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representation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5초

A Spatial Structural Query Language-G/SQL

  • Fang, Yu;Chu, Fang;Xinming, Ta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860-879
    • /
    • 2002
  • Traditionally,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can only process spatial data in a procedure-oriented way, and the data can't be treated integrally. This method limits the development of spatial data applications. A new and promising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is the spatial structural query language, which extends SQL and provides integrated accessing to spatial data. In this paper, the theory of spatial structural query language is discussed, and a new geographical data model based on the concepts and data model in OGIS is introduced. According to this model, we implemented a spatial structural query language G/SQL. Through the studies of the 9-Intersection Model, G/SQL provides a set of topological relational predicates and spatial functions for GIS application development. We have successfully developed a Web-based GIS system-WebGIS-using G/SQL. Experiences show that the spatial operators G/SQL offered are complete and easy-to-use. The BNF representation of G/SQL syntax is included in this paper.

  • PDF

최소 공간관계를 이용한 효율적인 이미지 검색 (Efficient Image Retrieval using Minimal Spatial Relationships)

  • 이수철;황인준;변광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4호
    • /
    • pp.383-393
    • /
    • 2005
  • 멀티미디어 데이타베이스에서 이미지를 검색하기 위해 공간관계를 이용하는 것은 비주얼한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통해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시스템에서 이미지의 객체들은 2D 스트링으로 표현되고, 이것은 이미지 내의 객체를 추상화 하는 방법으로 객체의 심볼릭 프로젝션을 통해서 생성된다. 그러나 2D 스트링 표현기법을 이용한 이미지 객체간의 공간관계는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3D 이미지를 검색할 때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본 논문에서는 3D 이미지를 위한 공간 연산자를 이용한 공간관계를 제안하고, 이미지의 공간관계에서 중복되는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추론규칙을 이용한다. 이러한 규칙을 기반으로 하는 추론기법은 내용을 이용해 이미지를 검색할 때 질의 처리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기존의 방법보다 정확도와 융통성이 높다.

On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nd Integration Theory for GIS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eological Data

  • Moon, Woo-Il M.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7-48
    • /
    • 1994
  • In spatial information processing, particularly in non-renewable resource exploration, the spatial data sets, including remote sensing, geophysical and geochemical data, have to be geocoded onto a reference map and integrat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pplication of a computer based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f Geological Information System) at some point of the spatial data integration/fusion processing is now a logical and essential step. It should, however, be pointed out that the basic concepts of the GIS based spatial data fusion were developed with insufficient mathematical understanding of spatial characteristics or quantitative modeling framwork of the data. Furthermore many remote sensing and geological data sets, available for many exploration projects, are spatially incomplete in coverage and interduce spatially uneven information distribution. In addition, spectral information of many spatial data sets is often imprecise due to digital rescaling. Direct applications of GIS systems to spatial data fusion can therefore result in seriously erroneous final results. To resolve this problem, some of the important mathematical information representation techniques are briefly reviewed and discussed in this paper with condideration of spatial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on remote sensing and exploration data. They include the basic probabilistic approach, the evidential belief function approach (Dempster-Shafer method) and the fuzzy logic approach. Even though the basic concepts of these three approaches are different, proper application of the techniques and careful interpretation of the final results are expected to yield acceptable conclusions in cach case. Actual tests with real data (Moon, 1990a; An etal., 1991, 1992, 1993) have shown that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methods discussed in this paper consistently provide more accurate final results than most direct applications of GIS techniques.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추출 및 지질 답사 교육 문헌 분석 (Drawing Elements of Inquiry in Field Geology and Analyzing Field Geology Education in Previous Studies)

  • 정찬미;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65-481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국내외에서 수행된 야외 지질 답사 교육이 지질학 참 탐구의 특성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한 문헌 분석 연구다. 이를 위해 먼저 야외 지질학자의 실제 연구 방법 및 과학 교육학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다섯 가지(관찰, 표상, 귀추적 추론, 공간적 사고, 통시적 사고)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구 하위 요소를 추가하여 지질 답사 교육 분석 기준을 개발했다. 분석 대상 사례는 총 53건이었고, 분석은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별 하위 요소 및 탐구 요소 전반이 나타나는 경향에 대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관찰과 표상은 대부분의 사례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귀추적 추론, 공간적 사고, 통시적 사고 순으로 포함된 빈도수가 적었다. 관찰은 목적적 관찰 및 자유 관찰의 비율이 높았고, 표상에서는 시각화 언어화 유형과 자유 양식의 표상이 많이 나타났으며, 귀추적 추론에서는 가설 생성 단계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고 가설 내용은 지질형성 과정과 관련된 경우가 많았다. 공간적 사고에서는 자기 위치화 및 공간 배치 형태 인식 유형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통시적 사고에서는 층서 유형의 사고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3가지 이상의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는 전체 사례의 87%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참 과학 탐구로서 야외 지질 답사 교육의 활용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空間轉向"与叙事空間

  • 조빈;엄영욱
    • 중국학논총
    • /
    • 제66호
    • /
    • pp.1-13
    • /
    • 2020
  • After the "spatial turn" space narrative has become the hottest "doctrine". Howe er, the current space narrative to a bottleneck stage, a variety of reasons. "Spatial turn" of the modern trend of thought has a unshirkable responsibility. Has been, scholars turned to "empty"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pace narrative and, type of narrative space narrative theory problem also not too clear by the noun, the term textual research, narrative of space studies provide some of the necessary theoretical support, to promote the healthy de elopment of the research on novel narrative space.

