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o-Economic Difference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31초

국내 알루미늄 노출실태 및 노출기준 개정 제안 (Proposals for Revising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for Aluminum in Korea)

  • 김승원;피영규;백용준;정태진;이혜실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5-97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vision status of the occupational exposure standards for aluminum at home and abroad; to investigate worker exposure at domestic aluminum manufacturing and handling workplaces; to conduct social and economic evaluation for the revision of domestic aluminum exposure limit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for aluminum at home and abroad, and analyzed supporting data. An exposu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domestic aluminum manufacturing and handling workplaces. Based on these, revised aluminum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were proposed. Results: The major aluminum exposure limits at home and abroad show a notable difference. The toxicity of aluminum, which was revealed through animal experiments an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aluminum in the air at 12 workplaces was 0.016 mg/m3, and the maximum was 0.0776 mg/m3. When total dust and respiratory dust were measured side by side and simultaneously for the same process, 12.1% of the total mass concentration of aluminum dust was respiratory dust. As a result of measuring and comparing the size distribution of dust with an optical particle counter in real time, 48.1% of the total dust in the form of welding fume and pyro-powder was respiratory dus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workplace survey, three proposals for changing the aluminum exposure limit were proposed. Proposal (1): For all types, 10 mg/m3 is unified as the exposure limit except for soluble salts and alkyls. Proposal (2): 1(R) mg/m3 as the exposure limit for all forms except soluble salts and alkyl. Proposal (3): 1(R) mg/m3 for pyro-powder and welding fume, and 10 mg/m3 for metal dust, aluminum oxide, and insoluble compounds as exposure standards. A pyro-powder was defined as dry aluminum powder of 200 mesh size (74 ㎛) or smaller (larger size classified as metal dust). Reason for setting: In the workplace survey, the ratio of respiratory dust to total dust was analyzed to be about 1:10, so it was judged that the domestic standard and the ACGIH standard were compatible. Conclusions: In all scenario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exposure standard, the B/C ratio was greater than 1 or only benefits existed, so it was evaluated as sufficiently reasonable as a result of the socio-economic evaluation.

오염총량관리제의 시공간적 미래 토지이용 변화분석을 위한 CLUE-S 모델의 적용 및 평가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CLUE-S Model for Spatio-Temporal Analysis of Future Land use Change in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 류지철;안기홍;한미덕;황하선;최재완;김용석;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8-42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spatio-temporal changes in land uses and to evaluate land-based pollutant loads in the future under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using CLUE-S model. For these ends, sensitive parameters of conversion elasticities in CLUE-S model were calibrated and these calibrated parameters of conversion elasticities, level II land cover map of year 2009, and 7 driving factors of land use changes were used in predicting future land uses in 2002 with two scenarios(Scenario 1: non area restriction, Scenario 2: area restriction). This projected land use map of 2020 was used to estimate land-based pollutant loads. It was expected that urban areas will increase in 2020 from both scenarios 1 and 2. In Scenario 1, urban areas are expected to increase within greenbelt areas and deforest would be expected. Under Scenario 2, these phenomena were not expected. Also the results of estimation of BOD and TP pollutant loads, the BOD difference between scenarios 1 and 2 was 719 kg/day in urban areas and TP difference was 17.60 kg/day in urban areas. As shown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LUE-S model can be useful in future pollutant load estimations because of its capability of projecting future land uses considering various socio-economic driving factors and area-restriction factors, compared with conventionally used land use prediction model.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MBTI Personality Types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 강원미;문혜련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7-158
    • /
    • 2017
  • 본 연구는 영아반 보욕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전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반 보육교사 35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 중 판단형(J)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높은 전문성 인식을 보이며, 인식형(P)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낮은 전문성 인식을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외향형 교사가 내향형 교사보다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감각형과 직관형에 따른 전문성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고형 교사가 감정형 교사보다 '공정성'과 '전문단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판단형 교사가 인식형 교사보다 '사회 경제적 지위', '사회 봉사성',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 채용시 MBTI 성격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반과 영아반 중 더 맞는 역할을 제공할 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과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서적 전문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임부의 공포와 개인 및 환경변인의 상오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Fear During Pregnancy and Person and Environmental Variables in Pregnant Women)

