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ware Literacy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3초

강원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성인의 디지털 구강건강 문해력과 디지털 기기 활용도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and digital device utilization among adults in Gangwon-do)

  • 박찬영;김남희;오재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9-162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 of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among Korean adults in Gangwon-do.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with adults aged 30-89 residing in Gangwon-do, South Korea.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and occupation. The dependent variable was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ll performed using the SPSS 27.0 software program. Results: The elderly and those with poor socioeconomic status (p<0.001) had lower average scores due to poor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The ease of searching for oral health information and the utilization of digital devices to search for information on oral health display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r=0.730, p<0.001). To develop the use of digital devices, simplifying the search for oral information (p<0.001) is essential. Conclusions: Al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cept gender, displayed a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Both environmental and individual aspects of the respondents' living conditions must be considered to improve digital oral health literacy.

전공계열별 인공지능 교양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제언 : D대학 교양필수 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Curriculum Desig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iberal Arts Education by Major Category : Focusing on the Case of D University)

  • 박소현;서응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3호
    • /
    • pp.177-19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as a universal education that enhances th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o flexibly use artificial intelligence these days,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spreading, and the educational components based on this a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order to develop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subject and the detailed educational curriculum suitable for the subject of education, we first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prior research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liberal arts education. As the main components derived by experts, the basic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s to literacy to read and write for everyday problem solving, as well as problem-solving ability to manipulate real data and software. Finding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module, trends and prosp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ecessary competencies were checked, and cases applied to major fields were examined. In the AI utilization and application part, basic data analysis items and content composition were composed through creative thinking, logical thinking, and intelligence. In order to design the curriculum, a software development language suitable for each major area was first selected, and AI education content areas, elements, and packages were defined and designed for each major area to meet the objectives of the subject.

시각적 문해력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 : 예술계열 중심으로 (Effects of Programming Education using Visual Literacy: Focus on Arts Major)

  • 피수영;손현숙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05-114
    • /
    • 2024
  • 최근 소프트웨어 역량이 강조됨에 따라 대학에서는 전공 구분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비전공자들은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동기부여가 부족하고, 생소한 학습 콘텐츠에 대한 체감 난이도가 높은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 특성에 맞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예술계열 학생들은 시각에 대한 이해와 표현력이 뛰어나므로 시각적 문해력을 활용하면 프로그래밍 교육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의 문제를 순서도와 의사코드로 분해하여 절차적으로 시각적 이미지를 구성한다. 이를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플레이봇을 이용하여 코딩을 하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진행하여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이해하고, 문제를 컴퓨팅적 사고로 해결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으며, 프로그래밍을 자신의 전공에 활용하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오픈 콘텐츠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구성과 활용 (A Study on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elements Using Open Contents)

  • 홍명희;이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11-721
    • /
    • 2018
  • 인공 지능 기술의 발달과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의 변화로 누구나 접근 가능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다양한 오픈 콘텐츠 속에서 어떻게 접근, 이해, 활용하고, 또한 새로운 오픈 콘텐츠를 어떻게 만들고 공유하는지에 대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논문은 디지털 리터러시를 데이터, 도구, 장치 요소에 대한 각각 하위의 리터러시 개념인 컴퓨터 리터러시, ICT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로 계층화하고 인지적 능력과 비인지적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오픈 콘텐츠는 OER(Open Educational Resource)과 Open Access 운동과 같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로 정의하고, 두 정의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리터러시 요소 활용 방안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3단계 전략을 마련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오픈 콘텐츠를 선정하고, 다음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안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활동을 실시하는 교육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소프트웨어교육에서 직장인의 지각된 유용성,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 만족도의 직렬다중매개모형 분석중심-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Regulated Learning of Employees on Learning Performance in Online Software Education -Focused on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of Digital Literacy and Satisfaction-)

  • 이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83-92
    • /
    • 2022
  • 산업전반의 디지털 전환으로 소프트웨어 역량은 미래인재의 핵심역량이 되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를 위한 기업의 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소프트웨어교육에서 직장인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소프트웨어교육 경험이 있는 직장인 223명의 설문을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유용성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만족도를 다중매개하여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 요인뿐만 아니라 교육의 특성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컴퓨터 비전공자를 위한 기초 코딩 교육에서 학습자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 유형이 프로그램 이해와 작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Learners' Visual Literacy and Thinking Patterns on Program Understanding and Writing in Basic Coding Education for Computer Non-majors)

