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scaling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9초

The Relationships between Benthic Macroinvertebrat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Iancheon and Bukcheon Streams, Korea

  • Bae, Mi-Jung;Park, Seon-Min;Kim, Ja-Kyung;Hong, Jeong-Gi;Ryu, Shi Hyun
    • 생태와환경
    • /
    • 제53권1호
    • /
    • pp.22-30
    • /
    • 202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benthic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an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Iancheon (NIA) and Bukcheon (NBC) streams, Korea. We collected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33 environmental factors in April 2017 at 9 sites (5 sites in NIA and 4 sites in NBC). We identified 93 species(5 phyla, 9 classes, 16 orders, and 53 families) and 69 species(5 phyla, 9 classes, 17 orders, and 47 families) in NIA and NBC streams, respectively. Considering benthic macroinvertebrate index (BMI), NIA (88.2) and NBC (80.2) streams were in "very good" status. Upstream areas showed the highest scores, 95.5 (NIA1) and 94.2 (NBC1), whereas BMI score was the lowest in downstream areas of both streams, especially in NBC4 (51.0 "bad" status).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represented the differenc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according to spatial and anthropogenic gradients. Our findings provide reference data and highlight the need for the continued monitoring to maintain the good status and manage macroinvertebrate diversity in these two streams, in Sangju-si, Korea.

공간적 scaling 기법을 적용한 미계측유역 하천자료의 지역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patial scaling approach for regionalization of streamflow data at ungaged watershed)

  • 김진국;권덕순;최병한;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36
    • /
    • 2016
  • 하천정비나 유역종합 치수계획 등 수자원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 있어 하천의 설계홍수량 추정은 필수적이며, 하천의 수공구조물의 안전성과 수문학적 위험도를 산정하는데도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매년 관측되는 강우량 자료에 비해 유출량 자료의 길이가 비교적 짧아 신뢰성 있는 홍수량자료의 구축이 어려운 실정이며, 미계측 유역에 위치한 중소규모 하천의 설계홍수량과 같은 수문학적 자료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기 수립된 하천정비기본계획의 자료들을 활용하여 유역의 특성(면적, 경사, 고도)이 고려되는 새로운 홍수량 산정식을 개발하였으며, Bayesian GLM(generalized linear method) 기법을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의 지역화를 통한 홍수량의 추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Hierarchical Bayesian 기법을 활용하여 개발된 공식에 활용되는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구간을 산정하였다. Bayesian 기법의 도입으로 산정되는 홍수량의 불확실성 구간을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으며, 제안된 연구 결과는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을 추정하는 도구로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aylor-Couette 흐름에서의 항력 감소에 대한 PEO 점탄성 특성의 공간 가시화 (Spatial visualization of PEO viscoelastic properties on drag reduction in Taylor-Couette flow)

  • 미로젝 미커와이;문혁균;이진기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3-73
    • /
    • 2024
  • The injection of polymer can significantly reduce drag, particularly in the turbulent flow region where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the polymer and turbulent vortices occurs. In this study, Taylor-Couette flow of PEO-in-water solutions with a rotating inner cylinder was analyzed. Despite the shear-thinning behaviour of PEO-in-water solutions being well-documented, for a given range of shear rates their viscosity remains nearly constant. By varying the polymer concentration, we analyzed the torque evolution of different solutions followed by the viscoelasticity effects of the polymer on the interphase transition points. The torque was analyzed using a dimensionless torque scaling method, which allows for the assessment of the fluid's momentum transport capabilities. It was observed that for low concentrations of PEO, the flow behaviour exhibited only minor differences in comparison to that of water, the Newtonian fluid. However, once the PEO concentration exceeded the polymer overlap concentration, the flow behaviour was significantly altered.

유손실 압축, 잘라내기 및 신축에 대해 견고한 HVS 모델 기반 워터마킹 (HVS Model-based Watermarking Robust to Lossy Compression, Cropping, and Scaling)