  • 정송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1-143
    • /
    • 1974
  • Antenatal care is zoomed toward3 assisting the Individual to achieve safe and wholesome state of health during pregnancy. Nature of fear is assumed to be rooted to complex interaction between past experiences, human relationship and present state of health, however.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fear and the variables have not yet been ascertained.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fear of pregnanc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fear and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past experiences. and psycho-social factors.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3 to November 5, 215 pregnant and 104 non-pregnant women of similar chronological are group residing in Seoul were interviewed according to check-list by random General anxiety test, general personality test and test for fear of pregnancy, family according to specific variables such as past experience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structure of family, family relationship and month of pregnancy was done to the group of pregnant women. To non-pregnant group, general anxiety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with pregnant group.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Hypothesis 1; Degree of general anxiety will be higher e pregnant women compared to that of non-pregnant wome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anxiety of pregnant women and that of non-pregnant women. Therefore, hypothesis I is rejected. 2. Hypothesis 2: Fear of pregnancy and general anxiety will be correlated with personality factors. Through test for fear of pregnancy and general anxiety, a meager contra-correlation between fear and only two personal factors (R and E factor) is revealed but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ear and other personal factors (A.S. and T factor). Degree of fear of pregnancy tends to b: higher in the group with low personality factors; responsibility and emotional stability expect the correlation between ascendancy, sociability, and confidence-inferiority. non-significant. Through general anxiety test, level of general anxiety tends to be higher in the group. with low personality factors; responsibility. emotional stability, and confidence except ascendency and sociability, non-significant. Hypothesis 2 is partially supported. 3. Hypothesis 3; General anxiety and fear of pregnancy will be correlated with the past experience-ol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 Though general anxiety test and test for fear of pregnancy, non-significant difference is revealed by P〉.05 level Hypothesis 3 is rejected. 4. Hypothesis 4: General anxiety and fear of pregnancy will be correlated with the month at pregnancy will be correlated with the month of pregnancy. Through tests of general anxiety and fear, significant correlation is revealed degree of fear by-P〈.05 level (CR=1.98) and level of general anxiety by P〈.005 level (CR=3. 11) is higher in the earlier stage of pregnancy. Hypothesis 4 is supported. 5. Hypothesis 5, 6, 7; General anxiety and fear of pregnancy will be correlated with socio-economic status, family structure, and family relationship. Through general anxiety test and tear of pregnancy test, non-significant is revealed by P〉.05 level. Hypothesis 3.6.7 are rejected.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Level of general: anxiety and degree of fear of pregnancy is shown not to be correlated with variables of past experiencer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family factors except the month of - pregnancy.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shown to be partially contra-correlated meagerly with genera anxiety and fear of pregnancy. This study revealed contrasted results, in regard to presence of correlation between general anxiety and fear of pregnancy to other thesis. In this context. further studies under controlled environment is recommended.

  • PDF

정신질환자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발병초기와 만성 정신질환자의 비교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e on the family func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 Comparison of the persons with recent onset and chronic mental illness -)

  • 조은정;김현수;김종천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7호
    • /
    • pp.99-124
    • /
    • 2017
  •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의 가장 기본적인 보호체계인 가족의 기능에 대한 기존연구가 정신질환의 발병 단계(초기, 만성)에 대한 고려 없이 진행된 한계를 극복하고자 발병초기 정신질환자가족과 만성 정신질환자 가족의 가족기능이 차이가 있는지, 각 그룹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부산지역 정신보건 서비스 이용 정신질환자 62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발병초기 정신질환자의 가족기능보다 만성 정신질환자 가족기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발병초기 정신질환자의 경우 가족기능 괴리감이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만성 정신질환자의 경우 일상생활수행능력, 주보호자의 건강상태, 가족기능 괴리감, 지역사회지지가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확인되어 두 그룹의 영향요인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현장에서 고려 할 수 있는 발병초기와 만성 정신질환자의 가족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별적방법을 제언하였다.

