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Data Format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4초

MHEG 엔진에서의 멀티미디어 정보 동기 제어기 (Synchronization Controller for Multimedia Object in MHEG Engine)

  • 조성빈;이해원;김진석;박성열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275-282
    • /
    • 1996
  •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호 교환하고, 작성자가 의도한 대로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해 서는 정보의 상호 교환 포멧과 미디어들간의 동기화가 필요하며, 사용자와의 빈번한 상호 동작을 통해 프리젠테이션해야 하는 멀티미디어 응용을 지원하기 위해 서는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기법이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 문에서는 국제표준으로 정의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MHEG엔진에서 조건적, 시간 및 공간적 동기화의 제어와 그리고 멀티미디어 정보를 프티젠테이션하는데 필요한 미디어 데이타들을 결합하여 동기화된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프리젠테이션 도중에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들여 사용자와 MHEG엔진과의 대화형 처리를 가능하도록 개선된 MHEG엔진에서의 멀티미디어 정보 동기 제어기 및 제어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GIS기법을 이용한 변전소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te Selection of Transformer Substation Using GIS)

  • 윤공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9-36
    • /
    • 2006
  • 변전소와 같은 사회적으로 위험물로 인식되는 공공시설물에 대한 부지를 선정 할 경우에는 다른 어떤 시설물보다 부지 선정시 과학적이고 공정한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분석과정과 GIS의 공간분석 기능을 통하여 경기도 남부 지역의 변전소 선정에 요구되는 자료들을 축척 1/5,000 수치지도 및 현지 조사로부터 취득하여 최적의 위치를 안전성, 국가토지이용, 경제성 및 환경보전측면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실제 처리과정에서 대상지역 전체에 대하여 1차적으로 반경 1.5km의 3개 지역에 대한 우선후보군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후보군에 대하여 2차 현지 상세조사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변전소가 건설될 4개의 후보 부지에 대한 다원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정량적 분석을 통한 위치의 적정성에 대한 결론을 도출 하였다. 적지분석 결과 1후보 부지인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장서리 지역이 최적지로 나타났으며 다른 후보 부지들도 대체적으로 좋은 입지여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산광역도시권 설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linea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Region, Korea)

  • 이희열;주미순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7-181
    • /
    • 2007
  • 본 연구는 부산을 중심도시로 하여 부산의 영향권에 포함될 수 있는 주변 배후지역의 범위를 파악하여 부산광역도시권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도시권 설정의 기준과 기존의 부산광역도시권 설정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중심도시 부산과 주변지역 간의 연계성은 통근율과 역통근율 지표를, 중심도시 주변 지역들의 도시성은 농가율, 전업농가율, 인구밀도, 도시적 토지이용율 지표를 이용하여 새로운 부산광역도시권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부산광역도시권은 부산을 중심도시로 하여 울산시,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 김해시, 밀양시, 양산시 등 7개 주변지역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변지역은 진해시, 김해시, 양산시를 포함하는 내측주변지역과 울산시, 창원시, 마산시, 밀양시를 포함하는 외측주변지역으로 구분되었다.

  • PDF

Towards Low Complexity Model for Audio Event Detection

  • Saleem, Muhammad;Shah, Syed Muhammad Shehram;Saba, Erum;Pirzada, Nasrullah;Ahmed, Masoo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9호
    • /
    • pp.175-182
    • /
    • 2022
  • In our daily life, we come across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format of multimedia and text. We all need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for our common routines as watching/reading the news, listening to the radio, and watching different types of videos. However, sometimes we could run into problems when a certain type of information is required. For example, someone is listening to the radio and wants to listen to jazz, and unfortunately, all the radio channels play pop music mixed with advertisements. The listener gets stuck with pop music and gives up searching for jazz. So, the above example can be solved with an automatic audio classification system. Deep Learning (DL) models could make human life easy by using audio classifications, but it is expensive and difficult to deploy such models at edge devices like nano BLE sense raspberry pi, because these models require huge computational power like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to solve the problem, we proposed DL model. In our proposed work, we had gone for a low complexity model for Audio Event Detection (AED), we extracted Mel-spectrograms of dimension 128×431×1 from audio signals and applied normalization. A total of 3 data augmentation methods were applied as follows: frequency masking, time masking, and mixup. In addition, we design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ith spatial dropout, batch normalization, and separable 2D inspired by VGGnet [1]. In addition, we reduced the model size by using model quantization of float16 to the trained model.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updated dataset provided by th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Acoustic Events and Scenes (DCASE) 2020 challenge. We confirm that our model achieved a val_loss of 0.33 and an accuracy of 90.34% within the 132.50KB model size.

