus), 보구치(Argyrosomus argentatus), 밴댕이(Sardinella zunasi) 순으로 채집되었다. 본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이 체장 10cm 이하의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남해도 연안해역의 어류 군집은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채집 어종수는 10 ~1월사이에 많았으며, 2~3월에 적었다.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은 4월과 9월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온이 낮은 2~3월에는 채집 어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 PDF

마산만 해역에서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 (Tempor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s in Masan Bay)

  • 곽성남;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2-141
    • /
    • 2007
  • 마산만 해역에서 유자망을 이용하여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7종이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전어(Konosirus punctatus), 숭어(Mugil cephalus), 멸치 (Engraulis japonicus), 샛돔 (Psenopsis anomala), 농어 (Lateolabrax japonicus),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등줄숭어(Chelon affini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였는데, 이들 어종은 전체 개체수의 87.6%와 총 생체량의 95.4%를 차지하였다.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이 뚜렷하였는데, 출현 개체수는 2005년 3월과 7월, 생체량은 2005년 9월과 11월에 높게 나타났다. 한편 출현개체수 및 생체량은 모두 2005년 11월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온이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유자망은 어획대상 어종이나 어획 체장에 강한 선택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상업성어종의 채집에 효율적이었다.

잘피밭 대형저서동물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Benthic Macrofauna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 윤성규;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44-752
    • /
    • 1997
  •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 (eelgrass bed)에서 van Veen grab을 이용하여 1년간 (1994년 $1\~12$월) 매월 대형저서 동물을 채집한 결과, 총 60종이 채집되었으며, 이 중 갯지렁이류가 32종으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갑각류에 속하는 단각류, 십각류, 등각류 등의 순으로 채집되었다.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Platynereis bicanaliculata, Cirratulus cirratus, Cirriformia tentaculata, Lumbrineris longifolia로써 전체 채집 개체수의 약 $63.7\%$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 외, Maldane cristata, Glycera chirori, Capitella capitata, Hemipodus yenourensis, Nephtys polybranchia, Ericthonius pugnax 등이 비교적 많이 채집되었다. 잘피밭에서 저서동물의 출현량은 계절 변동이 뚜렷하였는데, 채집 종수 및 개체수는 겨울에 최소치를 보였으나, 봄에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여름에 최대치를 보였다. 계절별 우점종을 살펴보면, 봄과 여름에는 Platynereis bicanaliculata, Cirriformia tentaculata, Lumbrineris longifolia가 우점하였으며, 가을에는 Cirratulus cirratus, Capitella capitate, Opisthobranchia 등이 우점하였다.

  • PDF

Seasonal Abundance of Culicoides at Yongsan US Army Garrison (USAG) and Camp Humphreys USAG, Republic of Korea, 2010-2013 and 2014-2017

  • Kim, Myung-Soon;Kim, Heung Chul;Bellis, Glenn A.;Chong, Sung-Tae;Kim, Hyo-Sung;Klein, Terry 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273-280
    • /
    • 2021
  • Biting midges (Culicoides: Ceratopogonidae) were collected using New Jersey light traps at Yongsan US Army Garrison (USAG;urba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Camp Humphreys USAG (rural), Pyeongtaek, Gyeonggi-do (province), Republic of Korea , from May-October 2010-2013 and 2015-2017, to determine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distribution patterns in urban and rural habitats. A total of 9,958 female (53.85%) and 8,533 male (46.15%) Culicoides comprising 16 species were collected. Overall, the most commonly collected species was Culicoides arakawae (74.3%), followed by C. circumscriptus (16.2%), C. kibunensis (2.5%), C. nasuensis (2.2%), C. clavipalpis (1.4%), and C. pallidulus (1.3%), while the remaining 10 species accounted for <2.1% of all Culicoides spp. collected. The 2 predominant species collected were C. circumscriptus (47.4%) and C. arakawae (33.4%) at Yongsan, and C. arakawae (90.4%) and C. circumscriptus (3.9%) at Camp Humphreys. The seasonal abundance of these 2 species varied between years and between sites but on average peaked in August-September for C. arakawae and June-July for C. circumscriptus. Annual variations in abundance were observed for most species collected during this study. Unusually high proportions of male specimens were observed for most species at both sites which may be due to the use of the New Jersey trap.

법정보호종, 흰발농게(Austruca lactea) 서식 개체수 추정에 대한 검토와 대안 (Considerations and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Estimation of Local Abundance of Legally Protected Species, the Fiddler Crab, Austruca lactea)

  • 유재원;김창수;박미라;정수영;이채린;김성태;안동식;이창근;한동욱;백용해;박영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2-13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갯벌에서 조사대상으로 삼는 멸종위기야생생물이자 해양보호생물, 흰발농게(Austruca lactea)의 전체 개체수 추정 방법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무한모집단에 대한 전수조사는 불가능하며 이는 갯벌 내 제한된 서식처에서 개체수를 추정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표본으로부터 추정되는 서식 밀도 역시 다양한 생물학적, 생태학적 요인들로 인해 높은 변동성을 보인다. 서식처 경계와 면적은 측정 오차뿐만 아니라 생물의 주기성이나 리듬 활동(주야, 간만 주기 등)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따라서 밀도와 서식처 면적으로 산출되는 전체 개체수는 일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 같은 추정은 인천 송도 갯벌에서 3년 간 관찰된 흰발농게(A. lactea)의 평균 밀도와 표준오차 범위 그리고 공간분포의 시공간적 변동성에 근거하면 타당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출현 확률인 50%를 기준으로, 서식처 보존 가치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잠재적 서식처 면적을 전체 개체수 추정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보편성을 갖춘 모형으로부터 예측되는 잠재적 서식처는 대상종의 주요 환경조건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는다면 시간에 따라 일정한 모습을 유지할 것이다. 특정종을 대상으로 개발되는 모형은 추후 서식처 복원/조성 사업에서도 원하는 생물의 정착을 유도하는데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