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id State Drive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39초

전산 고체물리를 이용한 바이오 산화망간 광물의 금속흡착과 광화학 반응도의 이해 (Reactivity of Biogenic Manganese Oxide for Metal Sequestration and Photochemistry: Computational Solid State Physics Study)

  • 권기덕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1-170
    • /
    • 2010
  • 많은 미생물들이 수용성 망간이온($Mn^{2+}$)을 불용성인 산화망간($Mn^{4+}$) 광물로 산화 침전시키는데, 이와 같은 생물학적 산화반응은 비생물학적 산화반응보다 훨씬 빠르게 일어난다. 이처럼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바이오 산화망간 광물은 표면의 강한 흡착성과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생지구화학 순환과 환경오염물질의 생물흡수도에 큰 역할을 한다. 본 논평은 양자역학의 밀도범함수 이론에 바탕을 둔 전산모사를 이용하여 산화망간 광물 표면의 독성금속 흡착의 자세한 기작과 망간원자 빈자리의 광화학적 역할을 새롭게 밝힌 최근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초소형 광디스크의 보호층 두께 편차 보상용 1축 엑츄에이터 (1-Axis Actuator for Compensating Focus Error and SA due to the Variation of Cover-Layer Thickness in Small-Form-Factor Optical Disk)

  • 박진무;홍삼열;최인호;김진용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27-231
    • /
    • 2004
  • Technological advance in information technology has sparked the necessity of small form factor (SFF) optical disk for mobile devices. Small form factor optical disk is highly anticipated to be a next generation storage device because it can be used for a cost-effective way compared with solid state memory. For the application to the 5 mm height small-form-factor optical disk drive, we have presented an optical flying head and swing arm actuator. In this study, we propose a small 1-axis actuator for compensating ficus error and SA due to the variation of cover-layer thickness in the cover-layered small optical disk. The main design issues of the 1-axis actuator are the realization of compact structure and the new support structure of the actuator: Finally, the compensating principle and performance of the 1-axis actuator will be explained.

  • PDF

DRAM SSD와 하드디스크 어레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저장장치 시스템 설계 (A Study for Configuring Hybrid Storage System include DRAM SSD and HDD devices)

  • 김영환;손재기;박창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88-289
    • /
    • 2012
  • 최근 데이터 저장을 위한 고속 입출력에서 병목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SSD(Solid State Drive) 관련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와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인 SCM(Storage Class Memory) SSD가 있고, 휘발성 메모리인 DRAM기반의 SSD가 있다. 플래시 또는 SCM 메모리기반 저장장치는 하드 디스크기반 저장장치에 비해 읽기 속도가 빠르며, 내구성이 강하다는 장점으로 새로운 저장장치 시스템의 저장매체로 부각되고 있으나, 단위 저장 공간 당 높은 가격으로 인해 저장장치 시스템에 적용하기 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용량의 하드디스크와 SSD를 RAID 또는 단일 저장장치 매체로 구성하는 하이브리드 저장장치에 관한 연구와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하이브리드 저장 매체 어레이를 저장장치 시스템으로 구성하기 위한 볼륨구성과 해당 서버에 볼륨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저장장치 시스템 설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Agrobacterium Transformation System for Eggplant and Study of a Potential Biotechnologically Useful Promoter

