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ork major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9초

주거학 교육의 특성화 증대방안으로서 시설경영 교과과정 도입의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a Facilities Management Program as a Way of Specialization of Housing Studies)

  • 이경희;조유현;김영주;이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1권3호
    • /
    • pp.107-121
    • /
    • 2007
  • Many housing studies and education programs in Korea have focused on design, planning, and construction. Houses and nearby environments are a large portion of the total assets each household possesses. However, effective and efficient housing management of housing assets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Facility management can be defined as the practice of coordinating the physical environment with the people and process (work of the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onstruct of courses of Housing majors in the College of Human Ecology in Korea and investigate facilities management programs and courses provided in the U.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erging facility management perspectives and educational programs into housing studies. Many courses provided in facility management programs have human ecology perspectives in terms of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life cycle commitment, and various stakeholders building physical, social, and ecological milieu. By merging and supplementing the existing curricula of housing and consumer studies, facility nanagement programs and courses could be a possible alternative to specialized housing education programs.

  • PDF

패션 브랜드 유튜브 캠페인에 나타난 해체주의적 특성 (Deconstruction Characteristics in Fashion Brand YouTube Campaign)

  • 이영재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3호
    • /
    • pp.35-49
    • /
    • 2023
  • The purpose is to derive its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objectifying the visual image of the YouTube campaign into adjectives. As a result, we intend to identify advertising strategies that use them as basic data for setting fashion design concepts. A group of experts in fashion majors watched each of them, wrote adjectives, and collected 75 adjectives.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adjectives, aesthetic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with adjectives recording the upper number of times,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that they had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amburin's Jenny appeared to be strange, scary, rambling and charming. Among the internal meanings of deconstruction due to spatial, soci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consumers, it can be said that T.P.O's mutual textuality and play of interaction. Second, Gucci Cruise be chosen rural, strange, wild, unharmonious, and difficult, which is a mixture of intertextuality and play of T.P.O. Third, The Excise Gucci Campaign parodies that juxtaposes six films directed by Stanley Kubrick, making them strange, retro, difficult, interesting, and wrong. Deconstructionist de-genre and de-boundary Fourth, Kenzo World is weird, dynamic, wrong, difficult, difficult, and confused, which correspond to T.P.O's interactive textuality, play of the second half, and destruction and decomposition among the external expressions of deconstruction. Fifth, Burberry Hero emphasized the aesthetic value of traditional men, so it was ostensibly wild, free, powerful, sensual, and fantastic. Compared to the lifestyle of men who usually work at work, this corresponds to play of second best.

외식전공 대학생의 외식산업분야 직업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ccupation-appraisal of Students' Majorin in Culinary and Food Service)

  • 진양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0-253
    • /
    • 2016
  • 본 연구는 외식전공 대학생의 외식산업분야 직업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응답자 특성에 따라 외식산업분야의 직업평가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4년 5월 19일부터 5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211부를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t-test, One way ANOVA를 시행하였다. 직업존중감에 대한 척도는 긍정적 가치, 사회적 평판, 부정적 대우, 상대적 효익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구성개념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직업존중감의 요인 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사회적 평판을 다르게 지각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학년의 차이에 따라 긍정적 가치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 전공에 따라 긍정적 가치와 부정적 대우에 대해 인지하는 정도가 다르다고 분석되었으며, 미래 희망직업에 따라 상대적 효익과 부정적 대우를 다르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는 직업존중감이 높아지면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진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따라 외식전공 대학생의 직업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외식산업분야 직업에 대해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사회적 평판과 부정적 대우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개선책을 마련해야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전공선택동기와 학업성취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jor Choice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Maturity)

  • 문은조;오지원;김용석;박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61-168
    • /
    • 2023
  • 이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개인적 동기, 사회적 동기),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C도 소재 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전공선택 개인적동기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도는 전공선택 개인적동기(r=.417, p=.0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전공선택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은 전공선택 개인적 동기, 경제활동, 전공계열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24%이었다. 따라서 전공과 관련있는 분야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대학차원의 지원이 필요 할 것으로 보여지며 전공선택시 개인적동기가 중요한 만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체험이나 미래 직장체험등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여 전공선택시 개인적 동기를 높이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컴퓨터공학 교육에서 젠더 다양성을 위한 교육 방안 (The Scheme of Education for Gender Diversity in Computer Engineering Education)

  • 조정래;임숙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3-20
    • /
    • 2015
  • 현재 컴퓨터공학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여학생들의 전공과 일에 대한 가치관을 조사하고 전공 만족도와 유지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평가 과정 개발을 위한 새로운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 사회에서 컴퓨터공학 기술 분야의 젠더 다양성을 높이고 여성과 컴퓨터공학 기술 분야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는 데 기여하기 위하여 컴퓨터공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량적 및 정성적 조사를 실시한 결과 여학생의 경우 컴퓨터공학 교육 과정을 접하면서 흥미가 감소되고 멘토가 부족하며 자아 존중감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났고 전공과 직업 선택의 연계 과정이 불일치할 수 있어 여성의 이공계 탈출 현상을 초래할 수 있음이 드러났다. 연구 결과 컴퓨터공학 전공 여학생에게 적합한 ICT교육 방법은 지역적,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 맞게 재설계되어야 하며 컴퓨터공학 전공 여학생들이 갖고 있는 불안감이나 약한 조직 소속감에서 드러나는 특성을 우선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맞는 교수법을 제안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일 치위생(학)과 현황과 일부 대학의 교육 과정 비교 -일부 한국 학생 요구도를 중심으로- (Current Status of Dental Hygiene and Comparison of Some Curriculums in Korea and Japan)

