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growth data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1초

대호 간척지 토양의 염농도별 밭작물의 염해 평가 (Assessment of Salt Damage for Upland-Crops in Dae-Ho Reclaimed Soil)

  • 이승헌;류순호;설수일;안열;정영상;이상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58-363
    • /
    • 2000
  • 대호 간척지에서 제염진행 기간 중 우선 도입 가능한 작물을 선발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호 간척지에서 염농도별로 채취한 토양을 사용하여 8가지 작물(배추, 무, 토마토, 고추, 메밀, 콩, 참깨, 들깨)을 Pot 재배하여 염농도별 장해정도를 평가하였다. 토양 포화침출액의 염농도는 1, 3, 9, 14 및 $16\;dS{\cdot}m^{-1}$ 의 5수준으로 하고 1998년 10월 작물을 파종하여 11월 수확하기까지 37일간 재배하였다. 파종 후 2주, 4주, 그리고 작물체 수확 직전에(5주) 각 작물의 최대초장, 본엽수를 조사하였고, 수확 후 생체중을 조사하였다. 공시작물의 출아율은 5개 수준 모든 염농도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작물 생육상태(초장, 엽수)의 경시적 변화는 염농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참깨의 경우 초기에는 출아율이 비교적 높았으나 3주 이후에는 모든 염농도 수준에서 고사하였다. 수확 후 작물의 건물중도 염농도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염류장해가 없을 때의 생장량 대비 건물중의 50%가 감소되는 염농도는 무; $14.2\;dS{\cdot}m^{-1}$, 배추; $11.4\;dS{\cdot}m^{-1}$, 고추; $10.2\;dS{\cdot}m^{-1}$, 메밀과 들깨; $8.9\;dS{\cdot}m^{-1}$, 콩; $8.6\;dS{\cdot}m^{-1}$, 그리고 토마토; $6.8\;dS{\cdot}m^{-1}$ 이었다. 생육 저해가 시작되는 범위 이상의 염농도에서 메밀은 염농도가 $1\;dS{\cdot}m^{-1}$ 높아질 때 건물 감소율이 7.7% 이었다. 그 다음이 들깨로 6.5% 이었고, 배추는 5.9%, 무는 5.6%, 콩은 5.2%, 그리고 토마토와 고추는 4.9%의 건물중 감소율을 보였다. 참깨를 제외한 7가지 공시 작물 모두 시험기간 중 생존이 가능한 염농도는 $15.4\;{\sim}\;23.1\;dS{\cdot}m^{-1}$ 이었다.

  • PDF

콩 종실 및 생육형질 연관 분자표지 탐색 (QTL Analysis of Seed and Growth Traits using RIL Population in Soybean)

  • 김정순;송미희;이장용;안상낙;구자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85-92
    • /
    • 2008
  • 신팔달콩2호와 GC83006를 교잡하여 총 118개의 $F_7$ 계통을 육성하였다. 127개의 분자마커를 사용하여 유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종실 및 생육특성에 대한 QTLs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00립중, 경장, 엽면적 그리고 개화까지 일수는 정규분포를 보였다. 100립중을 제외한 3개의 형질에서 양친의 값을 벗어나는 초월변이 계통이 관찰되었는데, 특히 개화까지의 일수는 개화기가 지연되는 쪽으로 초월변이 계통이 다수 관찰되었다. 2. 100립중, 경장, 엽면적 그리고 개차까지 일수에 대한 QTL분석 결과, 전체 7개의 QTL이 탐지되었다. 100립중에 관여하는 3개의 QTL은 전체변이의 $10.1%\;{\sim}\;12.5%$를 설명하였고, 경장은 전체변이의 22%를 설명하는 1개의 QTL이 탐지되었다. 엽면적은 전체 변이의 10% 및 8.6%를 설명하는 2개의 QTL이 탐지되었으며 개화기 일수는 전체 변이의 41.0%를 설명하는 1개의 QTL이 탐지되었다. 3. 신팔달콩2호와 GC83006의 모용은 각각 회색과 갈색이었으며 모용색은 1개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모용색은 연관군 C2에 위치하는 Satt134 마커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었다. 제색은 신팔달콩2호와 GC83006이 각각 흑색과 황색이었으며 후대 중에는 갈색의 배꼽을 갖고 있는 계통도 발견되었다. 종피색은 신팔달콩 2호와 GC83006이 각각 황색과 녹색을 보였으며 후대에서 황색과 녹색 계통이 1 : 1의 분리비를 보여 종피색에는 하나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유전자는 연관군 D1a의 마커 Satt077과 밀접한 연관을 보였다.

