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xhlet extractor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7초

빌딩 地下商街의 空氣性狀 및 분자의 變異原性 (Air Contamination in an Underground Commercial Floor assayed by GAseous Pollutants, Dusts and Mutagenicity)

  • 兪榮植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6-52
    • /
    • 1987
  • There are many factors such as airtighteness and high density of merchandises or passengers that contaminate indoor air in underground commercial floor. So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air quality and quantity of contamination in underground market increasing in number lately. It was from these viewpoints that gaseous pollutants, dusts and mutagenicity of organic compounds extracted from dusts in an underground market were investigatd. Organic ompounds (tar) were extracted by Soxhlet extractor with benzene as a solvent. Mutagenicities of these extracts were evaluated by the preincubation method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and TA 98 strains with and without S9mix.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It seemed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outdoor air that the concentrations of $CO, CO_2, NO, NO_2$ and dusts were higher in winter than summer. The concentration of $CO_2$ was higher in indoor than outdoor, but the concentration of NOx was similar in both sampling areas. Metal contents in dusts attached to the ventilation ducts were as follows showing in order of high concentration : Fe (9000-22000ppm), Zn(1200-2300ppm) and Pb (280-590ppm). The contents of tar were 6-33% of dusts, and higher than those from dusts collected by high volume air sampler. The extracts from dusts attached to the inlet duct exhibited lower mutagenicity than those from dusts attached to the outlet duct. This finding seemed to suggest that mutagenic substances were in creasing in underground. There was no seasonal difference of mutagenicity toward TA 98. Toward TA 100 in the presence of S9mix, the mutagenicity was about 3 fold higher in winter than summer. The mutagenicities of tar extracted from dusts collected by high volume air sampler were different from those attached to the ventilation ducts. The former showed 2-3 fold higher mutagenicity than the latter toward TA 100. However no difference showed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toward TA 98 in the absence of S9mix, but the former was 4-5 fold higher than the latter in the presence of S9mix.

  • PDF

Methanolic Extract of Plumbago Zeylanica - A Remarkable Antibacterial Agent Against Many Human and Agricultural Pathogens

  • Singh, Mukesh Kumar;Pandey, Ajit;Sawarkar, Hemant;Gupta, Anshita;Gidwani, Bina;Dhongade, Hemant;Tripathi, Dulal Krishna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8-22
    • /
    • 2017
  • Objectives: The current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ytotoxic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of Plumbago zeylanica. Methods: The stems, leaves, and whole plants were air dried and extracted with methanol by using a Soxhlet extractor for 72 hours at $55-60^{\circ}C$.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determined from the zones of inhibition, which were measured by using the agar well diffusion method, and the cytotoxicity assays were performed using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method. Results: The methanolic extracts of the stem and the leaves of Plumbago zeylanica were tested against six bacterial species and nine fungal species, and both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leaf extract of Plumbago zeylanica showed maximum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oth Staphylococcus aureus sub sp aureus and Fusarium oxysporum. The stem extract was found to be more antimicrobial against the Pseudomonas aeruginosa and the Penicillium expansum species. MTT assays were used to test the cytotoxicity of the whole plant extract in the HCT-116 and the K-562 cell lines, and that extract was shown to have weak cytotoxicity in both cell lines. Conclusion: In the present study, the methanolic stem extracts of Plumbago zeylanica were found to possess remarkable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many human and agricultural pathogens. The extracts were also found to possess significant antifungal activities, but the antifungal activities were less than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Finally, the extracts were found to have weak cytotoxicities in the HCT-116 and the K-562 cell lines.

기체크로마토그래피/동위원소 희석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토양 중 폴리브롬화 디페닐에테르의 분석법 (Determination of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PBDEs) in Soil using Gas Chromatography/Isotope Dilution Mass Spectrometry)

  • 나윤철;장윤석;김해동;홍종기
    • 분석과학
    • /
    • 제17권1호
    • /
    • pp.29-3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토양중에 존재하는 폴리브롬화 디페닐에테르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를 동위원소희석법을 이용한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선택이온검색법에 의해 검출하는 분석방법을 소개하였다. 토양 중 PBDEs는 속실렛 장치로 추출하고 실리카와 플로리실 흡착제를 이용한 고체상 추출법을 비교하였다. 정제 후 추출물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선택이온검색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동위원소로 치환된 4종의 PBDEs를 내부표준물질로 이용한 동위원소 희석법으로 8종의 PBDEs를 정량하였다. 속실렛추출 후 플로리실과 실리카 카트리지를 통한 회수율은 각각 30.8~110.8%, 44.4~110.7%이었다. 이 분석법의 검출한계는 0.04~0.3 ng/g로 나타났다.

