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ell-being

검색결과 1,180건 처리시간 0.033초

사회변동의 지각과 주관적 안녕감: 대처자원의 효과에 대한 국가 간 차이의 분석 (Perceptions of Social Changes and Subjective Well-Being: A Cross-National Analysis of the Coping Resource Effectiveness)

  • 김정식;김완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
    • /
    • pp.19-45
    • /
    • 2008
  • 본 연구는 급격한 사회변동의 대한 주관적 지각이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두 가지 대처자원인 개인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이 문화적으로 다른 효과를 갖는다는 가설을 한국과 미국표본을 비교함으로써 검증하였다. 한국과 미국에서 수행된 설문자료를 다표본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첫째, 사회변동 속도의 지각이 사회변동의 평가라는 매개과정을 통해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고, 둘째 개인적 자원은 미국표본에서 그리고 사회적 자원은 한국표본에서 스트레스의 대처에 더 큰 효과를 가짐을 각각 발견하였다. 사회변동의 주관적 지각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었다.

  • PDF

대학생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대인관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 오영진;박봉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10호
    • /
    • pp.81-9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We conducted a survey on 336 university students in Andong-si and Cheongju-si.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fective well-being made an effect by avoidant attachment and anxiety attachment, and was more affec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n anxiety attachment including mediating variabl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in cognitive well-being only by anxiety attachment. Including mediating variabl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gnitive well-being affec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ly. Third,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affective well-being, and perfectly between attachment and cognitive well-being.

민간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Private Security Agents)

  • 김경식;김상진;이광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75-1179
    • /
    • 2009
  •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2009년 2월 23일부터 3월 30일까지 35일간에 걸쳐 서울소재 민간경비회사 14개 업체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420부를 배부하였으며, 극단치가 있거나 미회수된 설문지 등 66부를 제외하고 총 356부를 최종표본으로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6.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통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는 이웃의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관계가 있으나, 가족의 사회적 지지와는 관계가 없다. 둘째, 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는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가족에 의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높다. 이를 종합해보면, 이웃의 사회적 지지는 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

  • PDF

도시지역 거주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 Urban Elderly People)

  • 함석필;김범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67-377
    • /
    • 2021
  • 본 연구는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파악 하고자 2019년 5월 1일부터 6월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D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382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은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행위특성의 여러 변수들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지지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은 사회적지지 총점 및 하위영역(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애정적지지, 긍정적 사회 상호작용)점수가 낮은 군일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주관적 행복감은 사회적지지 총점 및 하위영역(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애정적지지, 및 긍정적 사회 상호작용)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지지 총점 및 하위영역(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애정적지지, 및 긍정적 사회 상호작용)이 매우 높은 군(Q4)보다 낮은 군(Q1)에서 주관적 행복감이 낮아질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도시지역 거주 노인들의 주관적 행복감은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행위특성의 여러 변수들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와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지지의 구체적인 실행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방과 후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주관적 안녕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Attend a Community Child Center after School)

  • 김정이;박영미;이지현;조은주;장선녀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5-24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e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who attend a community child center.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43 children attending a community child center in P city with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August 20 to September 20, 2016.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version 18.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grade, on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ubjective well-being (${\beta}=.56$) and grade division (${\beta}=.19$). These variables explained 38.0% of the total varia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desirable to develop measures to increase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provide support according to grade in ord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adolesc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ren centers.

근위축성측삭경화증 가족 돌봄제공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sychosocial Well-Being in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추현식;탁영란;김승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54-464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sychosocial well-being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The transactional model of stress and coping was used to investigate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137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AL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January to November 2016.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The regression model had an adjusted $R^2$ of .49, which indicated that meaning-focused coping, social support, ALS patient-family caregiver relationship (especially a spousal relationship), and tracheostom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givers' psychosocial well-being. Conclusion: Meaning-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influenced caregivers' psychosocial well-being. Therefore, interventions to improve caregivers' psychosocial well-being must focus on increasing meaning-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resources.

한 부모 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 -가족적, 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Single Mothers - Focusing on Family and Social Variables-)

  • 김오남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9-144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and differences factors influencing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nalyze the effects of family, and social variables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were the 284 single mothers living in Kwangju and Chonn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 F, and Pearson's r test, and by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ingle mothers' family variables were lower than the median, but instrumental support was higher than emotional support.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be around that of the median value. 2. Singl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income, emotional support, participation of education program, and institutional support. 3. Life satisfaction of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institutional support,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and emotional support. Depression among single mothers was influenced by family stress, family resources, mother-child conflicts, and institutional and emotional support.

우울, 죽음불안,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Living Alon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장연식;모선희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527-5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부정적 정서인 우울, 죽음불안과 함께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들이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탄력성의 매개경로를 통해서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경로의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에 거주중인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98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수 간 차이에서 우울은 성별,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에서, 죽음불안은 성별과 학력에서, 사회적 지지는 성, 연령, 학력, 지역, 건강상태와 경제상태에서, 탄력성에서는 성, 연령,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성,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독거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 변수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력에서 우울은 부적으로, 사회적 지지는 정적으로 직접적인 경로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미치고 있으며, 죽음불안은 직접적인 영향력이 유의하게 미치지 않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거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 변수가 매개변수인 탄력성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력에서 우울은 부적인 관계, 사회적 지지는 정적인 관계에서 직접적인 경로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독거노인의 매개변수인 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미치고 있었다. 또한 탄력성의 매개기능을 통해서 부정적 요인을 감소시키고, 긍정적 요인은 증진시켜서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독거노인을 위한 정서지원 정책을 마련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 Mother Having A Child with Autism)

  • 박애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1호
    • /
    • pp.225-247
    • /
    • 2012
  • 이 연구는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한 사회복지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Double ABCX 모델을 적용하여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양육스트레스,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 요인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대구시에 거주하고 있는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 2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째,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 가족기능성,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는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SNS(social network service)활용에 대한 세대별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Young and Old Generation of SNS Behavior)

  • 황윤용;이기상;최수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3-77
    • /
    • 2015
  •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환경의 변화 및 증가에 따라 소비자들은 SNS를 일상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인터넷을 기반으로 상호소통하는 활동과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NS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는 사회자본과 소비자들의 정서적 웰빙 수준의 차이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SNS 이용 이유 및 활용도는 소비자들마다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세대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즉, SNS를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사회적 자본과 정서적 웰빙의 형태는 세대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SNS사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83부의 표본을 활용하여 세대 간 사회자본 및 정서적웰빙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SNS를 통해 형성된 사회적 자본의 크기 및 유형에 따른 효과는 세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자본의 크기는 고령세대보다 젊은세대가 크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본의 유형 중 연결적(bridging) 사회자본도 고령세대보다 젊은세대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정서적 웰빙은 세대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정서적 웰빙의 유형 중 부정적 웰빙은 고령세대가 젊은세대 보다 더욱 민감하게 나타나 세대별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SNS관리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세대별 세분화된 SNS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