고랭지 적응 콩 43개 품종의 해발고도별 이소플라본 함량 비교 (Comparison of Isoflavone Content in 43 Soybean Varieties Adapted to Highland Cultivation Areas)

  • 홍수영;김수정;손황배;김율호;조광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42-45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랭지 적응성이 우수한 43개 콩 품종을 대상으로 각 지역별 생육특성과 이소플라본 함량 변이를 분석하였다. 재배 지대별 개화기는 대관령 7월 15일에서 8월 12일, 진부 7월 18일에서 8월 11일 그리고 강릉에서 7월 23일에서 8월 13일 이었다. 또한 개화기에서 성숙기까지의 소요일수는 61~79일 이었으며 이 기간중의 적산온도는 대관령 $1,297^{\circ}C$, 진부 $1,391^{\circ}C$, 강릉 $1,685^{\circ}C$로 나타났으며 3지역 모두 전 재배기간 중의 적산온도가 $2,000^{\circ}C$ 이상으로 경제적 콩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3개 품종을 장류 두부용, 나물용, 밥밑용 그리고 풋콩 올콩용으로 구분하여 이소플라본 함량을 분석하였을 때 평균 이소플라본 함량은 장류 두부용 $2,579{\mu}g/g$으로 높게 나타내었다. 품종별 이소플라본 함량 비교에서 대관령에서 재배된 '팔달콩', '신팔달2호', '일미콩', '신팔달콩', '대풍' 5품종이 $4,000{\mu}g/g$ 이상을 보였다. 지역간 이소플라본 함량은 강릉과 대관령간 비교에서 p=0.061로 유의수준 0.1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강릉과 진부 간에서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는 재배기간 중 특히 성숙기의 저온이 이소플라본 함량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대관령, 진부, 강릉 3개 지역에서 $3,000{\mu}g/g$ 이상의 이소플라본 함량을 보이는 품종은 'L29', 'Williams 82', '일미콩', '대풍'으로 유전 및 환경적으로 안정된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콩의 기능성 육종과 지역별 품종선택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고지대에서의 콩 재배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어분이 $40\%$ 함유된 배합사료에 P, Ca, Zn, Mg, Fe, K, Mn과 Se 무 첨가가 조피볼락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eletion of P, Ca, Zn, Mg, Fe, K, Mn, or Se from Mineral Premix in the Diets Containing $40\%$ Fish Meal on Growth Performance of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상민;박승렬;김태진;명정인;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2-258
    • /
    • 1998
  • 어분이 $40\%$ 첨가된 조피볼락 실용 배합사료의 미네랄 첨가효과와 적정 mineral premix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mineral premix중에 P, Ca, Zn, Mg, Fe, K, Mn 및 Se을 각각 첨가하지 않은 실험구와 mineral pre-mix 전부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구를 설정하여 9주간 3 반복으로 사육하였다. 어분 $60\%$ 첨가사료 (HF)와 어분 $40\%$ 첨가사료 (대조구)에 미네랄을 모두 첨가했을 때의 증체율 및 사료효율은 서로 차이가 없었다 (P>0.05). 어분을 $40\%$ 첨가한 사료에 P, Mg, Fe 및 Mn을 각각 첨가하지 않은 사료의 증체율은 미네랄을 모두 첨가한 HF 사료 및 대조사료와 유의차가 없었고 (P>0.05), Ca, Zn, K 및 Se을 각각 첨가하지 않은 사료는 대조구 및 HF사료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일일 사료섭취율은 사료간에 유의차는 없었으며, 사료효율은 Zn 무첨가구와 mineral premix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구가 대조구보다 낮은 값 (P<0.05)을 보였으며, 그 외 실험구들은 차이가 없었다. 간의 일반성분 및 중량지수는 사료의 미네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P>0.05). 위의 결과로부터 사료에 어분이 $40\%$ 함유된 사료에는 P, Mg, Fe 및 Mn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되며, Ca, Zn, K 및 Se은 별도 첨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Effect of Different Spray Dried Plasmas on Growth, Ileal Digestibility, Nutrient Deposition, Immunity and Health of Early-Weaned Pigs Challenged with E. coli K88