광양만 주변해역 표층퇴적물에서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오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lu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in the Surface Sediments Around Gwangyang Bay)

  • 유영석;최영찬;조현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20
    • /
    • 2007
  • PAHs는 해양환경 중에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인간활동에 의한 화석연료 이용으로 PAHs의 오염이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다. PAHs는 잠재적으로 해양 수서환경 생물에 발암성과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는 여수화학공단, 광양제철소와 콘테이너부두가 자리잡고 있는 광양만의 표층퇴적물에서의 PAHs를 Soxhlet Extractor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GC-MS로 PAHs 13종을 검출하였고 TOC(Total Oragnic Carbon)와 입도분석을 행하였다. 분석된 퇴적물에서 PAHs 화합물 모두가 검출되었으며 Total PAHs 범위는 $171.40{\sim}1013.54{\mu}g/kg$ dry wt.로 검출되었다. PAHs 화합물중 Naphthalene이 $14.08{\sim}691.39{\mu}g/kg$ dry wt.로 거의 모든 시료에서 가장 높게, Anthracene이 $0.49{\sim}22.66{\mu}g/kg$ dry wt.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Total PAHs와 PAHs 화합물의 상관관계는 Naphthalene, Phenanthrene과 같은 저분자량 물질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A(Phenanthrene/Anthracene)비 와 F/P(Fluoranthene/Pyrene)비의 결과에 의하면 연소기원과 유류오염 기원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Total PAHs와 TOC와의 상관계수는 높지는 않지만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입도와의 상관관계는 높지는 않지만 퇴적물 입자의 크기가 세립 할수록 PAHs와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광양만 표층퇴적물에서 PAHs의 검출농도는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기준(biological effect guidelines)에 비해 낮은 값을 보여주고 있다.

  • PDF

감귤 추출물로부터 D-리모넨 분리를 위한 유사 이동층 크로마토그래피(SMB) 전산모사 (Simulation of D-limonene Separation from Mandarine Extract in Simulated Moving Bed (SMB))

  • 김태호;고관영;김인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1호
    • /
    • pp.81-88
    • /
    • 2016
  • 리모넨은 오렌지 향이 있는 천연의 키랄 화합물로 주로 감귤껍질과 레몬껍질에 함유되어 있다. $4^{\circ}C$로 냉장 보관한 감귤 껍질을 에탄올을 용매로 속슬렛 추출기에서 2시간동안 $120^{\circ}C$에서 추출하였다. 역상 HPLC 분석을 통해 d-리모넨과 불순물의 헨리 상수를 계산하여 $H_{Lim}=8.55$, $H_{imp}=0.223$를 얻었다. Aspen chromatography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0.46{\times}25cm$ 칼럼으로 이루어진 4-bed SMB의 리모넨 전산모사를 수행하였고 삼각도내의 $m_2$, $m_3$ 값을 변경하면서 순도가 가장 높은 분리 조건을 찾았다. 그 결과 가장 높은 순도는 98.59%이고, $m_2=2.57$, $m_3=9.55$였다. 이 때의 feed 유량은 1 mL/min, desorbent 유량은 1.19 mL/min, extract 유량은 0.857 mL/min, raffinate 유량은 1.34 mL/min이었다. Scale-up 전산모사를 위해 칼럼의 직경을 1.6 cm로 늘린 4-bed SMB에서 직경이 0.46 cm인 4-bed SMB와 같은 결과를 갖는 조건을 찾기 위해 유량을 칼럼 부피 비에 정비례하여 증가시켰다. 이 때 feed, desorbent, extract, raffinate의 유량은 각각 12 mL/min, 14 mL/min, 10 mL/min, 16 mL/min이었다. 리모넨과 불순물의 등온흡착곡선을 선형으로 가정하였기에 칼럼 부피에 정비례하여 유량을 증가시키는 scale-up이 가능하였다.

