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Data Infrastructure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33초

GIS Standardization : The American Experience

  • Tom, Henry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99-108
    • /
    • 1999
  • 이제 GIS 표준은 국제적으로 공인된 과정을 거쳐 제정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과 표준자체의 중요성은 물론이며 표준 개발을 의한 GIS 표준 하부구조 즉 범 세계적 공간 정보 하부 구조 (the Glob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GSDI) 의 개발도 아주 중요한 것이다. 기술이란 항상 변하고 있는 것이기에 GSDI등 표준 하부구조가 구축되면 새로운 GIS 표준은 이러한 하부 구조에 의해 쉽게 개발 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구축된 공간 정보 표준 하부 구조는 어떠한 것이 있고 또 앞으로의 GIS 표준 개발 방향은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지 살피고자 한다.

  • PDF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국가별 해외 수출 전략 연구 -캄보디아와 아부다비 에미리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Abroad Export Strategy by Country of Spatial Open Platform -Focused on the Kingdom of Cambodia and the Emirate of Abu Dhabi-)

  • 김걸;정진도;이재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9-21
    • /
    • 2014
  • 공간정보 환경이 최근 플랫폼 중심으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간정보 인프라를 구축할 경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정보 인프라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공간정보 오픈플랫폼(V-World)을 구축 운영하고 있으며, 해외 수출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발도상국가인 캄보디아와 신흥선진국인 아부다비 에미리트의 공간정보 인프라 현황을 구성요소별로 비교하여 국가별 해외 수출 전략을 도출하는데 있다. 캄보디아는 해외 원조를 통해 공간정보 사업을 수행하는 개발도상국이며, 아부다비 에미리트는 풍부한 오일머니의 자금력으로 해외 선진기술과 고급 인력의 적극적인 유치를 통해 공간정보 사업을 수행하는 신흥선진국이다. 이 연구에서는 두 개의 국가별 공간정보의 특성을 고려하여 캄보디아 모델과 아부다비 모델이라는 수출 모델을 정립하고, 각각의 모델에 대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수출 방식과 해외 진출 전략 및 재원조달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확대발전방안 수립 (The Establishment of Service Cloud Based Expansion and Developing Plan for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 윤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67-373
    • /
    • 2016
  • 국가공간정보체계(NSDI)는 국가 공공기관의 공간정보를 통합 연계하여 공동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8년부터 추진되어 2012년 그 사업을 완료하였다. NSDI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각 기관의 공간정보와 NSDI의 공간정보가 동시에 갱신되지 않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최신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공공기관의 공간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사용현황을 살펴보면, 재활용이 가능한 비슷한 서비스가 중복 구축 및 운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이러한 이슈들은 전산자원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의 클라우드 시스템을 NSDI에 적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의 NSDI 확대발전 방안을 다룬다. 제안되는 NSDI의 확대 발전 방안은 공간정보 서비스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방안과 거버넌스 체계 수립방안을 포함한다. 시스템 구축방안에서는 서비스 시나리오, 목표 시스템의 개념도, 그리고 서비스 기능이 도출된다. 서비스 기능에서는 제안된 두 가지 모듈에 대한 단위 기능과 세부 기능을 도출한다. 거버넌스 체계 수립방안에서는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의 NSDI 운영을 위한 서비스 라이프사이클 단계별 조직의 필요역할을 정의하고 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한다. 제안된 시스템 구축방안을 기반으로 상세 시스템을 설계하고 조직을 구성함으로써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의 NSDI 체계가 구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andsat 열적외 영상자료를 활용한 대전시 열 환경 변화 모니터링 (Monitoring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Change in Daejun Using Landsat TIR Satellite Data)

  • 최진호;조현주;정환도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5호
    • /
    • pp.513-523
    • /
    • 2013
  • This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distribution with the case of Daejeon. To do that, this work applied GIS Spatial Statistics to the LandSAT images gathered from 2000 to 2011.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distribution at the time point of 2 showed high spatial autocorrelatio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spatial autocorrelation is need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explanatory power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rmal environment distribution. In the case of the thermal in Daejeon, its positive clustering appeared high at the time point of 2, and its clustering in 2011 more gradually decreased than that in 2000 to 2011. In particular, given the decrease in the core H-H region, it was found that the thermal environment of Daejeon was greatly improved. However, since the rise in the region L-L means another changed like construction of a new city,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proper plan. It is considered that thi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distribution in consideration of spatial autocorrelation L-L be useful for providing a fundamental material necessary for the policy and project of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

SWAT HRU 단위의 경사도/경사장 산정을 위한 SWAT SD-HRU 전처리 프로세서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SWAT SD-HRU Pre-processor Module for Accurate Estimation of Slope and Slope Length of Each HRU Considering Spatial Topographic Characteristics in SWAT)

  • 장원석;유동선;정일문;김남원;전만식;박윤식;김종건;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1-362
    • /
    • 2009
  •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semi-distributed model, first divides the watershed into multiple subwatersheds, and then extracts the basic computation element, called the Hydrologic Response Unit (HRU). In the process of HRU generation, the spatial information of land use and soil maps within each subwatershed is lost. The SWAT model estimates the HRU topographic data based on the average slope of each subwatershed, and then use this topographic datum for all HRUs within the subwatershed. To improve the SWAT capabilities for various watershed scenarios, the Spatially Distributed-HRU (SD-HRU) pre-processor module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o simulate site-specific topographic data. The SD-HRU was applied to the Hae-an watershed, where field slope lengths and slopes are measured for all agricultural field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D-HRU pre-processor module needs to be applied in SWAT sediment simulation for accurate analysis of soil erosion and sediment behaviors. If the SD-HRU pre-processor module is not applied in SWAT runs, the other SWAT factors may be over or under estimated, resulting in errors in physical and empirical computation modules although the SWAT estimated flow and sediment values match the measured data reasonably well.

