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ork practice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22초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수준과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 (A Study of Social Worker's Reflective Thinking and the Usage of Practice Skills)

  • 유영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337-362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신의 실천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가 실천기술의 활용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반성적 사고는 자신의 실천행위를 스스로 평가하고, 실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되돌아보는 인식 과정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반성적 사고수준은 Dewey, Mezirow, Kember 등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와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반성적 사고수준과 함께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료와 수퍼바이저와의 상호작용 등 사회복지 조직이 갖는 특성들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는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반성적 사고수준이 심층적으로 깊어질수록 실천기술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폭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켜 실천가 자신과 실천현장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고 사회복지 전문직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제안하고 있다.

한국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반-억압 실천 (Anti-oppressive practice)의 적용가능성 연구 (A Study on Applicability of Anti-Oppressive Practice to Foreign Workers in South Korea)

  • 양만재;김안나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3호
    • /
    • pp.247-278
    • /
    • 2018
  • 한국사회복지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국내 체류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서비스 전달정책과 실천에 그 관심의 폭을 확대하고 있다. 사회복지실천은 외국인 근로자들을 지원하는 현장 실천가들의 문화적 역량강화에 역점을 두고 연구와 실천을 수행해왔다. '문화적 역량강화를 위한 실천론'은 외국인이주자들이 한국사회에 순응하고 적응을 돕는 실천론으로서의 강점이 있다. 그러나 문화 역량강화는 그들이 당하는 차별과 그들을 억압하는 한국문화와 제도 등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의 변화를 모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영국에서 사회복지실천개혁의 배경으로 발전된 사회구조 변화를 통해서 사회정의와 인권 가치를 실현하는 반-억압실천론(anti-oppressive practice)의 한국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외국인 근로자와 그들을 지원하는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인터뷰를 기초로 외국인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차별의 유형과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실천방법을 분석하고 반-억압실천론(anti-oppressive practice)이 외국인근로자에게 적용 가능한가에 대한 의견을 제안한다.

사회복지 실천의 지식기반과 학문적 특성에 관한 연구 (Rethinking Knowledge Base of Social Work Practice)

  • 홍선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195-214
    • /
    • 2004
  •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의 학문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고려한 인식의 틀 속에서 이론적 정체성과 학문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복지실천이론의 분석을 위한 구성적 특성과 이론적 속성을 살펴본다. 실천에 영향을 주는 구체성의 정도에 따라 패러다임, 시각, 이론, 모델, 실천 지혜 등을 기능적으로 분류하여 사회복지실천지식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각기 다른 수준에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지식의 역할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지식의 객관성과 주관성, 사회적 변화와 기능적 적응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인식론적 입장과 학문적 시각을 폭넓은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스펙트럼 내에서 분석한다. 실천지식에 관한 이론적 분석은 사회복지실천의 존재론적 가치와 과학적 이론화 논쟁 속에서 각각의 유용성과 한계를 비교하며 사회복지실천에 적합한 공통적 지식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실천학문의 정체성과 전문화, 학문적 맥락과 실천현장의 적용성과 관련된 논의를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중심가치와 통합된 이론체계의 구성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사회복지 실천학문의 특성을 반영하는 지식기반의 구성을 위한 탐색과정은 학문의 내적 일관성을 높일 뿐 아니라 외적으로 전문직의 역할과 전문화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로서 사회복지직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함의를 갖는다.

  • PDF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임파워먼트 기반의 사회복지실천 연구 (Social Work with Marriage Based Immigrant Families: an Application of Empowerment Approach)

  • 윤혜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85-108
    • /
    • 2009
  •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가족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도전에 대해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 임파워먼트 접근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결혼이민여성의 프로필과 지원서비스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적응관련 쟁점을 정리하였다. 셋째, 적응쟁점을 개인과 가족 관계, 지역사회 관련 및 사회문화 관련으로 구분하고, 임파워먼트 기반 사회복지실천 접근의 내용을 각각의 쟁점별로 거시 중도 미시적 수준에서 논의하였다.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차별화된 접근은 다문화역량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보고, 사회복지사 자신과 사회복지기관, 지역사회의 문화적 편견에 대한인식과 다문화 지식 및 기술의 개발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다문화역량 확보에 대한 사회복지학계와 실천현장의 대응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실천수행에 미치는 영향 : 직무환경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Leadership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n the Practice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 Focused on Work Environment Mediated Effect)

  • 유영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53-360
    • /
    • 2019
  • 본 연구는 조직의 리더십과 직무환경이 사회복지사의 실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7월 4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 소재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205명의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실천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혼상태, 리더십(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직무환경(직무평가 공정성)으로 나타났으며, 리더십과 실천수행의 관계에서 직무환경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실천수행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 성숙도에 따른 적절한 리더십 발휘와 더불어, 직무환경으로서의 직무평가에 대한 공정성을 증진시켜야 함을 논의하였다.

