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rassis latifolia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The mycelial growth and ligninolytic enzyme activity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 Sou, Hong-Duck;Ryoo, Rhim;Ka, Kang-Hyeon;Park, Hyun
    •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158-163
    • /
    • 2017
  • We examined the activities of lignin-degrading enzymes of the mycelium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Three different strains of S. latifolia collected from several sites in Korea and one crossbred strain were cultured on potato dextrose broth (PDB) and Kirk's medium in order to study the activities of their ligninolytic enzymes. Mycelial growth reached maximum levels between 14 and 21 days after inoculation and pH increased by 0.12 units over 35 days. Laccase activity began increasing after 14 days on both types of media. Manganese peroxidase (MnP) activity followed a trend similar to that of laccase on Kirk's medium, but not on PDB. The activity of lignin peroxidase (LiP) differed from that of other enzymes; its activity decreased by half after 14 days on PDB but remained constant on Kirk's medium over 35 days. The total protein concentration increased considerably after 14 days and peaked at 21 days on PDB. A similar maximum was attained on Kirk's medium. In contrast, the residual glucose increased rapidly at 14 days on Kirk's medium, while increasing gradually up to 28 days on PDB. This study indicates that S. latifolia is more similar to white rot fungi than to other brown rot fungi.

꽃송이버섯(Sparassis latifolia) 추출물 소수성 분획의 항암 활성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f hydrophobic fractions of Sparassis latifolia extract using AGS, A529, and HepG2 cell lines)

  • 최문희;한효경;이용조;조한교;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4-310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꽃송이버섯 (Sparassis crispa, formerly S. crispa) 에탄올 추출물의 소수성 분획을 분리하고 각 분획의 DPPH 항산화 활성과 위암 (AGS), 폐암 (A529), 간암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항암 활성을 MTT assay를 통해 확인 하였다. SOCC를 사용하여 총 18개의 fraction으로 분획하였고 TLC와 세포주를 이용한 항암 활성 확인을 통하여 5개의 fraction으로 압축하였다. 항암활성이 높은 5개의 fraction은 HPLC-MS를 통해 각 분획물을 분석한 결과 항산화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약 181.0의 분자량을 가진 물질이 지표물질로 확인되었으므로 이 물질의 화학식 동정을 위하여 추가실험이 필요하다. 세포주를 이용한 항암실험 결과 꽃송이버섯 추출물은 위암 (AGS), 폐암 (A529), 간암 (HepG2) 세포주 모두에서 양성대조군인 paclitaxel보다 낮은 세포 생존율을 보여 주었으며($IC_{50}$ value), 이것은 추후 꽃송이버섯 추출물에 포함된 항암 물질 분리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 결과로서 무척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꽃송이버섯(Sparassis latifolia) 생육배지 조성에 따른 재배특성 및 수량 (Cultivation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parassis latifolia depend on the substrate mixture)

  • 허병수;최규환;조영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1-68
    • /
    • 2022
  • 전라북도농업기술원이 육성한 꽃송이버섯 '너울'의 표준 생육배지 구명을 위해 톱밥과 첨가물의 종류, 배합비를 달리하여 재배특성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톱밥 종류에서는 낙엽송 처리가 재배일수 97일로 가장 짧았으며 수량 역시 143.6 g으로 우수함에 따라 꽃송이버섯 재배에 적합한 수종으로 판단된다. 첨가물 선발시험에서는 수량이 밀기울 처리에서 116.6 g으로 가장 많았고, 수율 역시 밀기울 처리에서 53.1%로 가장 높음에 따라 꽃송이버섯 생산에 적합한 첨가물로 밀기울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낙엽송 톱밥:비트펄프:밀기울을 이용한 배합비 조성에 따른 시험 결과, 수량은 80:15:5와 85:10:5 처리에서 각각 114.4 g, 111.4 g이었고, 수율은 85:10:5 처리에서 52.5%, 80:15:5 처리에서 51.8%였으나 수량과 수율에서 두 처리간의 통계상 유의성이 없었다. 따라서 꽃송이버섯 생산에 적합한 표준 생육배지로는 낙엽송 톱밥:비트펄프:밀기울을 이용한 80:15:5 또는 85:10:5 배합비가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꽃송이버섯 재배에 적합한 C/N율은 184~223 수준임을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배지의 C/N율이 105 이하일 때는 발이가 어려움에 따라 꽃송이버섯 재배에 있어서 배지 pH 외에 배지의 C/N율 역시 발이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및 폴리페놀 함량 변화 (Antioxidant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Sparassis latifolia extracts)