  • 박찬정;현정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1
    • /
    • 2020
  • 최근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이 점차 중요하게 다루어지면서 2019년 1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까지 초·중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을 필수교육으로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초·중등학교에서는 물론, 대부분 대학교에서도 컴퓨터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컴퓨터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코딩 교육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교양 과목으로 컴퓨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코딩 교육에서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찾고자 한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로 불리는 요즘 대학생들은 시각적 정보를 선호하고 디지털 네이티브로 컴퓨터에 익숙하다. 이런 특징을 기반으로 대학생들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 유형을 조사한 후, 기초 코딩 과목에서 학생들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유형이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작성하는 코딩 기반의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코딩이 처음인 컴퓨터 비전공자 학생들을 위한 코딩 활동에 대해서 보다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중학교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 현황 분석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 전성균;상경아;박상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1-20
    • /
    • 2019
  • 우리나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초 중학교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필수화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교육 정책을 펼치며 컴퓨터 정보 소양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학생들의 컴퓨터 정보 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전국 32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컴퓨터 정보 소양 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64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코딩 또는 프로그래밍 학습 현황, 관련 학습 경험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자신감, 학습 목적의 컴퓨터 사용 빈도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자신감, 수업에서의 주요 ICT 활동 빈도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자신감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교육을 통한 컴퓨터 정보 소양 교육 기회가 부족하였고, 상대적으로 읍면지역 학생들의 교육 기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련 학습 경험이 많을수록 컴퓨팅 사고력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사용자 경험 수준 측정을 위한 질문지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ternet Literacy Questionnaire(ILQ))

  • 김인수;김기우;김경민;명노해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97-406
    • /
    • 2002
  • A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Internet Literacy Questionnaire(ILQ)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user's knowledge on Internet literacy. ILQ was found to be reliable (showed an internal consistency) with Cronbach's alpha of 0.93(p-value<0.001) and valid with test-retest correlation of 0.90 (p-value<0.001). ILQ, composed of 21 questions, was developed to test four areas of user's Internet literacy: general experience on Internet, advanced experience on Internet, knowledge on Internet program languages, and Internet application software programs. These four factors represented 69.2% of the knowledge of all areas of Internet literacy. As a result, ILQ could be used to differentiate the levels of user's Internet knowledge as beginners, intermediates, and experts before any Internet application programs are to be developed.

대학생의 AI 리터러시 역량 신장을 위한 교양 교육 모델 (The Education Model of Liberal Arts to Improv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Competency of Undergraduate Students)

  • 박윤수;이유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423-436
    • /
    • 2021
  • 다가오는 미래사회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이 범용기술이 될 것이며, 인공지능 역량이 필수 역량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은 AI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AI 전문가를 육성하고, 누구나 AI를 이해하고, 설명하며, 응용할 수 있는 인프라와 교육 환경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인공지능 교육의 선행 연구 사례와 함께 서울 소재 31개 종합대학의 SW 교양 교육 현황을 조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SW 교양 교육과 전문적인 AI 교육을 연계할 수 있는 AI 리터러시 교육 모델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KOCW에 공개된 20개의 AI 관련 강좌를 AI 리터러시 역량을 중심으로 분류하였으며, 분류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을 위한 AI 리터러시 교양 교육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AI 리터러시 교육 모델은 기존의 이론적 교육 모델이나 컴퓨터과학적 교육 모델과는 달리 인문학적 소양과 함께 인공지능을 체험할 수 있는 AI·SW 융합 교육 모델이다. 제안하는 AI 리터러시 교육 모델이 AI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국외 컴퓨터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Analysis on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mputer Education in Schools)

  • 성정숙;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5-54
    • /
    • 2015
  • 사회 전체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운영되고 사물인터넷을 통해 초연결되는 새로운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면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분야들이 컴퓨팅 기반의 융합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을 활용하는 능력인 컴퓨팅 리터러시(Computational Literacy)는 미래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핵심역량으로서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고, 소프트웨어 원리에 대한 이해를 갖춘 인력의 확보가 곧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각 나라에서는 이를 대비하기 위해 컴퓨터과학 교육 혹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한 교육과 관련하여 그 배경을 알아보고 국외 주요국들의 컴퓨터 교육 정책과 교육과정의 최신 동향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