GC-MSD를 이용한 어린이 제품 중 알러지 유발 방향성 물질의 동시분석법 연구 (Study on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romatic material causing allergic in children's products by GC-MSD)

  • 고경목;유찬주;고병례;이석기
    • 분석과학
    • /
    • 제33권3호
    • /
    • pp.134-142
    • /
    • 2020
  • 어린이 제품 중 21 종의 알러지 유발 방향성 물질들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기(GC-MS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물질들은 자동 속슬렛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고속 냉동 원심분리기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실린지 필터로 여과 한 후 2 mL vial에 옮겨 Split mode로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확립된 조건에서 검정곡선은 0.9981 이상의 결정계수를 갖는 직선성을 보였으며, 감도의 경우는 0.3145 ~ 1.6757로서 물질별로 상당히 넓은 범위의 감도를 나타내었다. 기기검출한계는 0.0016 ~ 0.0423 ㎍/mL로서 최대 약 0.05 ㎍/mL이하를 나타내었고, 방법검출한계는 0.0030 ~ 0.0589 ㎍/mL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정량한계는 0.0096 ~ 0.1876 ㎍/mL의 범위를 보였고, 정밀도는 0.41 ~ 10.49 %, 정확도는 83 ~ 116 %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법으로 시판품에 실제 적용하였다.

Amorpha-fruticosa종자(種子)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Amorpha-fruticosa Seeds)

  • 황병호;이상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6-90
    • /
    • 1974
  • Amorpha-fruticosa 종자(種子)의 지방(脂肪)을 ether 및 methanol로 추출(抽出)하여 정제(精製)한 다음, methyl eestorification 시켜 Gas chromatography로 지방산(脂肪酸)을 분석(分析)하고 몇 가지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을 시험(試驗)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Amorpha-fruticosa 종자(種子)의 일반성분(一般成分)은 수분(水分) 17.65%에서 조단백(粗蛋白) 21.02%, 조지방(粗脂肪) 12.04%, 회분(灰分) 5.74%로서 일반두료식물(一般豆料植物)과 비교하면 대두(大豆), 검정콩을 제외(除外)한 다른 종류(種類)에 비하여 비교적 우수한 성분함량을 나타내고 있다. 2. 각종(各種) 유기용매(有機溶媒)에 의한 본시료(本試料)의 지방추출율(脂肪抽出率)은 ether가 80.25%, methanol 80.00%로서 대등한 수치(數値)이며, benzene 77.34%, hexane 69.96%의 순위(順位)로 나타났다. 3. Ether에 의하여 추출(抽出)된 지방산(脂肪酸)의 chemical constants는 검화가 178.67, 산가 3.11, 요오드가 54.27로 측정(測定)되었다. 4. Ether에 의하여 추출(抽出)된 지방산(脂肪酸)을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모두 8종(種)이 검색(檢索)되었으며 이 중(中) linoleic acid (78.73wt%), palmitic acid (5.68wt%), oleic acid (5.85wt%), stearic acid (4.84wt%), linolenic acid (3.40wt%)의 순(順)으로 함량(含量)이 높으며 arachidic acid (1.06wt%), lauric acid (0.26wt%), myristic acid (0.20wt%) 등은 소량(小量)으로 나타났고 capric acid는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5. Methanol로 추출(抽出)한 지방산(脂肪酸)은 ether에서와 같이 8종(種)이 검색(檢索)되었으며 함량(含量)은 linoleic acid (77.86wt%), palmitic acid (7.77wt%), oleic acid (5.74wt%), stearic acid (4.97wt%), linolenic acid (3.56wt%)의 순(順)으로 비교적 함량(含量)이 많고 arachiaic acid (0.01wt%), lauric acid (0.01wt%), myristic acid (0.01wt%) 등은 함량(含量)이 낮으며 역시 capric acid는 ether에서와 같이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 PDF

오리고기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Duck Meat)