기후 및 토지이용 변화 시나리오 기반 한반도 미래 수문학적 및 생태학적 가뭄 전망 (Projecting future hydrological and ecological droughts with the climate and land use scenarios over the Korean peninsula)

  • 이재형;김연주;채여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6호
    • /
    • pp.427-436
    • /
    • 2020
  • 기후 변화는 한반도 가뭄 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지만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면 모델링 시스템 중 하나인 WRF-Hydro 모형에 기후변화와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한반도 미래 가뭄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기후 변화 자료는 RCP2.6과 RCP8.5 시나리오, 지표면 변화 자료는 공통사회경제경로(Shared Socio-economic Pathway, SSP) 시나리오를 사용하였다. 임계수준 방법을 적용하여 유출량과 순일차 생산량(Net Primary Productivity, NPP)값을 이용한 미래 수문학적 가뭄과 생태학적 가뭄을 정의하였고, 각 시나리오 별 가뭄의 기간과 강도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문학적 가뭄 기간은 RCP2.6-SSP2 가까운 미래(2031-2050)와 RCP8.5-SSP2 먼 미래(2080-2099) 시나리오에서, 생태학적 가뭄 기간은 RCP2.6-SSP2 먼 미래와 RCP8.5-SSP2 가까운 미래에서 긴 가뭄 기간을 보였다. 가뭄 강도는 가뭄 기간과 다르게, 두 가뭄 모두 RCP2.6-SSP2 먼 미래와 RCP8.5-SSP2 가까운 미래에서 큰 강도를 보였다. 수문학적 가뭄의 경우 RCP2.6-SSP2 먼 미래가 가장 심도가 크고 임계수준의 크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생태학적 가뭄 심도는 RCP2.6-SSP2 가까운 미래와 RCP2.6-SSP2 먼 미래에서 큰 심도를 보이고, 임계수준에 따른 심도 크기의 시나리오 별 차이는 작았다. 이 연구는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한반도 미래 수문학적 및 생태학적 가뭄 특성을 이해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차 산업혁명 기반 한국 벤처기업의 SWOT요인에 대한 중요도 분석 (Analysis of the Weight of SWOT Factors of Korean Venture Companies Based on the Industry 4.0)