  • 정현자;후지와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896-4906
    • /
    • 2010
  • 2010년 D대학 치위생과 3학년 200명을 대상으로 해외 진학 및 취업에 관심이 있는 아시아 국가를 조사한 결과, 일본이 114명(60.3%)으로 가장 높게 나왔고, '기회가 된다면 아시아권 해외 진학 및 취업을 희망하십니까?'라는 질문에 그렇다가 72명(38.1%)으로 가장 많았다. 가장 관심이 높았던 일본은 2년제 51개 대학, 3년제 101개 대학, 4년제 6개 대학으로 총 158개 대학에서 치위생학과가 개설되어 있었고, 학교 법인은 관동지방(간토)이 25개로 가장 많았다. 일개 학제별 한 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교과목이 다수였으며, 3년제는 39개 4년제는 44개였다. 일본의 국가고시 교과목이 19개 과목으로 해부학 외 9개 과목이 100점, 치과임상개요의 치과임상개론 외 8개 과목이 50점, 치과진료보조 외 1과목이 50점으로 총 배점이 200점이였고, 일본의 4년제 치위생사양성과정은 졸업 후 치과위생사 면허와 함께 동경의과치과대학 치과구강보건학과에서 사회복지사, 히로시마대학 치과 구강건강과학과는 양호교사(보건교사) 1종 면허 등을 선택적으로 동시에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업무영역을 확대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다.

지역 대학의 장기현장실습(Co-op) 활성화를 위한 사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미국 센트럴워싱턴대학교를 사례로 - (The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lications of Co-operative Education in a Regional Public University : The Case of Central Washington University, USA)

  • 이종호;채민수;장후은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39-648
    • /
    • 2015
  • 최근 들어 졸업생의 취업 경쟁력 강화, 기업친화형 우수 인재 확보, 대학 내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Co-op 교육(장기현장실습) 중심의 산학협력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대학들은 전공연계성과 취업연계성이 낮은 단기 인턴십 위주의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주로 운영해 왔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여, 정부는 현재 '현장실습 운영 지침' 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장기현장실습 시범대학을 선정하는 등 장기현장실습 중심의 산학협력교육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산학협력교육의 제도적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 제도를 오랫동안 시행해 온 북미와 유럽의 대학들에 대한 다양한 사례 연구가 축적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센트럴워싱턴대학교(CWU)를 사례로 하여 Co-op 교육의 운영 실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산학협력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사례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WU 학생들은 주로 좁게는 카운티 내, 넓게는 워싱턴 주 내에서 현장실습을 수행하고 있으며, 실습을 했던 기관으로 취업을 하는 경우가 많아, 현장실습의 지역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WU의 현장실습 프로그램은 전공연계성이 높고, 특히 인문사회, 예체능, 사범계열의 학생들의 현장실습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습 참여 학생의 자격조건은 엄격한 대신, 전공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였을 때, 우리나라 대학들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또한 전공연계성, 취업연계성, 지역연계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둘 필요가 있고, 대학 및 전공의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치기공과 학생들의 해외취업에 대한 선호도 조사 (A Study on the Preferences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for Overseas Employment)

  • 김임선;김정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03-314
    • /
    • 201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find overseas workplace and improve global competence through the preference survey on overseas employment by dental technology students. Methods: The survey sample consisted of 250 randomly selected dental technology students.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 to May 1 in 2012. Total of 245(98.0%) replies and analyzed 236 questionnaires excluding 9 incomplet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7 items for general information, overseas employment characteristics of 10 items, 7 items for overseas employment activation plane and job competency development of 7 item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Win 19.0 statistics program. Result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131 third graders(55.5%), 63 first graders(26.7%) and 42 second graders(17.8%) among 130 males(55.1%) and 106 females(44.9%). 221(93.6%) of the subjects had no experience in language training. Students who had clinical training for 1-5 months were 123(52.1%), and 24(10.2%) students had more than six months. 89(37.7%) of the subjects had no clinical training. 155(65.7%) of the subjects hope to work with korean owner, and 81(34.3%) chose foreign owner. Favored working countries were Australia(41.5%), the United States(29.2%), Canada(18.2%) and other(11.0%). The field of dental ceramic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proportion of 104(44.1%). Period of training were 3 hours(40.3%) and 6 hours(35.2%). The most important training were language-centered education(54.2%), Job-oriented education(24.2%), local culture education(16.1%), other(3.0%) and Leadership Training(2.5%). The subjects chose overseas worker(44.9%), working-level practitioner (28.8%), successfully employed dental technology graduate(19.5%a) and professor(3.4%) as an instructor. The subjects get education and training information from professor(40.3%), other(28.0%), senior(14.4%), job site(8.9%) and acquaintance(8.5%). A credit exchange(2.46 points), a joint degree program(2.46 points), and a foreign professor(2.33 points) were needed to activate the overseas employment. A kind of dental prosthesis(3.58 points), carving tooth morphology(3.38 points), and majors of dental technology(3.30 points) were indicated to develop job competency for overseas employment. Age, year, clinical training experience and company owner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ata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ffecting job competency development. Conclusion: The college needs to offer variety programs such as foreign language-centered education and a local job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to graduates to be connected with international workplace and employment.