국토공간정보를 이용한 국토공간계획수립방안 (The Study on the National and Urban planning by using Spatial Data Information Infrastructure.)

  • 최봉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2-156
    • /
    • 2004
  • 국가지리정보구축사업(이하 NGIS 사업)이 마무리되면서 국토공간에 대한 기반정보들이 구축되어 가고 있지만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는 문제의 원인이 국토정책의 내재적 문제에서 기인하는 것인지, 아니면 NGIS 사업의 특성상 나타나는 문제인지를 살펴보고, 국토정책에서 NGIS 사업의 성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국토정책이 당면한 정책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 PDF

지방자치단체를 위한 3차원 공간정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mands and Utilization of 3D Geo-spatial Data in Local Governments)

  • 최봉문;임영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74
    • /
    • 2006
  •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각종 정보화 의식의 진전에 따라 늘어나고 있는 3차원 공간정보 구축에 있어서 그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자체의 업무와 시민 생활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결과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업무를 대상으로 3차원 공간정보 수요 분석에 기반한 지자체 실정에 맞는 3D GIS의 활용 유형, 활용 추진 방안, 그리고 장기적 활용 비전을 제시하였다.

  • PDF

공간빅데이터 개념 및 체계 구축방안 연구 (Study for Spatial Big Data Concept and System Building)

  • 안종욱;이미숙;신동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5호
    • /
    • pp.43-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공간빅데이터에 대한 개념과 효과적으로 공간빅데이터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빅데이터는 3V(volume, variety, velocity)로 정의되고 있는 빅데이터를 6V(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ization)의 빅데이터로 진화시키는 기반이라 할 수 있다. 공간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공간빅데이터체계는 국가공간정보기반, 융합플랫폼, 서비스제공자, 생산요소제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공간빅데이터체계의 구성요소는 인프라(하드웨어), 기술(소프트웨어), 공간빅데이터(데이터), 인력, 법 제도 등이며,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을 위한 목표로 공간기반 정책수립 지원, 공간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산업활성화, 공간 빅데이터 융합기반 조성, 공간관련 사회현안의 적극적 해결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목표에 대한 추진전략은 범정부적 협력체계 구축, 신산업 창출 및 활용 활성화, 성과활용 중심의 공간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공간빅데이터 관련 기술경쟁력 확보로 제시하였다.

공간정보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연구 : 미국 NSDI의 CAP 사례를 중심으로 (A Strategy for Activating Spatial Data Community : A Case of the NSDI CAP(Cooperative Agreements Program) in U.S.)

  • 김호용;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6-39
    • /
    • 2011
  • 본 연구는 공간정보의 협력적 활용을 위한 커뮤니티 지원 프로그램인 미국 NSDI의 CAP(Cooperative Agreements Program)을 대상으로 공간정보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과 그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커뮤니티 지원을 위해 CAP에 채택된 20여개 카테고리의 변화 추세와 10년간 지원된 350여개의 사례를 살펴본 바, 지원 카테고리는 NSDI가 2004년 'Future Directions Initiative'를 발표한 시점을 기준으로 메타데이터 중심의 표준화 보급 부문 위주에서 파트너십 강화와 연계하여 NSDI의 모든 구성요소를 CAP 프로그램의 지원 카테고리로 적용하는 변화가 이루어졌다. CAP의 역할과 관련해서는 커뮤니티를 NSDI의 확장성과 지속성의 핵심요소로 파악하고 공간정보 사용자 역할만이 아닌 공급자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실행방안으로 CAP을 활용하였다. CAP의 효과로는 커뮤니티 활성화에 따라 수요자가 다양화되어 공간정보시장 내 수요를 확대하고 비즈니스 부문이 활성화되는 등의 공간정보시장 구조의 개선에 긍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공간정보시스템 개편 추진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

  • 김정현;김순한;김선규;김상민;정재훈;허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73-383
    • /
    • 2015
  • 공간정보는 국토의 효율적 관리와 재해·재난·환경·시설물·기업마케팅·문화재 관리 등 사회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수요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는 데이터 품질이 확보된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국가공간정보시스템(국토교통부 국토정보정책관실에서 관리하는 15개의 공간정보 관련 시스템) 체계를 구축해야하며, 이를 통해 정책결정이나 민원지원에서 공간정보의 활용과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가공간정보시스템은 개별 업무처리 위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분산된 연계 채널로 인해 데이터 중복구축과 품질 저하라는 문제가 발생하여 공간정보의 공개·개방이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공간정보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에 가치사슬 모형을 적용하여 ‘생산·구축’, ‘통합·공유’, ‘응용·융복합’, ‘공개·개방’ 이라는 4단계의 공간정보 데이터 흐름 기준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15개의 국가공간정보시스템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가공간정보시스템 개편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국가공간 정보시스템의 개편 모델과 순환체계를 통해 최신성·일관성·정확성·연계성이 확보된 공간정보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요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공공활용 및 민간개방 활성화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