  • Claudiu Magioli;Ana Paula Machado da Rocha;Pinheiro, Marcia-Margis;Martins, Gilberto-Sachetto;Elisabeth Mansur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권1호
    • /
    • pp.43-49
    • /
    • 2000
  • An efficient and reliable Agrobacterium transformation procedure based on TDZ (thidiazuron)-induced organogenesis was established and applied to six Brazilian eggp1ant varieties. Optimum transgenic plants recovery was achieved upon the study of the following parameters affecting transformation efficiency, using F-100 variety as a model: i) explant source; ii) pre-culture period; iii) physical state of the pre-culture medium and iv) coculture conditions. The highest frequency of kanamycin-resistant calli derived from leaf explants (5%) was obtained without a pre-culture period and co-cultivation for 24 h in liquid medium followed by five days on solid RM (regeneration medium). For cotyledon explants, best results were achieved upon a pre-culture of 24 h in liquid RM and a co-cultivation period of 24 h in liquid RM followed by three days in solid RM, resulting in a transformation Sequency of 22.7%. Kanamycin-resistant organogenic calli were also obtained from cultivars Emb, Preta Comprida, Round nose Shaded, Campineira and Florida Market. The expression pattern of an epidermis-specific promoter was studied using transformants expressing a chimaeric construct comprised by the promoter Atgrp-5 transcriptionally fused to the coding region of the gus gene. The expression pattern was similar to that previously observed in tobacco and Arabidopsis thaliana, with preferential expression at the epidermis and the stem phloem. These results support the idea that the Atgrp-5 promoter can be used to drive defense genes in these tissues, which are sites of pathogen interaction and spread, in programs for the genetic improvement of eggplant.

  • PDF

멀티 레벨 셀 플래시 메모리 신뢰성 분석을 통한 항공 전자장비용 내결함성 메모리 설계 연구 (Research on Fault Tolerant Avionics Memory Design through Multi Level Cell Flash Memory Reliability Analysis)

  • 정상규;전병규;김영목;장인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21-328
    • /
    • 2016
  • 일반적으로 MLC NAND 플래시 저장장치는 SLC NAND 플래시 기반의 장치에 비해 정보 신뢰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MLC 플래시는 SLC 플래시 보다 약 1000배 이상의 RBER (raw bit error rate)을 갖는다고 평가되나 최근 Google 데이터 센터에서 수집된 결과로부터 수행된 연구를 통해 실제 RBER은 이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MLC 플래시의 여유 저장 공간과 SSD 내부에 존재하는 Firmware 층을 활용하여 하드웨어적 구조 복잡성의 증가 없이 정보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인 IDDD (in drive data duplication) 방식을 고안하였고 실 측정결과와 계산을 통해 MLC 플래시의 정보 신뢰성이 SLC 플래시 대비 상당히 높아질 수 있음을 보였다. 우리가 연구한 총 48개 상황 중 44개의 상황에서 SLC 플래시의 RBER이 MLC 플래시보다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IDDD방식을 적용함으로써 48개의 모든 상황에서 MLC 플래시의 RBER이 SLC 플래시보다 낮으며, 43개의 상황에서 UBER (uncorrectable bit error rate) 또한 SLC 플래시 대비 낮음을 보였다.

고속 Toggle 2.0 낸드 플래시 인터페이스에서 동적 전압 변동성을 고려한 설계 방법 (Adaptive Design Techniques for High-speed Toggle 2.0 NAND Flash Interface Considering Dynamic Internal Voltage Fluctuations)

  • 이현주;한태희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9호
    • /
    • pp.251-258
    • /
    • 2012
  • SSD (Solid-state Drive), 더 나아가 SSS (Solid-state Storage System)와 같은 고성능 스토리지 요구 사항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 낸드 플래시 메모리도 DRAM에서와 같이 SDR (Single Data Rate)에서 고속 DDR (Double Data Rate) 신호구조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PHY (Physical layer) 회로 기술을 적용하여 협소 타이밍 윈도우 내에서 유효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래치하고, 핀 간 데이터 스큐를 최소화하는 것 등이 새로운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낸드 플래시 동작 속도의 증가는 낸드 플래시 컨트롤러의 동작 주파수 상승으로 이어지고 동작 모드에 따라 컨트롤러 내부 소모 전력 변동성이 급격히 증가한다. 공정 미세화와 저전력 요구에 의해 컨트롤러 내부 동작 전압이 1.5V 이하로 낮아지면서 낸드 플래시 컨트롤러 내부 전압 변화 마진폭도 좁아지므로 이러한 소모 전력 변동성 증가는 내부 회로의 정상 동작 범위를 제한한다. 컨트롤러의 전원전압 변동성은 미세공정으로 인한 OCV (On Chip Variation)의 영향이 증가함에 따라 더 심화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변동성의 증가는 순간적으로 컨트롤러의 보장된 정상 동작 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내부 로직의 오류를 초래한다. 이런 불량은 기능적 오류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문제의 원인 규명 및 해결이 매우 어렵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낸드플래시 컨트롤러 내부의 비정상적 전원 전압 변동하에서도 유효 타이밍 윈도우를 경제적인 방법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회로 구조를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PHY회로 대비 면적은 20% 감소한 반면 최대 데이터 스큐를 379% 감소시켜 동등한 효과를 보였다.