  • Bosi, P.;Han, In K.;Jung, H.J.;Heo, K.N.;Perini, S.;Castellazzi, A.M.;Casini, L.;Creston, D.;Gremokolini,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8호
    • /
    • pp.1138-1143
    • /
    • 2001
  • A total of 96 piglets were weaned at 19 and 13 days in Exp. 1 and 2, respectively, and allotted to one of four diets: three with different spray dried plasmas (SPs) and one with hydrolysed casein (HC). SPs were from pigs (SPP), mixed origin (SMP), and mixed origin with standardized level of immunoglobulins (SMPIG). All the diets contained 1.7% total lysine, 25% of the test protein source, 45% corn starch, 15% lactose, 2% sucrose, 7% soybean oil. At d 4 and d 2 in Exp. 1 and 2, respectively, piglets were perorally challenged with $10^{10}$ CFU E. coli K88. Growth performance, immunity, and health condition were measured for 15 days and 14 days in Exp. 1 and 2, respectively. To investigat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nd nutrient deposition, all piglets were sacrificed at d 14 in Exp. 2. In 1. 3 piglets died in HC diet and 1 in SPP diet. HC diet showed higher mortality (p<0.01) than other diets. In Exp. 2, no clinical sign of infection was detected, no difference for the content of E. coli K88 was found in feces at 4 and 6 days after the infection, and no E. coli K88 was found in the jejunum at the end of experiment. In both experiments, feed intake was lower for HC diet and ADG was 96, 106, 122 and 155 for HC, SPP, SMP and SMPIG diet, respectively (HC vs others, p<0.05; SMPIG vs other SP, p<0.01). Heal apparent digestibility of nitrogen in sacrificed piglets was higher for HC diet (p<0.05). After the challenge, K88-specific titers in saliva (Exp. 1) and in plasma (Exp. 2) were reduced in SMP and SMPIG. The piglets positive to the adhesion of the used E. coli strain to the intestinal brush borders had a significantly reduced growth (p<0.01) and a higher K88-specific IgA titer in plasma, in comparison with negative ones. This effect was independent of the diet. The data show the relevance of spray dried plasma sources and particularly of SP with standardized level of immunoglobulins for the feeding of early-weaned at the risk of infection by enterotoxigenic bacteria.

Effects of Boron Supplementation to Diets Deficient in Calcium and Phosphorus on Performance with Some Serum, Bone and Fecal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ens

  • Bozkurt, Mehmet;Kucukyilmaz, Kamil;Catli, Abdullah Ugur;Cinar, Mustafa;Cabuk, Metin;Bintas, Ero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2호
    • /
    • pp.248-255
    • /
    • 2012
  • Three levels of boron (0, 30, 60 ppm) were supplemented in practical corn-soybean based starter and grower diets, containing either adequate or inadequate Ca or P. A total of 1,800, 1-day-old sexed broiler chicks were assigned to six dietary treatments and fed with the experimental diets for 42 days. Boron improved the overall feed conversion ratio, but increased body weight only at 21 days of age (p<0.01). Boron decreased feed intake in the case of feeding on a diet deficient in Ca and P, and tended to increase feed intake when birds received a diet adequate in Ca and P, signifying significant boron by Ca-P interaction (p<0.01). Mortality was not influenced by boron (p>0.05). Dietary Ca and P deprivation reduced body weight and feed consumption significantly, but did not influence the feed conversion ratio and mortality (p>0.05). Serum Ca level, ALP and ALT activities were not influenced either by dietary Ca and P deficiency or boron supplementation. Serum P content increased with respect to boron at 30 ppm. Bone breakage strength was not affected by dietary variables. Tibia ash, Ca and P were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supplementation diet with 30 ppm boron, whereas 60 ppm showed no effect in most cases. Accordingly, the dietary boron supplementation of 30 ppm significantly decreased fecal Ca and P excretion, while there was a numerical decline in the 60 ppm boron as compared to the 0 ppm boron group. Data presented herein indicated that boron, either at the 30 ppm or 60 ppm supplementation level, was effective in conversion of feed to body weight, whereas only boron at 30 ppm contributed to the mineralization of bone thereby augmenting more Ca and P while excreting less through faeces.