  • 홍수기;조상현;최흥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8권5호
    • /
    • pp.548-55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인간시각시스템 모델에 기반하여 회전과 이동은 물론 유손실 압축과 잘라내기 및 신축에 대해서도 견고한 디지털 영상 워터마킹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퓨리에 변환과 로그폴라맵핑을 이용하여 회전및 이동에 불변하도록함과 동시에 인간시각스템 모델의 공간주파수 감도를 감안하여 비가시성이 떨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워터마크 에너지를 최대한 인가하고, 각 워터마크 비트들의 정보를 임의 섞음하여 전 영역에 분산 삽입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잘라내기와 유손실 압축과 같은 영상처리나 회전, 이동 및 신축과 같은 기하학적 변형 등에 대해 워터마크 견고성을 더욱 향상시켰다. 또한 워터마크와 템플릿을 교차하지 않게 삽입함으로써 이들의 교차로 인한 비가시성과 견고성의 저하를 방지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워터마킹 방법은 유손실 압축, 잘라내기 및 신축에 대하여 기존방법보다 약 30∼75 [%]정도 더 견고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PDF

원형 패턴 벡터를 이용한 인쇄체 한글 인식 (Recognition of Printed Hangul Text Using Circular Pattern Vectors)

  • 정지호;최태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8권3호
    • /
    • pp.269-28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단일 글꼴에 의존하는 원형 패턴 벡터(circular pattern vectors)를 이용하여 위치 이동, 크기 변화 그리고 회전에 무관한 새로운 인쇄체 한글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2진 형태론(binary morphology)을 이용하여 입력 문자에 존재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한 후, 원형 패턴벡터를 추출한다. 추출된 원형 패턴 벡터는 주어진 문자의 무게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하여 그린 여러 원주 상에 위치한 공간적인 분포 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험 문자는 기준 원형 패턴 벡터와 실험 원형 패턴 벡터간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기준 문자로 인식하게 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크기 변화와 회전 변형이 있는 완성형 바탕체 한글 2,350자를 대상으로 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기존의 고리 투영 알고리즘보다 크기 변화와 회전 변형이 있는 한글 인식에 있어서 우수함을 보였다.

  • PDF

Floating potential에서 유도결합 플라즈마 식각에 의한 GaAs(100) 표면의 형태 변화 (Morphological Evolution of GaAs(100) Surfaces dur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Etching at Floating Potential)

  • 이상호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22
    • /
    • 2007
  • $BCl_3-Cl_2$ 플라즈마에서 이온 강화 식각 시 source power에 따른GaAs(100)의 표면 형태 변화를 연구하였다. Floating potential에서는 이온 포격(bombardment)이 거의 없기 때문에, 화학적 반응에 의존한 순수한 습식 식각에 의해 나타나는 것과 같이 <110> 능선과 {111} facet으로 이루어진 표면이 관찰 되었다. 이러한 형태는 식각 시작후 1분 이내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진다. 동일한 압력에서 source power를 변화시키면 식각된 표면이 다른 형태를 보인다. 100 W 정도의 낮은 source power에서는 결정학적 표면이 형성되지 않지만, 900 W 정도의 높은 source power에서는 결정학적 표면이 잘 형성된다. 이것은 건식 식각에 필수적인 여기된 반응성 물질의 양이 source power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높은 source power에서는 반응성 물질의 농도가 높아지고,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GaAs(100) 표면이 형성 된다. 반면에 반응성 물질이 부족할 경우에는 표면 형태는 sputtering에 의해 결정된다. Scaling theory에 기초한 표면의 통계적 분석 적용 시, 두개의 spatial exponent가 발견 되었다. 하나는 1 보다 작고 원자 수준의 표면형태 형성 기구에 의해 결정되고, 다른 하나는 1보다 크며 facet 형성 기구와 같이 큰 규모의 형태 형성 기구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유도결합 플라즈마 식각시 bias에 의한 GaAs(100) 표면의 형태 변화 (Morphology Evolution of GaAs(100) Surfaces dur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Etching at Biased Potential)

  • 이상호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50-261
    • /
    • 2007
  • [ $BCl_3-Cl_2$ ] 플라즈마에서 GaAs(100)의 이온 강화 식각 시 source power에 따른 표면 형태 변화를 연구하였다. Floating 전위에서는 이온 포격(bombardment)이 거의 없고, 화학적 반응에 의존한 순수한 습식 식각에 의해 나타나는 것과 같이 <110> 능선과 {111} 표면으로 이루어졌다. 900 W 정도의 높은 source power에서는 결정학적 표면이 잘 형성되지만, 100 W 정도의 낮은 source power에서는 결정학적 표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것은 건식 식각에 필수적인 Cl 원자와 같은 여기된 반응성 물질의 양이 source power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높은 source power에서는 반응성 물질의 농도가 높아지고, GaAs(100) 표면은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표면이 된다. 반면에 반응성 물질이 부족할 경우에는 표면 형태는 sputtering에 의해 결정된다. Scaling theory에 기초한 표면의 통계적 분석 적용 시, 두 개의 spatial exponent가 발견 되었다. 하나는 1 보다 작고 원자 수준의 표면형태 형성 기구에 의해 결정되고, 다른 하나는 1보다 크며 facet 형성 기구와 같이 큰 규모의 형태 형성 기구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시료들에 bias가 인가 되면, 표면에 포격이 일어난다. 그 결과 높은source power에서 능선 형성이 억제되고, 낮은 source power에서는 섬들의 형성이 억제된다.