  • 남현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1호
    • /
    • pp.34-37
    • /
    • 1977
  • 오리고기를 가식부(可食部)만을 n-Hexane으로 지방(脂肪)을 용출(溶出)하고 정제(精製)한 다음 methyl ester시켜 gas chromatography로 분석(分析)하고 몇가지 화학적(化學的) 성자(性資)를 시험(試驗)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오리고기의 일반성분(一般成分)은 수분(水分) 64.87%, 단백질(蛋白質) 19.06%, 조지방(粗脂肪) 17.3%, 회분(灰分) 1.12%로 닭고기에 비(比)하여 지방(脂肪)은 다소 많았다. 2. 용매(溶媒)의 종류에 따라 용출량(溶出量)이 다소 차이가 있었다. Ethylether에 79.57%, chloroform에 70.15%, n-Hexane에 72.35%로 나타났다. 3. n-hexane으로 용출(溶出)한 지방(脂肪)의 chemical constant는 산가(酸價) 5.01, 검화가 201.5, 요오드가(價)카 50.1, 카보널가(價) 4.5%를 나타냈다. 4. n-Hexane으로 용출(溶出)한 지방산(脂肪酸)을 gas chromatography에 의(依)하며 분석(分析)하여 오리고기(Leg portion)는 Myristic acid 0.12%, palmitic acid 17.2% , Stearic acid 3.1%, Oleic acid 45.9%, Linoleic acid 19.9%, Linolenic acid 1.6%를 나타냈고, 오리고기(Breast portion)는 Myristic acid 0.17%, Palmitic acid 17.1%, stearic acid 3.3%, Oleic acid 51.2%, Linoleic acid 17.2%, Linolenic acid 1.7%이었고, arachidonic acid는 측정되지 않았다. 5. 오리피의 cholesterol은 total 200mg%, Breast portion의 fat에 cholesterol의 total은 260mg%, Leg portion의 fat에 cholesterol의 tatal은 400mg% 이었다. $\divideontimes$ 본연구(本硏究)는 1976년도(年度) 광주서원전문학교(光州瑞元專門學校) 학술연구조성비에 의(依)하여 행(行)한 것입니다.

  • PDF

어린이 제품 중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알러지 유발 방향성 물질의 동시분석법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romatic material causing allergic in children's products by Gas Chromatography)

  • 고경목;유찬주;김종원;이석기
    • 분석과학
    • /
    • 제31권1호
    • /
    • pp.23-30
    • /
    • 2018
  • 어린이 제품 중 22 종의 알러지 유발 방향성 물질들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불꽃 이온화 검출기(GC-FID)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기(GC-MS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물질들은 자동속슬렛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고속 냉동 원심분리기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 후 상징액을 2 mL vial 옮겨 Split mode로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확립된 조건에서 검정곡선은 0.996 이상의 상관계수를 갖는 직선성을 보였으며, 감도의 경우는 6.7~1,859,839로서 물질별로 기기특성 및 검출기에 따라 상당히 넓은 범위의 감도를 나타내었다. 기기검출한계는 $0.0032{\sim}0.0335{\mu}g/mL$로서 최대 약 $0.1{\mu}g/mL$이하의 기기검출한계를 나타내었고, 방법검출한계는 $0.0033{\sim}0.1161{\mu}g/mL$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정량한계는 $0.0100{\sim}0.5422{\mu}g/mL$의 범위를 보였고, 정밀도는 0.21~4.89 %, 정확도는 89~11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법으로 시판품에 실제 적용하였다.

추출된 옥수수유와 땅콩유로부터 Conjugated Linoleic Acid를 함유한 재구성지질의 효소적 합성 및 분석 (Enzymatic Synthesis of Structured Lipids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from Extracted Corn and Peanut Oil)

  • 김남숙;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00-1005
    • /
    • 2004
  • 식물성 유지자원 중 옥수수와 땅콩을 원료로 하여 35$^{\circ}C$, 100 rpm의 항온교반수조와 8$0^{\circ}C$의 soxhlet extractor에서 1, 3, 6시간에 따라 유지를 추출한 후, sn-1,3 위치 특이성을 가지는 IM 60(Rhizomucor miehei, EC 3.1.1.3)를 사용하여 acidolysis 방법을 통해 CLA를 함유하는 재구성지질을 합성하였다. 추출된 옥수수유와 땅콩유 모두 35$^{\circ}C$, 6시간에서 각각 3.59, 47.98%로 여러 추출 조건 중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고, 추출된 유지 모두 phytosterol 이성질체(campesterol, stigmasterol, $\beta$-sitosterol) 중 $\beta$-sitosterol의 함량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추출된 유지의 주요 지방산으로 조사되었다. 추출된 유지와 재구성 지질(추출유-CLA)의 tocopherol 함량 분석 결과 추출된 유지와 합성한 유지의 총 tocopherol 함량이 지정된 온도의 추출시간과 반응(합성)시간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재구성 지질의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CLA 총 함량이 반응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24시간 반응에서 옥수수유와 땅콩유에 결합된 CLA 총 함량이 각각 9.25, 7.48mol%로 여러 반응시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CLA의 주요 이성질체 중 생리활성이 높다고 알려진 cis 9, trans 11-CLA와 trans 10,cis 12-CLA의 재구성 지질 내 함량은 옥수수유와 땅콩유 각각 7.50, 6.30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