복지공간으로서 인보관을 통한 사회복지실천의 뜻과 정체성의 사유 : 토인비 홀과 헐 하우스의 비교 (Meaning and identity of social work practice by thinking through settlement house as a welfare space : Comparison of Toynbee Hall and Hull House)

  • 박선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1호
    • /
    • pp.91-111
    • /
    • 2017
  • 이 연구에서 19세기말-20세기 초 영국의 토인비 홀과 미국의 헐 하우스 두 인보관의 사상과 활동을 소환하는 목적은 첫째, 당시 사회복지실천이 점진적으로 형태를 갖추게 된 계기와 당초의 뜻을 찾아보는 것이다. 둘째, 개인화의 문제와 대안의 공동체 만들기가 공존하는 이 시기에 당시 '사회적 일'로 시작된 맥락과 영국과 미국의 특징적인 활동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현재 의미와 정체성에 유용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문헌들을 활용하여 서사를 고찰하되 인보관이라는 장소가 복지공간으로 구성된 당시 시대정신과 활동, 지도력을 목적과 위치, 전문성과 교육, 사회행동 차원으로 분석하며 오늘의 의미를 살리고자 하였다. 유용한 분석 결과는 첫째,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은 상반되기 보다는 빈곤에의 대응책으로 '제안-실행-비판-대안의 제안-사회복지실천의 대두'가 진행된 일련의 과정 속에서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인보관은 빈곤문제를 중심으로 계층, 젠더, 개인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민간과 공공의 개입 등 여러 현상을 담은 담지자로서 복지공간을 구성하였다. 셋째, 두 인보관은 상이점도 있지만 둘 다 공공의 선과 안녕을 목적으로 하여 사회적인 일, 즉 사회복지실천을 구체화시켰다. 끝으로, 인보관의 복지공간으로서의 의의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사회복지실천의 효율성 증대방안 모색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숨은 규칙' (implicit rules) 찾기 (Identifying Implicit Rules in Social Work Agencies for the Exploration of Measures to Promote Efficiency of Social Work Practice)

  • 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6권
    • /
    • pp.236-262
    • /
    • 2001
  • This discovery-oriented study explored 31 social workers' perceptions of discrepancies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rules in their work places that are supposed to affect the quality of social work services, and identified eight categories of dilemmas: (a) confused accountability or purpose, (b) ambiguous principle, (c) improper authority, (d) confused role of social workers, (e) conflict between ideal and reality, (f) confused work ethics, (g) confused boundary of workers' rights, and (h) binds. These eight categories revealed the real philosophy and purposes of social work agencies, work ethics and values prevalent among social work agencies, agencies' orientation toward clients, and the conditions of social support from the society in large. Instead of searching for discrete variables as separately responsible for inefficient social work services, this approach probed malfunctioning implicit rules in a holistic context to see if inefficient or ineffective provision of social work services is a logical response to a much larger and deeper nexus. Insight into discrepant rules does not solely ensure the improvement of social work practice in the field, particularly if their identification is simply used as another opportunity to blame and avoid self-responsibility. However, such discrepancies between implicit and explicit rules are real enough to the staff workers and agency administrators that they may want to begin the dialogue of contradictory rules as a way of sanctioning discussion of previously forbidden topics. This study provided the ground-work for the dialogue.

  • PDF

바우처 도입에 따른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의 변화와 그 의미 (A Study on the Change and Meaning of Identity in Social Work Profess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Voucher in Korea)

  • 김인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33-58
    • /
    • 2010
  • 이 연구는 사회서비스 전달에서 바우처의 도입이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방법은 바우처 실천을 수행하는 20명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실천에서 바우처 도입은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혼란을 가져다주었는데, 사회복지사들의 역할을 중개적 관리자로,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시장적 관계로 변화시켰으며, 이는 관료적 통제의 증가와 영리화 기제를 통해 자율권을 축소시킴으로써 이루어졌다. 사회복지전문직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변화가 아닌 '재구조화'로 볼 수 있고, 사회복지실천에서 관리주의의 압력이 가시화되고, 유사 사적실천을 형성하는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임파워먼트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에서 임파워먼트 실천은 가능한가? (A Qualitative Study on the Meaning of Empowerment Perceived by Social Workers : Is the Empowerment Approach Applicable in Korea?)

  • 김인숙;우국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9권
    • /
    • pp.34-61
    • /
    • 2002
  • Recently, the concept of empowerment has become popular within social work practice. Despite of this trends, we have little empirical knowledge about what empowerment practice is and how it is applicable to practice settings in Korea. This study explored how social workers perceived and experienced the concept of empowerment. We used qualitative method to solve this questions.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7 social workers serving in diverse setting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Participants had common perceptions of empowerment concept despite of the different settings. They perceived power as confidence, independence, self-control. The client/worker relationships were open, nonhierarchial egalitarian and characterized by mutuality and reciprocity. They emphasized the nature of empowerment as circular and diffusive process. Also, they orientated long term practice related to impatience of social workers. Finally, those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allenged and reinterpreted the existing traditional "professionalism". We concluded that empowerment practice might demand infinite energies, social worker's creativity, trust of clients, and that empowerment practice would be a new approach in social work practice which influence on much more population because of its diffuseness.

  • PDF

사회복지사들의 조사연구활용에 관한 연구 (Social Worker and Research Utilization in Social Work Practice)

  • 정순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2호
    • /
    • pp.251-27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들의 조사연구활용 정도를 파악하고, 조사연구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이며, 다단계 추출법에 의해 표본을 추출하였다. 우편조사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569명의 자료에 대한 순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들의 조사연구활용 정도는 매우 낮았지만, 조사연구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다. 조사연구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주로 사회복지사의 조사연구 활용능력과 관련된 조사연구에 대한 재교육 경험, 연구저널이용경험, 조사연구의 유용성에 대한 태도, 성별 등이었으며, 환경특성으로는 기관의 종류가 유의미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가지고 조사연구활용 활성화 방향을 찾아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