Spatial Variability in Distributio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Subtidal Macronlgal Assemblages Found Along the Geumo Archipelago in the Central South Sea of Korea

  • Kang, Rae-Seon;Lee, Hak-Chul;Oh, Sung-Yong;Kim, Min-Suk;Hong, Kyung-Pyo;Kim, Jong-Ma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543-550
    • /
    • 2004
  • Dense macroalgal assemblages are a common feature of the rocky subtidal habitats along the coast of Geumo Archipelago in the central South Sea of Korea, but are highly variable in space. This study addresses two questions concerning the algal assemblages: (1) how variable the distributio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assemblages are in space, and (2) how closely the distributio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assemblages are correlated to the spatial variation in abiotic factors.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investigated 30 sites along the coast in autumn of 2003. The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trong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species in the assemblages among the sites. The similarity among the sites based on presence/absence data was approximately 51%, whereas the similarity based on abundance data was less than 37%, suggesting that the abundance of species contributed much to these differences. There were also strong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assemblages along the coast.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assemblage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water depth, but less than 58% of total variation in these variables was explained by this abiotic factor. The results suggest that spatial (between habitats) variation is an important and consistent component of subtidal algal assemblages in Geumo Archipelago and should be explained before any differences between localities are assessed.

공간적 다기준평가 기법을 이용한 도시의 삶의 질 분석 (A Spatial Multicriteria Analysis Approach to Urban Quality of Life Assessment)

  • 전병운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22-138
    • /
    • 2008
  • 도시의 삶의 질 분석에 대한 화소기반 기법은 복잡성이라는 조건 하에서의 공간의사결정문제로 간주될 수 있다. 왜냐하면, 도시의 삶의 질 분석은 상이한 가중치가 부여된 여러 개의 평가기준에 기반을 두고 높은 혹은 낮은 수준의 삶의 질을 가진 지역을 도시공간에서 탐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도시의 삶의 질 분석에는 측정단위가 다른 여러 개의 평가기준들의 부적절한 스케일링, 평가자의 판단에 있어서 비구조적인 주관성 그리고 래스터 GIS환경에서 대량의 데이타 처리 등과 같은 어려움이 있다. 도시의 삶의 질 분석에 있어서 이러한 비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인 접근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래스터 GIS 환경에서 도시의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공간적 다기준평가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법론은 애틀란타 대도시권을 사례로 예시되어진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론은 도시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대안적인 접근방법으로 제시된다.

  • PDF

농경지 토양수분 추정 기술 개발을 위한 테스트 베드 데이터 세트 (A Dataset from a Test-bed to Develop Soil Moisture Estimation Technology for Upland Fields)

  • 강민석;조성식;김종호;손승원;최성원;박주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7-116
    • /
    • 2020
  • 본 데이터 논문에서는 관측기반 농경지 토양수분 추정 기술 개발을 위해 서산과 태안에 2019년 5월에 구축한 테스트 베드에서 2019년 한해동안 얻어진 자료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본 데이터는 기상청에서 운영 중인 자동농업기상관측망 중에 하나인 서산 관측소 주변 밭과 인근 태안의 밭에 구축한 테스트 베드에서 얻어진 다양한 생태수문기상학적인 변수들(토양수분, 증발산, 강수, 복사, 기온, 습도, 식생지수 등)을 포함한다. 해당 데이터의 주목할 만한 사항은 (1) 토양수분관측을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및 Time Domain Reflectometry 센서를 이용한 지점관측 뿐만 아니라 COSMIC-ray 중성자 센서로 넓은 공간대표성을 지닌 면적관측을 동시에 수행하여 토양수분의 공간 스케일링 기술 개발 및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 (2) Smart Surface Sensing System을 이용해 작물생육을 함께 감시함으로써 어떻게 토양수분과 작물생육이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 점, (3) 에디 공분산 시스템을 이용해 증발산을 함께 실측함으로써 지면 물수지 전반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