  • 이동익;이상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115-133
    • /
    • 2021
  • 본 연구는 그 동안 혼재되어 왔던 4차 산업 혁명의 개념과 관련 기술 들을 살펴보고 이로 인한 사회 경제적 변화와 영향 및 주요 국가의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사례를 검토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벤처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한 SWOT 요인 도출 및 요인별 중요도 산출을 통해 정부 및 정책 입안자들에게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 제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나아가 한국벤처기업 들에게는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 이후에 진행할 학문적 심층 연구를 위해서도 기초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4차 산업 관련 분야에서 한국 벤처기업의 내부 역량과 외부 환경 변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 문헌 탐구와 자료 조사를 통해 총 21개의 SWOT 요인을 도출하여 이를 업계, 학계, 정책전문가 그룹으로 구분하여 델파이 조사를 통해 확정하였다. 또한 이를 체계적 의사결정 기법인 AHP 기법으로 항목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강점(48%)→기회(25%)→위협(16%)→약점(11%)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세부 항목별 중요도 분석 결과에서는 총 21개 세부항목 중 상위 3개 항목으로는 '신속하고 유연한 사업화 능력, '플랫폼·빅데이터·비대면 서비스 활성화, 'ICT 인프라 구축 및 활용'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하위 3개 항목으로는 '안정적인 거시 경제 및 SOC 기반', '세계적 보호무역 기조에 따른 해외시장 진출 어려움, '외국인 투자규모 절대 열세' 항목은 우선순위가 낮게 나타났다. 전문가 그룹별 견해 차이를 보기 위한 중요도 순위 검증 결과, 업계와 학계전문가는 상관관계가 높고 업계와 정책전문가는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여 큰 견해 차이가 없었으나 학계전문가와 정책전문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p<0.01) 중요도에 대한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는 정책전문가는 강점 항목인 '신속하고 유연한 사업화'와 기회 항목인 '우수한 교육시스템 및 고급인력 보유', '신시장 창출'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학계전문가는 강점 항목인 '정부 정책의 지원 부분'을 훨씬 중요하게 생각하는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한국벤처기업이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강점과 기회요인의 해당 항목 들을 우선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함을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학계와 정책전문가 사이에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강점 요인과 기회 요인의 세부 항목 차이는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하구 환경관리를 위한 관리구역 경계 설정방안 (Defining the Boundary of Estuarine Management Zone for Estu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 이강현;조현정;노백호;이창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4호
    • /
    • pp.203-224
    • /
    • 2012
  • 실질적인 하구환경의 관리를 위해서는 관리구역, 즉 하구역이 먼저 정의되어야 한다. 그러나 하구역의 경계를 설정할 수 있는 과학적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아직까지 체계적인 경계설정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하구의 물리화학적 특성 등의 과학적 자료와 더불어 지리 지형적 특성 및 이용개발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하구역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하구를 하구순환의 유지여부에 따라 열린 하구와 닫힌 하구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속한 개별 하구에 대해 물리화학, 지리지형학 및 이용개발 특성을 고려하여 하구수역의 경계를 설정한 후에 하구수역에 영향을 미치는 하구육역의 경계를 설정하는 순차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라 국내 274개 하구역의 경계를 시범적으로 설정해본 결과 각 하구별로 가용한 자료의 수준과 지역 특성의 차이를 합리적으로 고려한 하구역 경계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음주 실태 ;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중심으로 (Drinking conditions of adolescents ;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최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86-192
    • /
    • 2017
  •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3년, 2014년, 2015년 최근 3개년간의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중학생 및 고등학생의 음주 행태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조사에 참여한 표본이 우리나라 청소년의 대표성을 갖도록 지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였으며,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음주 행태에 대해 3개년간의 추이를 확인한 결과 문제음주 항목에서는 다소 하강상태를 보였으나, 음주시작시기(중학교 2학년;21.5%), 음주일수(20-29일;3.8%),음주량(2병 이상;12.2%), 구매 방법 및 용이성(편의점 구매;32%, 굳이 구매하려하지 않음52%), 음주교육 유무(음주교육 받지 못함;72%)등의 항목에서 꾸준한 상승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항목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학교유형에서는 남녀 공학이, 학교 급에서는 고등학교가, 거주형태에서는 자취, 사회경제적 수준에서는 '중 상' 으로 응답한 학생에게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음주행태에 대한 3개년 간 결과를 비교해 볼 때 그 결과의 추이가 여전히 주의할 만한 수치여서 음주에 대한 보건 교육이 학교뿐 만아니라 가정 그리고 지역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며, 모두가 함께 청소년 음주에 대한 주의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의료보험서비스 가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소득계층간 접근형평성 관점에서 (A study on appropriateness of price of medical care service in health insurance)

  • 전기홍;최귀선;강임옥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3호
    • /
    • pp.460-470
    • /
    • 1998
  • By expanding health insurance, customers will carry a smaller burden of medical costs. As a result, the number of visits to a physician increase and this result in the improvement of medical accessibility. But medical care utilization may be changed not only by insurance status but also by socio-demographic factor, economic status and other factors. The question thus remains, at which level of accessibility and what price of medical care service in health insurance will the customer and the medical care service be satisfied. The price of medical care service ls comprised of the customer's out-of-pocket money and the costs not covered by health insurance. If the price of medical care services in health insurance are appropriate, medical care utilization should not differ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income status or the acuteness of illness. But If the price is not adequate, low income groups will receive relatively low medical care utilizatio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chronic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the various income groups and those with varying acuteness of illness. The major hypotheses to test in this study are : (i)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different income groups exist, (ii) whether differences in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different income groups exist with the hospital type. (iii) whether differences in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different income groups exist with the acuteness of illness and with ag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JongRo District Health Insurance Society in Seoul. A total of 118,336 persons were selected as the final sample for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volume of ambulatory utilization among us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income level. 2. Among different income groups, the volume of ambulatory utiliz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he acuteness of illness. 3. Higher income groups with chronic diseases had a greater volume of ambulatory utilization than other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