식량 최대생산을 위한 토양자원 이용 (Utilization of Soil Resources for Maximum Production of Food Grains)

  • 신제성;김이열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145-167
    • /
    • 1999
  • Our self-sufficiency of food has become less than $30{\%}$ and our nation is highly dependant on world's grain market for food. which is unstable in long term due to the world population growth faster than food production. Therefore, it is a great possibility that food might become a political weapon by way of its global shortage. its purchasing difficulty in international free trade market. and the resultant price rising. Our maximal capability of food production has become the most outstanding problem in the dimension of future food security. It would be the utmost scheme for maximal production of food to realize the maximal utilization of arable land through the enlargement of sufficient farming land and the conversion of rotation system for the more grain production. Extensional enlargement of arable land can be positively execu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farming land in domestic and abroad countries. The readjustment of arable land and the installation or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 can enforce the farming basement for maximal utilization of arable land through the improved rotation between paddy and upland. The prevention policy against farming land encroachment should be strictly executed through grain production encouragement on resting or marginal lands and regulation of utilization conversion for the other than food production on high grade farming lands. It is also required urgently to develope high yielding and high quality varieties through advanced genetic technology for the improvement of unit area yield, especially of wheat, corn. and soybean we import in large quantity The maximal utilization of arable land for the highest production of food can be realized through rational rotation system, the most adaptable crop cultivation on the suitable land, and the most optimal fertilization through the GIS analysis of agricultural environment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computerized soil resource data on super detailed soil maps(1:5000) surveyed plot by plot of whole nation.

  • PDF

Current Technologies and Future Perspective in Meat Analogs Made from Plant, Insect, and Mycoprotein Materials: A Review

  • Da Young Lee;Seung Yun Lee;Seung Hyeon Yun;Juhyun Lee;Ermie Mariano Jr;Jinmo Park;Yeongwoo Choi;Dahee Han;Jin Soo Kim;Sun Jin Hur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8
    • /
    • 2024
  •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data presented in the literature on developing meat analogs using plant-, insect-, and protein-derived materials and presents a conclusion on future perspectiv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products developed using plant-, insect-, and mycoprotein-derived materials still did not provide the quality of traditional meat products. Plant-derived meat analogs have been shown to use soybean-derived materials and beta-glucan or gluten, while insect-derived materials have been studied by mixing them with plant-derived materials. It is reported that the development of meat analogs using mycoprotein is somewhat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materials, and safety issues should also be considered. Growth in the meat analog market, which includes products made using plant-, insect-, and mycoprotein-derived materials is reliant upon further research being conducted, as well as increased efforts for it to coexist alongside the traditional livestock industry. Additionally, it will become necessary to clearly define legal standards for meat analogs, such as their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product-labeling methods.

인공사료의 단백질 및 탄수화물 수준이 가잠의 실용형질과 Amylase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vel of Dietary Protein or Carbohydrate on the Economic Characters and Amylase Activity of the Silkworm, Bombyx mori)

