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Vocational High School-to-Work Opportunities System and Training of th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특성화고 조경과 학생들의 기능인력 양성에 관한 연구

  • Lee, Joon-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Yeo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준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정태열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3.03.13
  • Accepted : 2013.04.16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e goal of vocational school is to provide students with basic skills and help develop them to have satisfactory careers. With the knowledge they have learned, it helps them to find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when they graduate. The government is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clarifying the goal accomplishment and the vision proposals of vocational schools, and the structure-oriented guidance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is thought to be very influential to the social structure and individual perceptions. Social stereotypes(discrimination) and perceptions that can be the core of a social structure need to be transformed for people to be fulfilled in their careers in the upcoming advanced Korean society. The important solution is to form correct values and a system of career selection which can ensure a stable future for students. Therefore, to carry out research regarding training human resources in terms of students from vocational schools' landscape architecture majors in an approaching method with a new perspective, we analyzed education plans from vocational schools in 11 regions, textbooks used in common, governmental publications regarding career education policies of vocational schools and questionnaires from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landscape architecture at vocational schools. As a result, we were able to find out the types and the frequencies of career-occupation education at each school through analysis of education plans and the necessity to control the amount and the level of the contents for high school students to have careers in analyzing textbooks. In addition, i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s analyzing career education policies of vocational schools, we figured out the government's policies and directions of training. From the questionnaires from students majoring in landscape architecture, we were a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on career education(education plans), textbooks, governmental career policies and career selection.

특성화 고등학교(이하 특성화고)의 교육 목적은 행복한 직업인이 되기 위한 직업 기초능력의 배양에 있고, 학생들은 배운 직업 기초능력을 토대로 사회에 진출하여 자신의 적성과 흥미, 가치관에 맞는 직업을 찾아야 한다. 그래서 특성화고의 목적 달성과 비전제시를 정확히 하기 위해 정부가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정부 주도의 구조 지향적 방향 제시는 사회구조와 개인의 인식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다가오는 선진 한국 사회에서 직업인으로서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하여 사회구조의 핵심이 될 수 있는 사회편견(차별)과 인식이 전환되어야 하고, 그 해결점은 배우는 학생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더불어 그들이 안정적인 미래를 보장 받을 수 있는 직업선택의 구조를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목적을 벗어난 무조건적 진학 위주의 특성화고 문제점을 안고 있는 조경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능인력 양성 만족도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조경과가 설치된 전국 11개 지역의 특성화고 교육계획서, 공통으로 배우고 있는 교과서, 특성화고 직업교육 정책과 관련한 정부간행물, 특성화고에서 조경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교육계획서 분석을 통하여 각 학교별 교과 및 직업교육과정에 대한 프로그램 유형과 빈도를 알 수 있었고, 교과서 내용 분석에서는 취업 시 필요한 전문적인 기능을 양성할 수 있는 교과서 내용의 수준과 가감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의 특성화고 직업교육 정책 분석에서 직업교육 과정 및 체제의 특징을 밝혔으며, 11개 학교 조경전공 학생들의 설문 조사를 통해 교육계획서, 교과서, 정부직업정책, 진로선택으로 나누어, 실제 학교에서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이 느끼고 있는 진로 직업교육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혜, 박소영(2008) 특성화고등학교의 실태와 개선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 강홍섭(1985) 사회구조의 변화와 직업교육의 제도적 변천.
  3. 고용노동부(2009) 고용동향 특별조사.
  4. 교육과학기술부(1997) 실업계 고교의 발전 방향과 진로 전망.
  5. 교육과학기술부(2000)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발전방안.
  6. 교육과학기술부(2001) 실업계 고등학교 직업교육정책.
  7. 김효상(2006) 실업계고교와 산업체 간 교육협력을 통한 전문기능인력 확보 및 양성. 부산교육 316호.
  8. 박동열, 최동선, 이용순(2008) 전문계고등학생의직업기초능력진단도구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9. 송갑호(1996) 농업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관과 진로 결정 요인 분석: 충북 지역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안성로, 윤근영, 김학범(1990) 전문대학 조경과 교육과정 수정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3): 99-113.
  11. 이영만(1999) 실업계 고등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용환, 정철영, 김판욱, 신황호, 윤인경, 강권영, 한지영(1999)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용 도서 중 이론과 실습이 통합된 교과의 체제모형개발.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1(1): 73-85.
  13. 하영주(2009) 고등학생의 직업선택 요인분석을 통해 본 진로교육 방향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한동식(1998)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5. 현병호(1999)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농업 계.공업계 학생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