  • 양승화;이용조;김다송;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8-27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꽃송이버섯을 4종의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L. acidophilus, L. helveticus,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을 사용해 발효를 하였다. 발효된 꽃송이버섯 발효물을 항산화 활성(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 activity, 총 폴리페놀 함량(TPC), HPLC 분석, protease 활성을 동해 발효 전 후 생리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은 IC50 28.09-64.46 ㎍/mL, SOD 활성은 IC50 15.75-39.42 ㎍/mL, TPC는 57.66-100.43 GAE ㎍/mL 와 85.25-110.68 ㎍/mL 로 확인되었다.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보다 약 8배 이상 증가된 결과로 확인되었다. 또한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HPLC 분석 결과는 ascorbic acid, gallic acid, chlorogenic acid의 함량이 높게 확인되었으며, protease 활성 또한 발효물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Lactobacillus 균주들의 작용에 의하여 꽃송이버섯이 발효되면서 폴리페놀류가 증가하여 생리활성이 꽃송이버섯 추출물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Lactobacillus 균중에서 L. helveticus 균주로 발효된 꽃송이버섯 발효물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꽃송이버섯을 발효하는데 있어 L. helveticus 균주가 가장 적합한 균주로 확인되었다.

기주식물에 따른 꽃송이버섯의 Methyl orsellinate와 Sparassol의 함량 (The Quantities of Methyl Orsellinate and Sparassol of Sparassis latifolia by Host Plants)

  • 김민수;이경태;전성민;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36-242
    • /
    • 2013
  •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은 배양과정에서 항균물질인 sparassol, methyl orsellinate (ScI)와 methyl-dihydroxy-methoxy-methylbenzoate (ScII) 등의 화합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ScI와 ScII는 sparassol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꽃송이버섯의 액체배양 시 균사체가 생산하는 항균 물질인 methy1 orsellinate와 sparassol을 분리하여 NMR과 ESI-MS 분석을 통해 그 구조를 동정하였으며, HPLC 분석을 통해 methy1 orsellinate와 sparassol의 retention time은 각각 15분과 31분임을 확인하였다. S. latifolia의 화합물 생산 양상은 크게 4가지로 대별되며, 균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기주식물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본잎갈나무와 잣나무에서 분리된 균주는 서로 다른 생산 양상을 보인 반면, 소나무와 전나무에서 분리된 균주는 동일한 생산 양상을 나타냈다. 균체량과 화합물 생산량과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Methy1 orsellinate 생산량은 낙엽송에서 분리된 KFRI 645 균주가 0.170 mg/ml로 가장 높았으며, sparassol 생산량은 소나무에서 분리된 KFRI 747 균주가 0.004 mg/ml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꽃송이버섯 균주들의 methyl orsellinate와 sparassol의 생산 양상은 기주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아미노산 첨가가 꽃송이버섯 균사체 성장 및 베타글루칸, GABA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amino acids on the mycelial growth and the contents of β-glucan and γ-aminobutyric acid (GABA) in Sparassis latifolia)

  • 조한교;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8-44
    • /
    • 2017
  • 최근 식용과 약용버섯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꽃송이버섯(Sparassis latifolia 혹은 S. crispa)은 베타-글루칸이 풍부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꽃송이버섯에 다량 포함된 베타-글루칸과 더불어 뇌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영양성분이 보강된다면 약용버섯의 기능성이 더욱 증대되어 농가소득 증대와 국민 건강증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 시 아미노산을 첨가하였을 시 균사 생장이 촉진됨과 함께 GABA 함량이 증대되었고, ${\beta}-glucan$ 함량에는 유의적인 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균사의 생장에는 glutamic acid와 ornithine 모두 효과가 있었으나, GABA 함량에 대해서는 glutamic acid의 첨가가 훨씬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꽃송이버섯 균사체의 GABA-shunt에 glutamic acid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생성된 GABA의 소멸과 다른 화합물의 신규 생성에 대해서는 아직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Enhancement of ${\beta}$-Glucan Content in the Cultiva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by Elicitation

  • Park, Hyun;Ka, Kang-Hyeon;Ryu, Sung-Ryul
    • Mycobiology
    • /
    • 제42권1호
    • /
    • pp.41-45
    • /
    • 2014
  • The effectiveness of three kinds of enzymes (chitinase, ${\beta}$-glucuronidase, and lysing enzyme complex), employed as elicitors to enhance the ${\beta}$-glucan content in the sawdust-based cultiva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was examined. The elicitors were applied to the cauliflower mushroom after primordium formation, by spraying the enzyme solutions at three different levels on the sawdust-based medium. Mycelial growth was fully accomplished by the treatments, but the metabolic process during the growth of fruiting bodies was affected. The application of a lysing enzyme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beta}$-glucan concentration by up to 31%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However, the treatment resulted in a decrease in mushroom yield, which necessitated the need to evaluate its economic efficiency. Although we still need to develop a more efficient way for using elicitors to enhance functional metabolites in mushroom cultiv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licitation technique can be applied in the cultivation of medicinal/edible mushrooms.