스마트폰에서 운전자 이동패턴을 이용한 맵매칭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riving Pattern based Map Matching on Smart Phone)

  • 황재윤;최세휴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47-56
    • /
    • 2015
  • 최근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의 그룹주행, 위치공유 등 다양한 최신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스마트폰에는 다양한 목적을 가진 많은 앱이 설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앱이 사용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한정적이다. 그래서 내비게이션 전용기기에서 맵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량이 큰 도로네트워크 데이터를 스마트폰에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맵매칭을 할 수 없다. 또한, 외부 GPS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의 경우 내비게이션 전용기기에 비해 GPS 위치측위가 부정확하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은 정확한 위치 안내를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에서 정확한 위치 안내를 위해 내비게이션 전용기기에서 사용되는 도로네트워크 정보를 새로운 도로네트워크 포맷 설계 및 변환으로 용량을 감소시키고 운전자의 운전 패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기존 내비게이션 전용기기 맵매칭 보다 정확한 맵매칭을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맵매칭이 어려운 여러 도로가 만나는 교차로, 고속도로에 인접한 좁은 도로, GPS 오차가 많이 발생하는 빌딩 숲 등에서 내비게이션 전용기기와 비교분석을 통해 스마트폰에서 기존 내비게이션 전용기기보다 80% 이상의 작은 저장 공간의 사용으로 보다 정확한 맵매칭이 가능했으며 향후 내비게이션뿐만 아니라 GPS 위치측위와 지도를 사용하는 다양한 앱에서 더욱 정확한 위치기반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비쿼터스 기반의 도시시설물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ing Management System for Urban Facilities Based on Ubiquitous)

  • 최병길;이철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통권39호
    • /
    • pp.61-66
    • /
    • 2007
  •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반으로 도시의 각종 시설물들을 관리할 수 있는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도시시설물을 대상으로 하여 관리대상별 항목, 유형, 코드 등의 데이터 포맷을 정의하고, 논리모델 수립 및 데이터 모델링 과정을 거쳐 도시시설물의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데이터베이스를 각 도시시설물들의 RFID Tag에 입력하고, RFID Reader와 PDA를 이용하여 도시시설물의 기본속성 정보 및 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구축된 유비쿼터스 기반의 도시시설물 종합관리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한 결과 대상 시설물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수정입력이 가능하였다. 또한 RFID Tag와 GPS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위환경 및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하드웨어 조합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환경에서 GIS 기반의 교통정보 전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nsmitting GIS-based Traffic Information using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이봉규;송지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9-36
    • /
    • 2004
  • 본 연구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환경 하에서의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교통정보 전송 기술을 FM DARC(FM data radio channel)와 비교 분석하여 DMB 시스템 개발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적인 지능형교통시스템(ITS) 구축의 확산과 탤레매틱스(telematics) 산업의 약진 그리고 방송과 통신의 융합(convergence) 및 유비쿼터스(ubiquitous)와 같은 통신방식의 진화에 따라 GIS 기반의 교통정보 전송에 대한 표준화와 기술 개발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송매체에 따라 GML(geography markup language)이나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되는 GIS 포맷이나 프로토콜 및 표준화는 상이하며, 이에 대한 교통이나 통신 분야의 기술개발 및 국제표준규격 등은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방송망을 이용한 교통정보 전송 기술의 발전 동향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교통정보 전송 기술을 중심으로 FM DARC와 DMB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GIS 기반기술을 비교 분석해 보도록 한다.