지능형 가상인간의 공간적 행동을 모사하기 위한 지식구조 (Knowledge Structures to Simulate the Spatial Behavior of Intelligent Virtual Humans)

  • 홍승완;박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30-240
    • /
    • 2020
  • 가상세계 기반 몰입형 가정교사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상황의 다양성과 사실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공간적 측면에서의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상공간의 모델링과 함께 가상인간들의 지식 및 지능적 사유기능이 필요하다. 먼저 공간의 계층적이고 다면적인 구성과 그에 상응하는 가상인간들의 지식을 모사하기 위한 정보구조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2.5차원 공간분포표현, 복잡한 공간관계표현, 객체표현, 사건들의 시공간적 표현을 위한 네 개의 구조를 각각 개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표현된 지식을 사용하여 공간적인 이동을 하는데 필요한 가상인간의 공간적 사유 기능을 개발한다. 일반적으로 사건은 힘을 매개로 인접하거나 연결된 다른 객체들에게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다양한 상황들이 펼쳐지며 관련된 가상인간들이 다음 행동을 계획하는 데에 반영된다. 이를 위해 시공간 표현구조 상에 역사적 흐름에 따라 사건들의 전개를 기록한다. 전형적 사건을 구현하여 가상인간의 복잡한 공간속에서의 자주적 행동의 실현가능성을 보여준다.

동화책에서의 삽화 자동 생성 -삽화를 위한 사건 표현 (On the Automatic Generation of Illustrations for Events in Storybooks: Representation of Illustrative Events)

  • 백승철;이희진;박종철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390-396
    • /
    • 2008
  • 여러 출판물, 특히 아동을 위한 출판문에는 삽화가 포함된다. 동화책 출판 과정에 삽화가 자동으로 생성된다면, 출판과정의 편의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삽화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객체들을 적절하게 배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객체들을 적절하게 배치하기 위해서는 객체들이 불필요하게 겹치는 현상을 줄이고 글에 기술된 공간 상의 관계들을 만족하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간 상의 관계가 표현되도록 삽화로 생성하고자 하는 자연언어문장을 트리 및 술어-논항 구조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어서 이로부터 트리구조의 단일화, 영역 연결 계산을 이용하여 삽화를 생성하는 과정을 논의한다.

  • PDF

실내디자인 이미지 유형의 특성에 따른 표현어휘 연구 - 2008년도 국제박람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language from image features of Interior Design - Focused on 2008 International Fair -)

  • 신동관;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216-224
    • /
    • 2008
  • The represented Design Language have to include design meaning by functions in Interior. It also is able to easy and quick to understand in conversation for the design proposal. In this study, 6 stages suggest for the basic forming image in Interior Design. Those are form, line, space, color, material and principles of design. And essential image language arranged by preceding research. The fundamental 6 elements of space are used for explanation with the minimum method to make consumer understand through some image. Image has the communication function as a visual conversation in Space Design. The purpose of using the image language is the exchange into communication by written visual image. In order to it is necessary to delivery correct meaning of Interior Design for the understand between consumer and designer for the suggestion through images. Therefore, making categories for representation-language from image features of interior design is a important research with the value to share the spatial pattern. It will be expected to add the spatial Image language by processing with new trend.

현대건축의 표피와 공간에 나타난 투명성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Transparency in the Surface and Sp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 윤갑근;강승완;정사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75-82
    • /
    • 2006
  • Discussions on transparency have been being analyzed as variedly as the diversity itself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ough it is inappropriate to summarize the discussions into several specific viewpoints, as the notional classifications on transparency are varied according to the points of individual researchers, it can be said that, by approaching with the standpoint of the designers who may have various difficulties in the course of design, the meaning of this thesis lies largely in the fact that it attempted to study the architectural application techniques of transparency notion both through surface aspect which could be said to decide on the appearance of the architecture shape and through, in physical aspects as a combination of space components comprising the inner space, spatial aspect to which architectural techniques of transparency notion are applied. Through these, we conclude as follows. 1.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Transparency in Surface : Transparency from surface viewpoint could be categorized into 1) emphasis on property-of-matter, 2) lightness of Literal material itself, 3) visual ambivalence, and 4) dematerialized hyper-surface. 2.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Transparency in Space : In spatial viewpoint, transparency is summarized into sub-viewpoints as 1) straightforward space 2) ambiguous spacer 3) expanded space

대규모 인지 시스템을 위한 정성적 지식 모델의 개발 (A Qualitative Knowledge Model for Large Scale Cognitive System)

  • 김현경
    • 인지과학
    • /
    • 제15권4호
    • /
    • pp.15-20
    • /
    • 2004
  • 유연성과 광범위성을 갖는 대규모 인지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 뿐 아니라 상식 수준의 지식을 포함한 대용량 지시베이스의 구축이 필수 불가결하다. 이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지식 표현 및 추론 기법이 핵심적 열할을 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 지식 표현 및 추론 기법을 이미 구축된 범용의 대용량 Cyc 지식베이스와 접목하여, 일상의 상식적인 추론을 제공할 수 있는 인지 시스템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은 구현되어 여러 예제에 적용되어 그 실효성을 입증한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