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pplicability of Anti-Oppressive Practice to Foreign Workers in South Korea

한국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반-억압 실천 (Anti-oppressive practice)의 적용가능성 연구

  • Yang, Man Jae (Gyeongbuk Advocacy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 Kim, Anna (Daegu Catholic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양만재 (경상북도장애인권익옹호기관) ;
  • 김안나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8.07.31
  • Accepted : 2018.09.20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Anti-oppressive practice (AOP) is a form of social work practice that has developed in the UK. In South Korea, Anti-oppressive social work has not been widely studied / explored unlike in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Its main principles, social justice and human rights, have become commonplace. AOP includes transformational practice because its orientation emphasizes social change through celebrating diverse identities and rejecting hierarchies of oppression and prestige. Recently,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on social work with foreign workers has resulted in an increased understanding of its population and its needs. It need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 for foreign workers necessary to inform effective models of service delivery, reflecting cultural competence, and changing oppressive social structure. In this paper, we will introduce the main principles of AOP, analyse written texts reflected by foreign workers and social work practitioners' opinion, and suggest the implications on possibilities and constraints of applicability to foreign workers in South Korea.

한국사회복지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국내 체류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서비스 전달정책과 실천에 그 관심의 폭을 확대하고 있다. 사회복지실천은 외국인 근로자들을 지원하는 현장 실천가들의 문화적 역량강화에 역점을 두고 연구와 실천을 수행해왔다. '문화적 역량강화를 위한 실천론'은 외국인이주자들이 한국사회에 순응하고 적응을 돕는 실천론으로서의 강점이 있다. 그러나 문화 역량강화는 그들이 당하는 차별과 그들을 억압하는 한국문화와 제도 등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의 변화를 모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영국에서 사회복지실천개혁의 배경으로 발전된 사회구조 변화를 통해서 사회정의와 인권 가치를 실현하는 반-억압실천론(anti-oppressive practice)의 한국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외국인 근로자와 그들을 지원하는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인터뷰를 기초로 외국인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차별의 유형과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실천방법을 분석하고 반-억압실천론(anti-oppressive practice)이 외국인근로자에게 적용 가능한가에 대한 의견을 제안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