  • PDF

움직임과 DCT 계수를 이용한 압축영역에서 MPEG 비디오의 인덱싱과 검색 (Video Indexing and Retrieval of MPEG Video using Motion and DCT Coefficients in Compressed Domain)

  • 박한엽;최연성;김무영;강진석;장경훈;송왕철;김장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21-132
    • /
    • 2000
  • 본 대부분의 비디오 인덱싱 어플리케이션들은 빠르고 효과적인 저장, 브라우징, 검색 기법들을 요구한다. 현재까지 연구된 많은 기법들은 그 처리 영역이 화소 영역에 대해서만 다루어 왔다. 이런 접근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일반적으로 압축된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해독, 재압축에 따른 높은 오버헤드를 초래한다. 반면에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가 주어질 때, 압축된 데이터를 직접 분석할 수 있다면 화소단위 처리에서 생기는 오버헤드를 피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 정보를 직접 분석하여 비디오 인덱싱에 유용한 특징들을 추출한다. 이러한 특징들을 이용하여 컷 검출을 위한 기법을 유도하여 스트림을 샷으로 분할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공간적 정보(DCT 계수)와 시간적 정보(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간단한 키 프레인 선택 기법과 효과적인 비디오 인덱싱 기법을 제안한다.

  • PDF

IFC를 이용한 IndoorGML 데이터 자동 생성에 관한 연구 - Primal Space를 중심으로 - (A Study of IndoorGML Automatic Generation using IFC - Focus on Primal Space -)

  • 남상관;장한메;강혜영;최현상;이지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23-633
    • /
    • 2020
  • 사람들이 실내공간에서 소비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들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내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되어 있는 BIM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데이터로부터 실내공간정보 국제표준 데이터인 IndoorGML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대표적인 BIM 데이터 자료인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 데이터를 IndoorGML로 변환하기 위하여 IFC 객체들의 특성을 조사하고, IndoorGML로 변환이 필요한 객체들을 선별하였으며 실내공간의 표현과 내부통행에 제약을 주는 객체로 구분하였다. 또한 개발된 변환도구를 이용하여 빔서버(BIMserver) 깃헙(github)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셋 일부와 서울시립대학교 21세기관 IFC모델을 IndoorGML의 PrimalSpaceFeatures 데이터로 구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IFC 데이터를 IndoorGML로 변환한 결과 기하정보를 손실 없이 IndoorGML문서가 생성되었으며, IndoorGML이 가지고 있는 특징인 NavigableBoundary가 정확하게 생성되는 결과를 보였다. 추후, 다양한 형태의 IfcStair 객체를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프라이멀 스페이스(PrimalSpace) 데이터를 이용하여 듀얼 스페이스(DualSpace) 데이터인 MultiLayeredGraph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건축설계 지원을 위한 GIS 데이터 활용 시스템 (A system on using GIS data to support architectural design)

  • 김언용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69-184
    • /
    • 2016
  • 건축설계 초기 단계에서 대상 대지에 대한 지리 공간 정보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러한 정보의 취득은 상당한 시간 및 노력이 요구되는 일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GIS 정보의 효과적 취득을 위해 현재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서비스 되고 있는 국가공간정보유통시스템인 Vworld의 정보를 건축설계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하는 방법은 Vworld 에서 제공하는 Open API를 이용하여 건축설계 초기단계에 필요한 지형 형상, 지적도 및 토지의 용도, 개발제한 사항 등을 BIM 설계용 소프트웨어에서 검색 및 즉시 활용 할 수 있는 BIM/GIS통합 방법이다. 이를 통해 BIM 분야에서는 GIS분야에서 구축한 도시설계관련 정보를 활용 할 수 있고, GIS는 건축분야에서 구축한 건물관련 정보를 이용함으로서 지리 및 공간정보를 풍성하게 구축 및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시스템은 BIM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설계하는 건축설계자들이 프로젝트관련 지리공간정보를 취득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