특성화고 조경과 학생들의 기능인력 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ocational High School-to-Work Opportunities System and Training of th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 이준호;정태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8-46
    • /
    • 2013
  • 특성화 고등학교(이하 특성화고)의 교육 목적은 행복한 직업인이 되기 위한 직업 기초능력의 배양에 있고, 학생들은 배운 직업 기초능력을 토대로 사회에 진출하여 자신의 적성과 흥미, 가치관에 맞는 직업을 찾아야 한다. 그래서 특성화고의 목적 달성과 비전제시를 정확히 하기 위해 정부가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정부 주도의 구조 지향적 방향 제시는 사회구조와 개인의 인식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다가오는 선진 한국 사회에서 직업인으로서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하여 사회구조의 핵심이 될 수 있는 사회편견(차별)과 인식이 전환되어야 하고, 그 해결점은 배우는 학생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더불어 그들이 안정적인 미래를 보장 받을 수 있는 직업선택의 구조를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목적을 벗어난 무조건적 진학 위주의 특성화고 문제점을 안고 있는 조경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능인력 양성 만족도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조경과가 설치된 전국 11개 지역의 특성화고 교육계획서, 공통으로 배우고 있는 교과서, 특성화고 직업교육 정책과 관련한 정부간행물, 특성화고에서 조경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교육계획서 분석을 통하여 각 학교별 교과 및 직업교육과정에 대한 프로그램 유형과 빈도를 알 수 있었고, 교과서 내용 분석에서는 취업 시 필요한 전문적인 기능을 양성할 수 있는 교과서 내용의 수준과 가감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의 특성화고 직업교육 정책 분석에서 직업교육 과정 및 체제의 특징을 밝혔으며, 11개 학교 조경전공 학생들의 설문 조사를 통해 교육계획서, 교과서, 정부직업정책, 진로선택으로 나누어, 실제 학교에서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이 느끼고 있는 진로 직업교육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였다.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Parents, and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about Admission into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 이병욱;안재영;이찬주;이상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8-67
    • /
    • 2013
  • 본 연구는 특성화고 교육의 주요 수요자가 될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특성화고의 운영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의 중학교 3학년생과 학부모 및 산업체 인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과 학부모는 대체로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 직업 교육 기관보다는 일반고 진학을 희망하였고 고교 선택 요인으로 중학생은 학업 성적을, 학부모는 적성 소질을 가장 고려하였다. 둘째,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는 특성화고의 목적을 학생의 소질 적성 향상 및 취업으로 인식하였고, 특성화고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소질 적성을 일찍 살림, 취업이 잘됨, 졸업 후 자립이 빠름, 우수한 기술 습득 등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는 사회적 편견 및 차별,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의 진학, 승진 임금 등에 대한 불이익, 대학 진학에 불리 등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특성화고 교육이 전공분야 기초 실무 능력 향상, 직업 기초 능력 함양, 창의 인재 육성, 바른 인성 및 태도 함양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다수의 중학생과 학부모가 아산시에 특성화고 설립 시 특성화고 진학 의사를 나타냈고 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을 일찍 살림, 우수한 기술 습득, 조기 취업 희망 등, 미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에 맞지 않음,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 부족, 대학 진학에 불리, 사회적 편견 및 차별 등이었다. 또한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과 대학 진학을 비슷하게 희망하였고 취업 이유는 대체로 사회 진출을 빨리하여 성공하고 싶거나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학 이유는 대체로 전공에 대한 심화교육과 학력에 따른 사회적 차별 때문이었다.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가 인식하는 채용 기준으로 직무 수행 능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학생과 학부모는 공업 계열 학과, 가정 가사 및 상업 관련 학과를 주로 희망하고 있으며 학과 선택을 위해 적성 소질, 미래 유망, 취업에 유리함 등을 고려하였다. 산업체 인사의 특성화고 학생의 채용 이유는 학생을 산업체의 인재로 성장,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춤, 고졸 수준의 인력이 필요함 등이었고, 인력이 필요하거나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추면 채용할 수 있다는 일부 응답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특성화고 운영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특성화고는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도록 학과 및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고 진로 지도에 입각한 특성화고 입학 시스템을 구축하며 일 기반 현장 학습을 구축하여 학생의 직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정부는 특성화고 학생의 실질적인 경력 발달이 가능하도록 선취업 후진학 정책을 정비하고 취업률 등 정량적 평가보다는 특성화고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며, 특성화고 관련 기능 인력이 제대로 평가 및 대우받을 수 있는 각 부처의 협력적 지원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