S대역 군사 레이더용 2kW급 GaN HEMT 증폭기 개발 (Development of 2-kW Class C Amplifier Using Ga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for S-band Military Radars)

  • 김시옥;최길웅;유영근;임병옥;김동길;김흥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21-43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S-밴드 군용 레이더에 사용되고 기존의 TWTA를 대체하기 위해 GaN HEMT 기반 증폭모듈을 이용하여 개발한 2kW급 반도체증폭기(SSPA)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SSPA는 8개의 증폭모듈로 이루어진 고출력증폭모듈, 구동증폭모듈, 제어모듈 및 전원공급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제안한 SSPA는 1) 증폭모듈과 구성부품은 공간적 제약으로 작은 패키지에 통합설계 되었으며, 2) PCB 내장형 하모닉필터를 이용하여 고주파를 제거하였으며, 그리고 3) 입력신호의 듀티 변화에 대응하여 일정한 출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자동이득조절기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SSPA는 최대 48 dB의 이득과 3.1~3.5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63-63.6 dBm의 출력 전력을 보였다. 자동이득조절 기능은 15-20 dBm의 입력전력 변동에도 대해서, 출력전력이 63dBm 전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MIL-STD-810의 시험기준을 만족하는 높은 (55 ℃) / 낮은 (-40 ℃) 온도시험 프로파일을 이용한 온도시험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SSPA는 경량, 고출력, 고이득, 안전기능, 낮은 수리비, 짧은 수리시간 등 측면에서 기존의 TWTA 증폭기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Excimer-Based White Phosphorescent OLEDs with High Efficiency

  • Yang, Xiaohui;Wang, Zixing;Madakuni, Sijesh;Li, Jian;Jabbour, Ghassan E.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520-1521
    • /
    • 2008
  • There are several ways to demonstrate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for displays and solid state lighting applications. Among these approaches are the stacked three primary or two complementary colors light-emitting layers, multiple-doped emissive layer, and excimer and exciplex emission [1-10]. We report on white phosphorescent excimer devices by using two light emitting materials based on platinum complexes. These devices showed a peak EQE of 15.7%, with an EQE of 14.5% (17 lm/W) at $500\;cd/m^2$, and a noticeable improvement in both the CIE coordinates (0.381, 0.401) and CRI (81). Devices with the structure ITO/PEDOT:PSS/TCTA (30 nm)/26 mCPy: 12% FPt (10 nm) /26 mCPy: 2% Pt-4 (15 nm)/BCP (40 nm)/CsF/Al [device 1], ITO/PEDOT:PSS/TCTA (30 nm)/26 mCPy: 2% Pt-4 (15 nm)/26 mCPy: 12% FPt (10 nm)/BCP (40 nm)/CsF/Al [device 2], and ITO/PEDOT:PSS/TCTA (30 nm)/26 mCPy: 2% Pt-4: 12% FPt (25 nm)/BCP (40 nm)/CsF/Al [device 3] were fabricated. In these cases, the emissive layer was either the double-layer of 26 mCPy:12% FPt and 15 nm 26 mCPy: 2% Pt-4, or the single layer of 26mCPy with simultaneous doping of Pt-4 and FPt. Device characterization indicates that the CIE coordinates/CRI of device 2 were (0.341, 0.394)/75, (0.295, 0.365)/70 at 5 V and 7 V, respectively. Significant change in EL spectra with the drive voltage was observed for device 2 indicating a shift in the carrier recombination zone, while relatively stable EL spectra was observed for device 1. This indicates a better charge trapping in Pt-4 doped layers [10]. On the other hand, device 3 having a single light-emitting layer (doped simultaneously) emitted a board spectrum combining emission from the Pt-4 monomer and FPt excimer. Moreover, excellent color stability independent of the drive voltage was observed in this case. The CIE coordinates/CRI at 4 V ($40\;cd/m^2$) and 7 V ($7100\;cd/m^2$) were (0.441, 0.421)/83 and (0.440, 0.427)/81, respectively. A balance in the EL spectra can be further obtained by lowering the doping ratio of FPt. In this regard, devices with FPt concentration of 8% (denoted as device 4) wer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A shift in the CIE coordinates of device 4 from (0.441, 0.421) to (0.382, 0.401) was observed due to an increase in the emission intensity ratio of Pt-4 monomer to FPt excime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CRI values remained above 80 for such device structure. Moreover, a noticeable stability in the EL spectra with respect to changing bias voltage was measured indicating a uniform region for exciton formation. A summary of device characteristics for all cases discussed above is shown in table 1. The forward light output in each case is approximately $500\;cd/m^2$. Other parameters listed are driving voltage (Bias), current density (J),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power efficiency (P.E.), luminous efficiency (cd/A), and CIE coordinates. To conclude, a highly efficient white phosphorescent excimer-based OLEDs made with two light-emitting platinum complexes and having a simple structure showed improved EL characteristics and color properties. The EQE of these devices at $500\;cd/m^2$ is 14.5% with a corresponding power efficiency of 17 lm/W, CIE coordinates of (0.382, 0.401), and CRI of 81.