Characteristics of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of Sparassis latifolia strains and selection of suitable incubation conditions in liquid spawn

  • Lee, Yunhae;Gwon, Heemin;Jeon, Daehoon;Choi, Jongin;Lee, Youngsoon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29-29
    • /
    • 2018
  • Sparassis latifolia is called "Cauliflower Mushroom" and is known as an edible mushroom that has high content of ${\beta}$-glucan. Recently, artificial cultivation of S. latifolia has been done by bottle, plastic bag and wood cultivation in Korea. However it is not widely used because there are low incubation ratio and yield. For the high efficiency of production, we aim to find the superior strains and media for better mycelial and fruit body growth. First, we analyzed the genetic relationship among 31 strains and divided five groups with three kinds of URP primers. And then ten strains were selected from five groups based on the experiment of mycelial growth. The suitability of media for mycelial growth was different according to media type. The suitable solid and liquid media for mycelial growth of S. latifolia isolates were PDA and M2, respectively. In addition, with regard to C/N ratio, the mycelial growth increased even until C/N 160. Second, we investigated the production of fruitbody of the strains by plastic bag cultivation. The substrate was mixed with larch sawdust, corn flour, and wheat flour (8:1:1, v/v). Moisture content of substrate was controlled by about 60% with 10% molasses solution. Out of 31 strains, 19 strains formed primordia. The eight strains produced more than 140g/1kg in fresh weight. Third, molasses culture media was selected for the mycelial growth. And molasses suitable sugar content and input aeration were around 8Brix% and 0.3~0.6vvm, respectively. The longer the incubation period is, the more dried weight of mycelia increased, but medium volume decreased. Therefore, the best incubation period was 9 to 11 days depending on strains. In the future, research project entitled development of culture system and new variety for stable production of S. latifolia will be considered as a new item.

  • PDF

꽃송이버섯 액체종균배지 및 배양조건에 따른 균사 배양 특성 (Mycelial growth characteristics of Sparassis latifolia according to liquid media and incubation conditions)

  • 이윤혜;권희민;구옥;최종인;전대훈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6-102
    • /
    • 2018
  • 꽃송이버섯 안정생산을 위해 액체종균배지조성 및 배양조건에 관한 연구결과, 물엿을 8Brix%로 조절하고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를 0.2%첨가한 배지에서 균사생장량이 우수하여 적합 배지로 선발하였다. 통기량에 따른 $CO_2$ 발생량은 배양 9일까지 증가하다 감소하였고, 통기량이 높을수록 균체직경은 작아지고 배지감소율은 증가하여 통기량 0.9vvm이상에서 배지감소율이 급증하여 꽃송이버섯 액체종균에 적합한 통기량은 0.3~0.6 vvm 이 적합하였다. 또한, 배양기간일 길수록 균체량이 많았으나, $CO_2$ 발생량이 높고 배지감소율이 낮은 9~11일을 적합 배양기간으로 설정하였다.

해조류 기반 엘리시터 처리에 의한 꽃송이버섯의 GABA 함량 증가 및 흥분성 신경세포의 수상돌기 발달 억제 (Enhanced GABA content from sodium alginate-induced Sparassis latifolia influences dendrite development in primary cortical neurons)

  • 최문희;기성환;이성은;이금화;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5-283
    • /
    • 2019
  • Sparassis latifolia is a fungus abundant in β-glucan and amino acids and is highly valued as a medicinal mushroom. Among amino acids, γ-aminobutyric acid (GABA) is a free amino acid and has biological effects, such as increase/decrease of hypertension, improvement of cerebral blood flow, and prevention of dementia. In this study, biological elicitors were used to increase bioactive substances as a biofortification method. Sodium alginate extracted from seaweed (Sargassum horneri, Sargassum fulvellum, Sargassum fusiforme) were used as the elicitor. The levels of β-glucan and GABA in the mycelium and fruiting body grown by adding the elicitor to the medium were investigated. Addition of sodium alginate positively affected GABA production and negatively affected the β-glucan production in these fungi. Sodium alginates extracted from S. fulvellum induced the highest increase in GABA in the mycelium and fruiting bodies. Moreove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mycelium and fruiting bodies on dendrite development in primary cortical neurons. We found that the extract from the fruiting bodies of sodium alginate treated fungi with increased levels of GABA inhibited the dendrite outgrowth of excitatory neurons, but not inhibitory neur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