  • 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5-53
    • /
    • 1974
  • 5령기에 있어서 인공사료 중 탄수화물 함량과 단백질 함양의 다소가 누에의 실용형질 및 소화액 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탄수화물 급원으로서 서당과 단백질 급원으로서 대두박 의 수준을 달리한 9종의 입공사료로 사육하여 조사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료 중 탄수화물 함량과 단백질 함량의 다소는 유충의 증체량 몇 견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뿐만 아니라 사료효율에도 영향을 주므로 적량의 대두박 및 서당의 첨가가 필요하다. (2) 유충의 식하양은 증체량이 많은 유충에서 많았다. (3) 사료 중 단백질 함량이 많을수록 유충의 소화량이 많고 소화율이 높았다. 그러나 탄수화물 함량의 다소와 유충의 소화량 및 소화율과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유충의 소화액 Amylase 활성과 사료 중 단백질 및 탄수화물 함량과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잠체내의 탄수화물 농도를 높일 수 있는 사요에서는 활성이 강하였다. (5) 사료 중 단백질 함량의 다소와 잠분 중 조단백질 함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가용무질소물 함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한편 사료 중 탄수화물 함량이 많으면 않을수록 잠분 중 가용질소물 함량은 많아지나 친단백질 함량은 오히려 적어졌다. (6) 인공사료육잠은 상엽육잠보다 Amylase 활성이 강하여도 유충증체량이 적고 견질이 불량하여 경제적 가치가 적었다. (7) 상엽분말이 44% 함유된 5영기 인공사료에 있어서 서당의 최적 함양은 0g이고 대두박의 최적 함량은 40g이었다. (8) 인공사료에 었어서 Amylase 활성을 강하게 할 수 있으나 실용형질이 불량하여 경제적 가치가 없는 것으로 보아 Amylase 활성을 강하게 하는 인공사료의 개발만으로는 산업적인 육잠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량하나, 빠를수록 급격하게 불량하다. 2) 우리나라의 잠기별 잠작은 춘(1~4기), 추(7~10기), 만추(11기), 하(5기) 초추(6기)잠 순으로 불량하였다. 3) 잠작과 영역접배를 고려한 다회 보통육은 1, 3, 8, 10기 등 4회육이 적합하고 조상 4회육은 10기 대신에 11기 대치로 무난하다. 2. 양잠농가의 추잠작 불안정 요인시험 1) 양잠농가의 수견량을 지배한 치명적인 요인은 잠실 잠구의 소독불충분에 의한 병원축적이며 2) 이차적 요인은 사육온습도 관리불량, 배게치기, 적숙엽 선정기술 불량 및 결상총과소 등이며 잠작과 경영구 요소는 관련이 없는것 같다. 3) 견층비율에는 뽕의 엽질이 가장 크게 영향되고, 다음으로 통원누적으로 인한 누에의 건강도에 영향한 것 같다. 3. 육잠기술 지도효과 1) 지도농가의 상자당 수견량 춘잠기 32.3kg, 추잠기 25.8kg으로서 대조 농가보다 각각 20%, 35%가 증수되어 연평균 29.0kg으로서 26%의 증수를 실증하였다. 2) 지도농가의 3등견 이상의 고치는 춘잠기 77.1%, 추잠기 83.7%로서 대조농가보다 각각 14.3%, 11.3%가 많았다. 3) 지도농가의 지도후년도의 상자당 수견중은 춘잠기 31.2kg, 추잠기 26.9kg, 연평균 28.9kg으로서 대조농가보다 각각 3%. 16%, 8%가 증수되였으므로 이는 기술지도의 잔류효과로 인정하였다. 4) 기술수준에 따른 잔류효과는 기술수준 상위농가는 0% 하위농가는 19%이었다. 4. 상엽질의 계절적 변화추이 1) 장잠기 상엽을 주재로 한 인공사료육의 결과는 춘> 만추≒하>추≒> 초추의 순으로 우수했다. 2) 치잠기 상엽을 주재로한 인공사료육의 결과는 춘, 만추, 추, 하, 초추 순위의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5.

  • PDF

시계열 식생지수와 과거 작물 재배 패턴을 이용한 대규모 작물 분류도의 조기 제작 - 미국 아이오와 주 사례연구 - (Early Production of Large-area Crop Classification Map using Time-series Vegetation Index and Past Crop Cultivation Patterns - A Case Study in Iowa State, USA -)

  • 김예슬;박노욱;홍석영;이경도;유희영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93-503
    • /
    • 2014
  • 이 논문에서는 대규모 작물 재배 지역의 작물 분류도의 조기 제작을 목적으로 분광학적 혼재를 줄이고, 과거 토지피복도의 작물 재배 패턴을 반영할 수 있는 계층적 분류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특히 작물 생육 주기로부터 다른 분광 특성을 고려한 계층적 분류 접근을 적용하고, 과거 작물 재배 패턴으로부터 추출된 시간적 문맥 정보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분광 혼재가 두드러진 화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제안 분류 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미국 아이오와 주 전체를 대상으로 시계열 MODIS 250 m 정규식생지수 자료와 과거 crop data layer를 사용하는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례 연구를 통해 다른 분류 단계와 과거 작물 재배 패턴을 고려함으로써 대상 지역의 주요 재배 작물이면서 분광학적 유사도가 두드러진 콩과 옥수수를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분광 정보만을 이용한 분류 결과에 비해 제안 기법이 최소 7.68%p에서 최대 20.96%p의 향상된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분류 단계에서 시간적 문맥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사용 NDVI 자료의 수에 영향을 덜 받는 가장 높은 분류 정확도(최대 전체 정확도: 86.63%)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제안 분류 기법은 주요 곡물 수입국의 대규모 작물 구분도의 조기 제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