  • PDF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SSD TRIM 명령의 선별적 복구 (Selective Recovery of the SSD TRIM Command in Digital Forensics)

  • 황현호;박동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9호
    • /
    • pp.307-314
    • /
    • 2015
  • 최근 보조기억장치 스토리지 시장 추세는 HDD와 SSD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미래에는 HDD보다 SSD가 보조기억장치 역할로 더욱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SSD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TRIM 명령기법이 나오게 되었다. TRIM 명령기법은 과거 SSD의 문제점인 Freezing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명령으로 운영체제와 SSD가 협동하여 작동한다. TRIM 명령기법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삭제하였을 때 SSD 내부에서도 실제로 삭제하는 기법으로 유휴시간에 수행한다. 하지만,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본다면 디지털 범죄는 매년 급증하지만 데이터 미복구로 인한 검거율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TRIM 명령의 장점인 안정성(Freezing Solution)과 쓰기 속도를 최대한 지원하며 선별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여 삭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기존 기법과 선별된 기법의 성능을 측정하여 검증한다.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다중 객체 스위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제어 및 테스트 패턴 형성 (Filed Programmable Logic Control and Test Pattern Generation for IoT Multiple Object switch Control)

  • 김응주;정지학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97-102
    • /
    • 2020
  •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다중 객체의 스위치 제어는 고전압을 구동하기 위해 레벨 시프터가 있는 여러 솔리드 스테이트 구조로써 낮은 ON 저항과 양방향 릴레이 MOS 스위치를 통합했으며 외부 직렬 논리 제어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이 장치는 의료용 초음파 이미지 시스템, 잉크젯 프린터 제어 등의 IoT 기기뿐만 아니라, 켈빈 4 단자 측정을 사용한 PCB 개방 / 단락 및 누출 테스트 시스템과 같은 저전압 제어 신호에 의한 고전압 스위칭 제어가 필요한 응용 제품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테스트 패턴 생성을 사용한 아날로그 스위치 제어 블록의 구현 및 검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각 블록은 Verilog 하드웨어 설명 언어를 사용하여 구현된 후 Modelsim에 의해 시뮬레이션 되고 FPGA 보드에서 프로토타입화 되어 적용되었다. 제안된 아키텍처는 IoT 환경에서 여러개의 개체들을 동시에 제어하여야 하는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유사 형태의 IC를 테스트하기 위해 제안된 패턴 생성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